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2025년 6월 30일 ~ 7월 4일 미국 경제지표 일정

📊 2025 6 30 ~ 7 4 미국 경제지표 연준 주요 발표 일정 분석
📅
기준 시점: 2025 6 29 현재


🧭 전체 개요

이번 (2025 6 30~7 4)
제조업 지표, 고용보고서, 임금 데이터, 서비스업 PMI, 무역수지, 공장주문
미국 경기와 연준 통화정책 방향성을 가늠할 있는 핵심 지표들이 다수 집중되어 있습니다.

7 4(독립기념일) 휴장을 앞두고
📌 7
3 목요일 통상 금요일 발표되는 고용보고서와 실업률 조기 발표됩니다.


🗓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요약 (모든 시간은 ET 기준)

날짜

시간

지표/발표

기간

예상치

이전치

비고

6 30()

9:45 am

시카고 PMI

6

43.0

40.5

제조업 체감경기

7 1()

9:45 am

S&P 제조업 PMI(확정)

6

--

52.0

예비치 대비 변화 주목

10:00 am

건설지출

5

-0.1%

-0.4%

주거·비주거 투자 확인

10:00 am

JOLTS 일자리 공고

5

7.3M

7.4M

노동시장 수요 확인

10:00 am

ISM 제조업지수

6

48.6

48.5%

위축 구간 지속 여부 주목

TBA

자동차 판매

6

--

15.6M

소비심리 경기 선행지표

7 2()

8:15 am

ADP 민간고용

6

120,000

37,000

시장 예측치 상회 가능성 주목

7 3()

8:30 am

신규실업수당청구

6 28

240,000

236,000

고용시장 회복 탄력도 확인

8:30 am

비농업고용 (NFP)

6

115,000

139,000

주요 고용지표, 금리 전망에 핵심 영향

8:30 am

실업률

6

4.3%

4.2%

임금과 병행 주시 필요

8:30 am

시간당 임금(월간)

6

0.3%

0.4%

인플레이션 방향성 단서

8:30 am

시간당 임금(전년비)

6

3.9%

3.9%

실질 구매력 측정 지표

8:30 am

무역수지

5

--

-616 달러

외환시장 GDP 추정 영향

9:45 am

S&P 서비스업 PMI(확정)

6

--

53.7

민간 서비스 경기 방향성 확인

10:00 am

공장 주문

5

8.2%

-3.7%

변동성 항목, 예외적 반등 여부 주목

10:00 am

ISM 서비스업

6

50.5%

49.9%

기준선 회복 여부 중요

7 4()

--

미국 독립기념일 (휴장)

--

--

--

금융시장 휴장


🔎 주요 해석 포인트

1️⃣ 제조업과 서비스업 회복력

  • ISM 제조업 (예상치: 48.6) → 50 미만이면 수축 국면 지속, 투자 둔화 신호
  • ISM 서비스업 (예상치: 50.5) → 50 이상 복귀 소비 중심 경기 회복 기대

2️⃣ 노동시장 모멘텀

  • ADP 고용 (예상: 12만명) vs NFP (예상: 11.5만명)
    낮은 수준이지만, ADP 급등 시장 변동성 유발 가능성
  • 실업률 4.3% 증가세로, 완전고용에서 이탈 가능성 내포

3️⃣ 임금상승률 안정 여부

  •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9%
    인플레이션 재점화 여부에 핵심, 연준의 금리 결정 기준

4️⃣ 공장 주문과 무역수지

  • 공장 주문 8.2% 이례적 반등치, 기저효과 항공기 수주 변동성 요인 확인 필요
  • 무역수지는 적자 지속 전망, GDP 기여도 하방 압력 예상

📌 전략적 시사점 요약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는 고용 둔화 + 임금 상승률 완화 조합이 핵심 조건
이번 데이터는 7 FOMC 9 금리 결정의 중간 평가 지점
금요일 휴장 목요일 오전(7/3) 고용보고서 시장 방향성 결정하는 핵심 분수령


📌 추가 참고 사항

  • "Median Forecast" 시장 컨센서스를 의미하며, 실제 발표치와 괴리 발생 시장 변동성 유발
  • ADP 고용은 민간 지표로, 정부 통계인 NFP 구조가 다름
  • S&P PMI Markit 기준, ISM PMI 공급관리협회 기준으로 구성 방식이 다르므로 직접 비교는 지양

📝 관련 글 추천

📎 GPT는 생각하는가? 감각-반응-창조의 구조를 해부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