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출 승수 효과는 국민 소득의 증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문서에서는 정부지출 승수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1. 기본 개념
정부지출 승수 효과란 정부가 경제에 지출한 금액이 국민소득을 증대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간단히 말해, 정부의 지출이
경제 내에서 여러 번 반복되어 더 큰 규모의 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현상입니다.
### 2. 예제 설명
- **가정**: 한계소비성향(소득이 증가할 때 소비에 사용하는 비율)이 0.8이라고 가정합니다. 즉, 소득이 100원 증가하면 80원을 소비하고 20원을 저축하게 됩니다.
- **초기 지출**: 정부가 100억 원을 추가로 지출한다고 가정합니다.
### 3. 과정
1. **초기 효과**: 정부가 100억 원을 지출하면 국민소득이 100억 원 증가합니다.
2. **소비 증가**: 국민소득이 100억 원 증가하면, 한계소비성향에 따라 소비는 0.8 × 100억 원 = 80억
원 증가합니다.
3. **2차 효과**: 소비가 80억 원 증가하면, 생산이
늘어나고 다시 소득이 80억 원 증가합니다.
4. **3차 효과**: 소득이 80억 원 증가하면, 다시 소비는 0.8 × 80억 원 = 64억
원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최종적으로 국민소득은 정부의 초기 지출인 100억 원보다 훨씬 더 많이 증가하게 됩니다.
### 4. 승수효과 계산
정부지출 승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c는 한계소비성향입니다. 예를
들어, c = 0.8이면 승수는:
따라서 정부가 100억 원을 지출하면, 최종적으로 국민소득은 5 × 100억 원 = 500억 원만큼 증가할 수 있습니다.
### 5. 현실적인 예
실제로 이런 승수 효과는 경제가 불황일 때 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공공 인프라에 투자하면, 그에 따른 고용 증가와
관련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개념은 경제정책 수립 시 중요한 고려 요소로 작용하며, 정부 지출의 적절한 규모와 시점에 따라 경기 회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상단 첫 번째 문서의 그래프는
정부지출 증가가 국민소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프에서 AE0에서 AE1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Y0에서 Y1로 국민소득이 증가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 1. 그래프의 의미
- **AE**: 총지출(Aggregate
Expenditure)을 의미하며, 국민경제에서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의 합입니다.
- **Y**: 국민소득(GDP)으로, 한 국가의 경제 규모를 나타냅니다.
그래프에서는 **가로축**이 국민소득(Y)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총지출(AE)을 나타냅니다.
### 2. AE0에서 AE1로의
변화
- **AE0**는 정부가 추가 지출을 하기 전의 총지출을 나타냅니다.
- 정부가 100억 원을
추가 지출하면, 이는 총지출을 100억 원만큼 증가시키게 되어 **AE1**으로 이동합니다. 즉, 그래프의 AE 선이 위로 평행이동하는 것입니다.
### 3. Y0에서 Y1로의
변화
- AE0에서 AE1로 총지출이 100억
원 증가했을 때, 국민소득(Y)은 단순히 100억 원만 증가하지 않고, **Y0에서 Y1로 더 크게 증가**합니다.
- 이 과정에서 국민소득이 500억 원 증가하게 되는 것은 승수 효과 때문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한계소비성향(c)이 0.8인 경우, 승수는 5가 됩니다. 따라서,
정부지출이 100억 원 증가하면 국민소득은 5배인 500억 원 증가하는 결과가 나옵니다.
### 4. 승수 효과를 반영한 그래프 해석 예시
1. **정부의 100억
원 지출**:
- 정부가 100억 원을 지출하면 AE 선이 AE0에서 AE1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는 경제 전반에서 총지출이 늘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2. **초기 국민소득 증가(Y0에서 Y1까지)**:
-
AE0에서 AE1로의 이동은 단순히 정부 지출의
초기 100억 원 증가뿐 아니라, 이를 통해
여러 경제 활동이 촉진되면서 국민소득이 그보다 훨씬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3. **단계적 소득 및 소비 증가**:
- 정부지출이 100억 원 증가하면, 그 지출로 인해 기업의 생산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노동자들의 임금도 증가합니다.
- 소득이 늘어난 사람들이 추가 소득의 80%를 소비하기 때문에, 경제 전반에서 추가 소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 이러한
과정이 여러 차례 반복되면서 국민소득(Y)은 처음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Y1에 도달하게 됩니다.
### 5. 요약
그래프에서 AE가 100억 원 증가하여 AE0에서 AE1로 이동하면, 국민소득은 Y0에서 Y1로
크게 증가합니다. 이 증가 폭이 단순히 100억 원이 아니라 500억 원이 되는 이유는 승수 효과에 의해 지출이 반복적으로 경제를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정부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댓글
복습 왔습니다. ㅠㅠ
답글삭제감사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