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코스피 하락, 니케이 급등…중동 휴전이 만든 극명한 희비

📰 2025 6 26 아시아 증시 요약누가 오르고, 누가 내렸나?

주제 요약:

중동의 긴장이 완화되면서 일본 증시는 크게 오르고, 한국, 중국은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1️⃣ 일본 증시 – 🚀 "5개월 만에 최고치!"

  • 일본의 대표 주가지수인 니케이225 지수 1.65% 상승하며 1 이후 최고치 기록했습니다.
  • 이유는:
    • 이스라엘과 이란의 휴전이 이어지며 국제 긴장감이 완화되었고,
    • 엔화가 약세 보이자 일본 수출 기업들이 다시 주목받았기 때문입니다.
  • 쉽게 말해, 일본 기업들에게는 좋은 외부 환경이 만들어졌던 하루였습니다.

2️⃣ 한국 증시 – 📉 " 떨어졌을까?"

  • 코스피 -0.92%, 코스닥 -1.29% 하락
  • 일본처럼 중동이 안정되었는데 하락했을까요?
    • 최근에 많이 오른 종목들에서 차익 실현 매물 나왔고,
    • 특히 기술주 중심의 코스닥 부담감이 커졌습니다.
  • , 단기 상승에 따른 되돌림이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다른 시장(: 일본)으로 자금을 옮긴 영향도 있습니다.

3️⃣ 중국과 홍콩 – 😐 "잠잠하거나 하락"

  • 중국 본토: CSI 300 -0.35%, 상하이 지수도 소폭 하락
  • 홍콩: 항셍지수 -0.61%
  • 이유는:
    • 여전히 소비 회복이 더디고, 부동산 시장 우려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
    • 투자자들이 중국보다 다른 아시아 국가를 선호하는 흐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4️⃣ 호주 – 😶 "눈치만 보다 끝남"

  • 호주 지수는 -0.1% 하락
  • 원자재 관련 종목들이 혼조세를 보였고, 특별한 뉴스 없이 고르기 장세였습니다.

5️⃣ 인도 – 🔼 "조용한 상승"

  • 인도는 0.34% 상승
  • 안정된 정치, 괜찮은 경제 지표로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6️⃣ 미국 – 🇺🇸 파월 의장의 신중한 메시지

  • 미국 연준 의장인 파월물가 상승이 일시적이면 금리 인하도 고려할 있다 말을 했지만,
  • 구체적인 시점은 말하지 않았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강하게 요구하는 가운데, 파월은 신중한 입장 계속 유지했습니다.

📌 종합 요약이렇게 보면 쉽습니다!

지역

결과

이유

일본

상승

휴전 안정감 + 엔저 수출 기대

한국

하락

차익 실현 + 기술주 부담

중국

하락

소비/부동산 회복 더딤

홍콩

하락

외인 자금 이탈

호주

약보합

방향성 없음

인도

상승

안정적 펀더멘털


쉽게 이해하는 정리:

중동이 잠잠해지자 일본이 웃고, 기술주 많은 한국과 중국은 잠시 쉬어갔다.”


📝 관련 글 추천

📎 케네디의 백신 자문단 교체, 모더나·화이자 흔들리나?



📊 2025 6 26일자 아시아 증시 동향 분석 보고서


🗓 1️⃣ 전반적 시장 분위기 요약

📌 중동 휴전 영향
이스라엘이란 휴전 지속 여부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면서, 일본 증시가 강세를 주도 반면, 한국과 중국 증시는 약세 마감했습니다.

📌 미국발 영향 제한적
전일 미국 증시가 강보합 수준에서 마감되었고, 파월 의장의 금리 관련 '신중한 태도' 발언도 아시아 시장에 별다른 방향성을 주지 못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 2️⃣ 일본니케이 225, 5개월 만의 최고치

지수명

종가

변동폭

변동률

Nikkei 225

39,584.58

+642.51

+1.65%

Topix

2,804.69

+0.81%

+0.81%

주요 포인트

  • Nikkei 225 2025 1 이후 최고치 기록했습니다.
  • 이는 중동 긴장 완화, 미국 금리 동결 기조 유지, 엔화 약세에 따른 수출주 수혜 기대 등이 복합 작용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 3️⃣ 한국코스피·코스닥 모두 하락 마감

지수명

종가

변동폭

변동률

KOSPI

3,079.56

-28.69

-0.92%

KOSDAQ

787.95

-10.26

-1.29%

📌 주요 요인 분석

  • 글로벌 투자자들은 일본 시장에 자금 유입을 늘리는 반면, 한국은 차익실현 매물 우위 기술주 중심 하락 압력 강하게 작용했습니다.
  • 특히 코스닥은 중소형 성장주의 밸류에이션 부담으로 낙폭이 컸습니다.

🇦🇺 4️⃣ 호주강보합세 소폭 조정

지수명

종가

변동폭

변동률

S&P/ASX 200

8,550.80

-8.40

-0.10%

🔎 원인 요약

  • 광산주 혼조세, 소비 둔화 우려 혼합되어 전일 상승에 따른 되돌림 성격의 약세 해석됩니다.

🇭🇰🇨🇳 5️⃣ 홍콩·중국 본토약세 흐름 유지

지수명

종가

변동폭

변동률

Hang Seng Index

24,325.40

-149.27

-0.61%

CSI 300

3,946.02

-13.94

-0.35%

Shanghai Composite

3,448.45

-7.52

-0.22%

📌 중국 본토 시장의 구조적 요인

  • 부동산 소비 둔화, 규제 리스크 완화 신호 부재 등으로 매수 주체가 뚜렷하지 않은 상태
  • 홍콩 시장은 기술주 조정 외국인 자금 유출 지속 주요 원인

🇮🇳 6️⃣ 인도상승 지속, 안정된 흐름

지수명

변동률

Nifty 50

+0.34%

주요 해석

  • 경제 지표 호조 대내 정치 안정, 해외 자금 유입 지속적으로 인도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

🇺🇸 7️⃣ 미국 시장 파월 발언 요약 (전날)

지수명

종가

변동폭

변동률

S&P 500

6,092.16

+0.00

거의 변동 없음

Nasdaq Composite

19,973.55

+0.31%

상승

Dow Jones IA

42,982.43

-106.59

-0.25%

📌 파월 의장 발언 핵심

"Rate cuts could be considered if the effects prove temporary."
(“
물가 상승의 영향이 일시적이라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언급은 회피
  • 시장은 이를 매우 신중한 스탠스 유지로 해석하고 있으며, 단기적 방향성보다는 데이터 중심 정책 기조 확인으로 이해됨

📌 8️⃣ 요약 정리

지역

지수 변동

요약 정리

🇯🇵 일본

상승

중동 휴전, 수출 모멘텀, 니케이 5개월 최고치

🇰🇷 한국

하락

차익실현, 기술주 부담, 코스닥 낙폭 확대

🇭🇰 홍콩

하락

기술주 약세, 외인 이탈

🇨🇳 중국 본토

하락

소비 둔화 우려, 부동산 리스크 잔존

🇦🇺 호주

소폭 하락

광산주 혼조, 전일 급등 되돌림

🇮🇳 인도

상승

경제 펀더멘털 견조, 자금 유입 지속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