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협상 기대에 주가 3일 연속 상승…진짜 위험은 ‘관세 인플레’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미국과
중국이
잘
얘기하고
있다"는
말
한마디에…
주가가
3일
연속
상승한
이유
🗓 기준일:
2025년
6월
11일
(미국
기준)
✅ 1️⃣ 주가가 왜 올랐나요?
간단 요약:
미국과 중국이 무역 문제를 잘 풀고 있다는 기대감에, 투자자들이 안심하고 주식을 사면서 주가가 올랐습니다.
📈
실제 수치로 보면:
주가지수 이름 |
상승폭 |
종가 |
다우지수 (산업 중심) |
+105포인트 |
42,866.87 |
S&P
500
(전체 시장 대표) |
+0.55% |
6,038.81 |
나스닥 (기술주 중심) |
+0.63% |
19,714.99 |
🔍
왜 나스닥이 제일 많이 올랐을까요?
요즘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들이 다시 잘 나가고 있어서, 기술 중심인 나스닥 지수가 더 많이 오른 겁니다.
🧭 2️⃣ 지금 미국과 중국이 무슨 얘기를 하고 있나요?
📍 현재 상황:
미국과 중국은 런던에서 무역 문제를 놓고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둘 다 관세(세금)를 서로 너무 많이 매기지 않도록 조율하려는 중이죠.
📌 미국 상무장관 말:
"협상이 정말 잘 되고 있어요. 모두 열심히 집중하고 있습니다."
💡 이렇게 긍정적인 말이 나오면 투자자들은 "어? 혹시 이번엔 진짜 잘 해결될지도?" 하고 기대감에 주식을 삽니다.
⚖️ 3️⃣ 관세(세금)가 주가에 왜 중요한가요?
관세란?
- 외국에서 들어오는 상품에 매기는 세금입니다.
- 예: 중국산 옷, 자동차, 전자제품 등에 미국이 높은 관세를 매기면 → 가격이 오르고 →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 결국 물가도 오릅니다.
📉 그래서 투자자들은 걱정합니다:
"관세가 계속 높으면, 물가도 오르고, 미국 중앙은행(연준)이 다시 금리를 올리는 거 아니야?"
→ 이러면 주식시장에 안 좋은 뉴스가 됩니다.
🧠 전문가 말 (Siebert Financial의 마크 말렉):
“자동차, 옷, 음식 등에서 곧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신호가 나타날 수 있어요.”
🧱 4️⃣ 기술적으로 보면 지금 주식은 어떤 흐름인가요?
기술적 분석이란?
- 주가의 ‘그림(차트)’을 보면서, “여기서 오를지, 떨어질지”를 예측하는 방식입니다.
📌 전문가 (Freedom Capital)의 말:
“요즘 주식 차트는 고점을 향해 잘 올라가고 있어요.
만약 조금 떨어지더라도, 좋은 매수 기회처럼 보여요.”
📌 이 말은 다시 말하면,
“지금 주식 사도 괜찮을 수 있어요. 너무 걱정 말고 흐름을 봐요.”
📌 5️⃣ 지금 상황에서 투자자는 뭘 주의해야 하나요?
좋은 점
- 미·중 협상 기대감 → 시장 분위기 좋아짐
- AI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 유지
주의할 점
- 관세 효과가 아직 본격 반영되지 않음
- 만약 물가가 진짜로 오르면 → 연준이 금리를 올릴 가능성 있음
- 7월부터는 시장이 **조정(내려가는 흐름)**을 줄 수도 있음
🧭 정리하면:
- 지금은 단기적으로 ‘좋은 흐름’
- 하지만 너무 낙관하지 말고, 변동성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
📌 한줄 요약
"미국과 중국이 잘 협상 중이라는 소식 덕분에 주가는 오르고 있지만,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으니, 투자자들은 '희망 + 경계심'을 함께 가져야 하는 시점입니다."
📝 관련 글 추천
📎 틀린 문제를 보물로 여기는 아이, 그 시작은 ‘엄마의 손’이었다
📰
[2025년 6월 11일 기준 CNBC 기사 분석]
S&P 500, 미·중 무역 협상 진전 기대감에 3거래일 연속 상승
📌
기사 기준일: 2025년 6월 11일 (수요일, 미국 동부시각 기준)
📌 기사 출처: CNBC / Pia Singh, Alex Harring
📌 기사 핵심 주제: 미·중 무역 협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한 시장 상승
✅ 1️⃣ 주요
지수
등락
현황
(2025년
6월
10일
종가
기준)
지수명 |
등락폭 |
상승률 |
종가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
+105.11pt |
+0.25% |
42,866.87 |
S&P 500 |
+32.85pt |
+0.55% |
6,038.81 |
Nasdaq Composite |
+123.83pt |
+0.63% |
19,714.99 |
🔎 해석:
- 3대 주요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함.
-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 Composite)**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상승폭을 보였으며, 이는 AI 관련 종목의 강세가 배경으로 지목됨.
- S&P
500은 6,000선을 유지하며 강세 추세를 지속 중.
🔄
2️⃣ 미·중 무역
협상
관련
주요
발언
및
시사점
📌 발언자: 하워드 러트닉 (Howard Lutnick), 미국 상무장관 (U.S. Commerce Secretary)
📌 직접 인용:
“I think the talks
are going really, really well. We’re very much spending time and effort and
energy – everybody’s got their head down working closely.”
(“협상이 매우
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모두가 시간과 노력,
에너지를 쏟고
있으며, 모두가 고개를 숙이고 밀접하게 협력하고 있습니다.”)
🗓 협상 현황:
- 현재 런던에서 양국 고위급 협상이 이틀째 진행 중.
- 러트닉 장관은 10일 밤 협상 종료를 희망한다고 언급했으나, 11일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언급됨.
🔎 시사점:
- 협상 진전에 대한 발언이 시장에 심리적 안정감 제공
- 특히 고율 관세 부과 방지와 일시적 관세 인하 합의가 이어진다는 기대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
3️⃣ 시장
내 기술적 분석
및 기관
코멘트
📌 Jay
Woods (Freedom Capital Markets 수석 전략가):
“Technically, shares
have been on a nice run eclipsing key levels to get back on track.”
(“기술적으로, 주식들은 핵심
저항선을 돌파하면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Even weakness looks
to have a soft landing spot and good entry point from a risk/reward
perspective.”
(“약세
구간조차도 리스크 대비
수익 관점에서 완충
지점과 진입
기회로 보입니다.”)
🔍 해석:
- 현재의 주가 흐름은 기술적 반등 구조로 해석되며,
- 특히 기술주 중심 종목들은 과거 고점 회복 시도 중
- 약세 전환 시에도 **강한 지지선(Soft landing point)**이 존재한다는 판단
⚠️
4️⃣ 시장
리스크 요소:
인플레이션 및
관세
영향
📌 Mark
Malek (Siebert Financial 최고투자책임자):
“While the picture
is not completely clear, enforceable tariffs exist.”
(“상황이 완전히 명확하진 않지만, 실행
중인
관세는 존재합니다.”)
“We would expect
aggregates such as autos, apparel, and foods to show initial signs of
tariff-driven inflation.”
(“자동차, 의류,
식품
등
주요
품목에서 관세
기반
인플레이션의 초기
신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요약:
- 시장은 관세 완화에 기대하고 있지만,
- 이미 부과된 관세는 여전히 유효하며,
- 이에 따라 일부 소비재 품목에서 물가 상승 신호가 나타날 가능성 존재
- 연준(Fed) 역시 관세 인플레이션의 실질적 효과가 아직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고 우려
📊
5️⃣ 종합
평가
및
전략적
정리
📢 현시점 핵심 정리 (2025년 6월 기준):
- S&P
500은 6월 들어 3일 연속 상승
→ 배경: 미·중 협상 기대감 + AI 테마 중심 기술주 반등 - 정책 리스크 요인:
- 트럼프 2기 정부의 고율 관세 기조 유지 여부
- 관세로 인한 지연형 인플레이션 가능성, 특히 소비재 품목에 주목
- 시장 내부 반응:
- 기술적 저항선 돌파 시도
- 일부 전문가들은 “조정 구간조차도 매수 기회”로 판단 중
- 향후 변수:
- 협상 결과의 명문화 여부
- 미국 연준의 물가 반응 속도
✔ 전략적 관점 제언 (중립 기준):
- 단기적으로는 AI 중심의 기술주 강세가 지속 가능
- 그러나 관세 인플레 반영 시차 및 연준 태도에 따라 7월 이후 변동성 확대 가능성
- 보수적 투자자는 기술주 중심의 익절 또는 리밸런싱 고려 가능
- 협상 결과 확정 시점까지는 추가 상승보다 변동성 중심 대응 전략 권고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미국 중간선거까지 1년 반 안되게 남았네요. 너무 많이 남아있어서…중국과 이번 협정을 잘 마무리할까싶은 불신이 듭니다. 선거 5~6개월 전에 군불피고 선거때 활황을 봐야 트럼프에겐 유리할텐데 이번에 잘 마무리지어버리면 트럼프가 아쉽지않나…(민생은 고민 안할 것 같아서요;) 경제 외적인 문제가 더 신경쓰이는 시절이네요.
답글삭제중간선거 전까지 미국내 여론을 다독거리기 위한 정도의 유화책이지 않을까…물가걱정이 높아보이네요. 근데 한국 물가도 겁나네요. 계란값도 치솟고 있어요. 보름 사이에 약 천원은 오른 느낌입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