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시황] AI는 강했다, 제조업도 버텼다… 그러나 고용과 성장률은 흔들린다

2025 5 2일자 미국 증시 흐름 ISM 제조업 지표 분석 보고서
이번 보고서는 Microsoft·Meta 실적 호조, Nvidia 주가 상승, ISM 제조업지표 발표, 그리고 고용·성장 지표의 둔화 신호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모든 분석의 중심축은 미국 경기 체력에 대한 정량적 신호 맞추어집니다.

1️⃣ ISM 제조업 지표: 수축 유지하되 예상치 상회
제조업 부문, 관세 충격에도 예상보다 견고한 흐름

  • 📉 4 ISM 제조업지수: 48.7
    • 전월 대비 -0.3p 하락
    • 예상치 47.8보다는 높았음 (시장 예상 상회)
    • 50 미만은 수축 국면이나, 42.3 이상은 경기 확장과 일관되는 수준

📌 세부 구성 지표:

구성 항목

수치 (전월 대비)

해석

고용지수

46.5 (+1.0p)

일시적 개선 신호, 그러나 기준선 하회

생산지수

하락

수요 위축 압력 반영

수출·수입·재고

동반 감소

관세 여파 공급망 정체 가능성

물가지수

69.8 (소폭 상승)

비용 압박 지속, 인플레이션 리스크 유지

💬 ISM 보고서 응답자 코멘트 요약:

“Tariffs have increased input prices and restricted profit margins.”
(“
관세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상승했고, 수익성이 제한되고 있다.”)

📌 해석:

  • 트럼프 정부의 대외 관세 정책 제조업 원가와 수익성 압박 유발하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상치를 웃돈 수치는 내수 핵심 산업의 저항력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됨.

2️⃣ 실업수당 청구 GDP 하락: 경기 둔화 경고 신호
(노동)시장 냉각과 성장률 하락이 동시에 감지

  • 🗓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241,000
    • 시장 예상치 225,000건보다 높음
    • 최근 2021 11 이후 최고치
  • 🗓 1분기 GDP 성장률 (연율 기준): -0.3%
    • 예상치 +0.4%에서 하회
    • 2022 1분기 이후 마이너스 성장 기록

📌 시사점:

  • 고용과 성장률이 동시에 꺾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기초 체력의 이중 약화 징후 해석 가능
  • 특히 제조업의 가격 상승과 고용 위축이 정책 리스크실물 경제 전이 가능성을 높이고 있음

3️⃣ 기술주 실적 호조와 주가 상승
Meta·Microsoft
중심의 빅테크 반등, 시장 불안 일시 완화

  • Meta 1분기 실적은 광고 매출 반등으로 시장 예상치를 초과
    • CEO 마크 저커버그 발언:

        “The business is performing very well and that it’s well positioned to navigate the macroeconomic uncertainty.”
(“
비즈니스는 매우 운영되고 있으며,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대응할 있는 위치에 있다.”)

  •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매출 증가로 실적과 가이던스 모두 호조

📈 주가 반응:

기업

상승률

원인 요약

Microsoft

+9%

실적·가이던스 동반 호조

Meta

+6%

광고 매출 개선

Nvidia

+4%

AI 인프라 수요 견조

💬 시장 코멘트 요약 (Jed Ellerbroek, Argent Capital Management):

“AI is a lot less impacted than investors currently believe.”
(“AI
투자자들이 현재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영향을 받고 있다.”)


4️⃣ 4 증시 흐름 요약: 급락과 반등 반복
관세 발표 이후의 변동성 확대, 기술주 중심 회복

  • 4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언시장 급락 유발
  • 한때 s&p 500 20% 이상 하락하며 약세장 진입
  • 이후 실적 발표를 계기로 부분 회복

📊 4 주요 지수 수익률:

지수

4 수익률

S&P 500

-0.8%

Dow Jones Industrial

-3.2%

Nasdaq Composite

+0.9%


5️⃣ 테슬라 CEO 교체설 해프닝 요약
Tesla
CEO 교체 루머를 부인하며 주가가 +2.7% 반등했으나, 시장 구조 흐름엔 영향 미미


📌 최종 요약 평가

  • ISM 제조업 지표 핵심 경제 체력의 기초선으로, 관세 부담에도 예상치를 상회한 점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 시그널
  • 고용과 GDP 동반 약화 경기 사이클 전환의 초기 국면 경고로 받아들여야
  • 빅테크 실적 호조 구조적 해석보다 단기 심리 안정 요인으로 기능
  • Tesla 루머 해명 영향력 제한적이므로 구조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음

📝 관련 글 추천

📎 [시황] 2025년 5월 아시아 증시 동향: 일본·호주 상승, 미국 실적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