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PI 3,100 회복! 외국인 순매수, 트럼프 관세에도 증시 반등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한국 증시 종합 분석 보고서
🗓 기준일: 2025년 7월 8일 (화)
🕒 환율 시점 기준: 18:33 KST
1️⃣
KOSPI·KOSDAQ 지수 및 종목 등락 요약
구분 |
지수 |
전일 대비 |
등락률 |
KOSPI 종합 |
3,114.95 |
▲ 55.48 |
+1.81% |
KOSPI 100 |
3,148.78 |
▲ 59.70 |
+1.93% |
KOSPI 200 |
421.22 |
▲ 8.20 |
+1.99% |
KOSDAQ 종합 |
784.24 |
▲ 5.78 |
+0.74% |
📌 해석 요점:
- KOSPI는 3,100선을 회복하며 +1.81% 상승.
- 대형주 중심의 KOSPI 200 및 KOSPI 100은 각각 +1.99%, +1.93%로 상대적 강세.
- KOSDAQ은 +0.74% 상승하며 중소형주는 비교적 제한적 상승 흐름.
2️⃣
상승·하락
종목
수
비교
구분 |
상승
종목
수 |
하락
종목
수 |
KOSPI |
645 |
241 |
KOSDAQ |
970 |
630 |
📌 해석
요점:
- KOSPI
전체의 약 72.8% 종목이 상승.
- KOSDAQ은 약 60.6% 종목 상승.
→ 이는 지수 상승이 광범위한 시장 전반 상승세에 기반했음을 시사.
3️⃣
투자자별
순매수
동향
구분 |
개인
(억
원) |
외국인
(억
원) |
기관
(억
원) |
KOSPI |
-2,770 |
+2,813 |
-191 |
KOSDAQ |
+893 |
+311 |
-1,137 |
📌 해석
요점:
- KOSPI:
외국인은
2,800억
원
이상
순매수하며
시장 상승 견인 주체로
확인.
- 개인은
대규모
순매도
→ 차익 실현 구간으로
해석
가능.
- KOSDAQ:
개인
투자자가
다시
매수
우위
전환했으나,
기관
대규모
매도세는
중소형주에 대한 불확실성 반영
가능성.
4️⃣
환율
변화:
원/달러
하락
항목 |
수치 |
원/달러
환율 |
1,369.30원 |
전일
대비 |
▼ 7.70원 |
하락률 |
-0.39% |
📌 해석
요점:
- 원화 강세는 외국인 유입 증가와 연동된 흐름.
- 외환시장 안정세는 외국인 순매수세를 지지하는 환경으로 작용.
5️⃣ 글로벌 요인: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 아시아 증시 반응
🔎 출처: 2025년 7월 8일 CNBC Asia-Pacific Live Blog
📢 핵심 요점: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일본 등 14개국에 25% 이상 관세 부과 예고
- 그러나 8월 1일 발효 예정 → 협상 여지 존재
- 한국과 일본은 관세 대상에 포함되었으나, 아시아 증시는 반등세
- KOSPI
+1.81%, Nikkei 225 +0.26%, CSI 300 +0.84%, Hang Seng +1.09%
- 미국 지수는 전일 급락 (Dow -0.94%, S&P500
-0.79%, Nasdaq -0.92%)
📌 해석 요점:
- 단기 충격 → 아시아 증시 회복 흐름: 투자자들은 협상 가능성, 발효 전 유예 기간 등을 반영해 하락을 매수 기회로 판단한 것으로 추정됨.
- 환율 하락과 외국인 유입은 KOSPI 상승의 결정적 트리거 역할 수행.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요약 |
종합지수
흐름 |
KOSPI +1.81%, KOSDAQ +0.74% 상승,
외국인
매수
중심 |
종목별
확산도 |
상승
종목이
하락보다
2~3배
많음
→ 전반적
상승
확산 |
투자자별
매매 |
KOSPI는
외국인
대량
매수,
KOSDAQ은
개인
매수
vs. 기관
매도 |
환율
영향 |
원/달러
1,369.30원,
7.70원
하락
→ 외국인
자금
유입
가속
신호 |
글로벌
배경 |
트럼프
관세
발표에도
시장은
협상
기대감
반영,
아시아
증시는
강세
복원 |
📌 결론:
현재
KOSPI는
외국인
주도
상승세,
원화
강세,
글로벌
협상
기대가
결합된
"단기
반등
국면"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8월
1일
전까지의
미·한
관세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재차
확대될
수
있습니다.
기관의
KOSDAQ 매도세는
중소형주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관련 글 추천
📎 7월 7일 한국 증시 요약: 지수는 올랐지만 체감은 약세?
📊
2025년 7월 7일 미국 증시 하락 분석 보고서
🔍 “신규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 →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 증시 급락”
🗓
시황 개요: 2025년 7월 7일 (월) 마감 기준
지수명 |
등락폭 |
등락률 |
마감 지수 |
비고 |
Dow Jones |
▼422.17 pt |
▼0.94% |
44,406.36 |
중간 오후 급락 |
S&P 500 |
▼49.68 pt |
▼0.79% |
6,229.98 |
6월 중순 이후 최저치 |
Nasdaq Composite |
▼190.29 pt |
▼0.92% |
20,412.52 |
기술주 전반 하락 |
📌 3대 지수 모두 6월 중순 이후 최악의 일간 낙폭을 기록하며 하방 압력 집중.
1️⃣
주요 하락 배경: 트럼프의 다국적 관세 발표
📢 정책 발표 요약
2025년
7월
7일,
트럼프 대통령은 Truth Social을 통해
총 7개국 대상 신규 관세 조치를 공표함.
대상국가 |
조치 내용 |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공, 라오스, 미얀마 |
8월 1일부터 고율 수입관세 부과 예정 |
📌 백악관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발송된 공문은 총
14개국에 이르고, 이후
추가
발송
예정.
📌 트럼프 행정명령을 통해 기존
관세
유예
마감일은 8월 1일로 연장됨.
🔎 추가적 위협
발언:
트럼프는 BRICS 동맹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에 대해
**“반미
성향
정책을 따를
경우
추가
10% 관세”**를 경고함.
다만
구체적인 반미 정책 내용은 명시하지 않음.
📌 이 발언은 **브릭스 정상회의(브라질 리우
개최
중)**에 맞춰
발표되었으며,
이는
미국
달러
이탈
흐름에 대한
정치적 대응
의미도 함축됨.
2️⃣
증시 영향 요약: 무역 우려 → 매도세 촉발
📉 "낙관론이 유지되던 시장에 돌발 악재로 작용함"
- Argent
Capital의 Jed Ellerbroek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다음과 같이 경고함:
"Given
that we've got this optimistic view — the markets are at record highs — tariff
talk is not going to be helpful."
(시장
낙관론이 정점인 상황에서 관세
논의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예시로서 투자자 심리 충격의 구체 사례:
- Toyota 주가: ▼4%
- Honda 주가: ▼3.9%
- Apple
/ Alphabet: 각각 1% 이상 하락
- AMD: ▼2% 이상
- Nvidia: 소폭 하락
🧠 해석 주의사항:
Apple, Alphabet, Nvidia 등은
관세
직접
영향보다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확대 → 기술주 전반 리스크 프리미엄 축소로 해석됨.
3️⃣ 테슬라(Tesla) 개별 악재 추가: CEO의 정치 행보
📉 Tesla 하락률: ▼6~7% 수준
- 원인: 일론 머스크가 ‘America Party’ 창당 선언 → 정치 개입 논란 재점화
- CNBC는 "올해 머스크의 정치 행보가 테슬라 브랜드와 매출에 손상 우려를 일으켰다"고 평가.
✅ 기술주 하방 압력 가중 → Nasdaq 전체 지수 하락에 기여
4️⃣
예상 향후 흐름: 48시간 내 연쇄 발표 예고
- 재무장관 Scott Bessent, CNBC 인터뷰에서 언급:
"I
expect it's going to be a busy couple of days."
(향후
이틀간 무역 관련 큰 발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이는 단순 단발 뉴스가 아닌 구조적 이슈로 확산 가능성 내포
✔
종합
해석
요약
구분 |
내용
요약 |
📌 근본
원인 |
다국적
대상
신규
관세
부과
발표 |
📉 직접적
촉매 |
BRICS 협박성
조치
+ 일본·한국
등
핵심
동맹국
포함 |
📈 시장
반응 |
기술주
중심
급락
/ 낙관론
이탈
조짐 |
🛠 정책
방향
변화
예상 |
대중국
고립
→ 동맹국까지
압박
범위
확대
가능성 |
🕰 단기
모니터링
지표 |
향후
48시간
내
2차
무역
발표
/ CPI 발표
/ 금리
회의
등 |
📌 정리
코멘트:
이번
증시
하락은
단순
관세
부과가
아니라
**“정치적
타이밍과
글로벌
전략
리셋의
신호탄”**으로
작용하고
있음.
특히,
미국-아시아
핵심국을
직접
겨냥한
조치는
단기적
관세
효과를
넘어선
신뢰
균열로
연결될
수
있어,
향후
외교·금융·통화시장까지
연쇄
파급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필요
있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