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13% 폭등! AI 열풍에 기술주 강세…물가는 안정세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2025년 6월 13일 미국 증시 요약 – 왜 S&P 500이 올랐을까?
🧩
핵심 흐름 요약
- S&P 500 지수가
0.38% 상승해
6,045.26에
마감했어요.
→ 지금까지 기록된 최고치보다 2%도 안 되는 위치에 와 있을 정도로 시장 분위기가 좋아졌다는 뜻이에요.
🔍
왜
올랐을까?
세
가지
주요
이유
1️⃣ Oracle(오라클)의 실적 발표가 대박이었어요
- 오라클이 "AI 수요가 너무 좋아서, 클라우드 관련 매출이 내년에 70% 넘게 늘 것 같다"고 발표했어요.
- 이 소식에 오라클 주가가 무려 13% 폭등했고, 덕분에 기술주 전체가 덩달아 상승했어요.
🧠 쉽게 말하면:
“AI 덕분에 우리가 돈 엄청 벌 거예요!”라고 오라클이 외치자,
투자자들이 ‘와! AI 진짜다!’ 하면서 기술주에 돈을 넣기 시작한 거예요.
2️⃣ 미국 물가가 생각보다 덜 올랐어요
-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0.1% 상승했는데, 시장 예상은 +0.2%였어요.
- 즉, 물가가 생각보다 천천히 오르고 있다는 신호였던 거죠.
📉 이게 왜 좋을까요?
- 물가가 너무 빨리 오르면 미국 연준(Fed)이 금리를 올릴 수도 있는데,
- 지금처럼 물가가 안정적이면 금리도 안정될 거라는 기대가 생겨요.
- 그럼 투자자 입장에선 주식 투자하기 좋은 환경이 되는 거죠.
3️⃣ 미·중 무역 협상이 진전되긴 했지만, 아직 ‘확정’은 아님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좋은 협상 했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아직 공식 서명된 합의는 없어요.
🧠 쉽게 말하면:
“우리 거의 다 얘기 끝났어”라고 했지만,
계약서에 도장 찍은 건 아니라는 거예요.
그래서 시장도 완전히 확신하진 못하고 있는 상태예요.
⚠️
부정적인
뉴스도
있었어요
- 보잉(Boeing) 항공기 한 대가 인도에서 이륙 직후 추락했다는 소식이 있었고,
이 때문에 보잉 주가는 하루 만에 거의 5%나 떨어졌어요. - 보잉은 다우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에 포함된 큰 회사라
이 사고가 다우지수의 상승 폭을 줄이는 원인이 되었죠.
💬
전문가
코멘트
(쉽게
해석)
“요즘
뉴스는
많고
희망도
있지만,
아직
서명된
무역
협정은
하나도
없어요.
그래서
주식시장은
지금
방향을
딱
정하지
못하고
‘박스권’에서
왔다
갔다
하고
있어요.”
📌
여기서
‘박스권’이란?
: 일정
범위
안에서만
오르락내리락하는
상태예요.
큰
방향성
없이
위아래로만
흔들리는
장세를
말하죠.
🧾
요약하면
이렇게
됩니다
긍정
뉴스 |
부정
뉴스 |
오라클
실적
+ AI 기대감 |
보잉
추락
사고로
주가
급락 |
물가
지표
안정
→ 금리
인상
부담
완화 |
트럼프
무역정책,
아직
불확실성이
큼 |
📌
결론 한 줄 요약
AI
덕분에
기술주가
끌어올려졌고,
물가도
안정세를
보이며
시장은
상승했지만,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이
아직
확실하지
않아,
시장은
'신고가
돌파'까지는
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관련 글 추천
📎 주식시장이 숨 고른 이유: 미중 협상은 '거의 완료', 관세는 '유지'
📊
2025년 6월 13일자 S&P 500 상승 마감 분석 보고서
📆 기사 기준일: 2025년 6월 13일 (금)
🧭 분석 기준 시점: 미국 동부시간 기준 6월 13일 금요일 4:12 PM EDT
✅ 1️⃣ 시장 요약: Oracle 랠리와 물가 둔화로 S&P 500 상승 마감
지수명 |
등락률 |
마감 지수 |
S&P 500 |
+0.38% |
6,045.26 |
Nasdaq Composite |
+0.24% |
19,662.48 |
Dow Jones 산업평균 |
+0.24% |
42,967.62 |
🔎 해석 요점:
- S&P 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에서 약 2% 이내 위치.
- Oracle의 급등이 대형 기술주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전반적인 시장을 견인함.
-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완만한 상승 또한 인플레이션 안정 기대를 부각시켜 채권 금리 하락 → 주식시장 상승의 전형적 반응을 유도.
🧠
2️⃣ 주요
원인
분석
📌 (1) Oracle
주가 급등 (+13%)
- Oracle은 2025년 회계연도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과 이익 모두 시장 기대치를 상회.
- AI 수요에 힘입어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이 2026 회계연도에 7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CEO Safra Catz가 언급.
“Thanks to AI
demand, cloud infrastructure revenue should increase more than 70% in the 2026
fiscal year.” (AI 수요 덕분에 클라우드 인프라 수익이 2026 회계연도에는 7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시장 영향: Oracle의 강세는 기술 섹터 전반을 끌어올렸고, 결과적으로 S&P 500과 Nasdaq에 긍정적으로 작용함.
📌 (2)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 – 시장 예상 하회
항목 |
2025년 5월 수치 |
전월(4월) 대비 변화 |
시장 예상치(Dow Jones) |
PPI
상승률 (MoM) |
+0.1% |
-0.2%
(4월) |
+0.2%
예상 |
📢 해석:
- 5월 PPI 상승률이 **시장 예상(+0.2%)보다 낮은 +0.1%**로 발표되며,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신호로 받아들여짐.
- 이에 따라 국채 수익률 하락 → 주식 선호 확대로 이어짐.
📌 (3) 항공사 뉴스: Boeing 악재
- Dow 구성 종목인 Boeing 주가는 Air India 소속 787 기종이 이륙 직후 추락한 사고 소식으로 인해 약 -5% 하락.
- 이는 Dow 지수의 상승 폭을 일부 제한함.
🧭 3️⃣ 트럼프 정부의 무역 정책 불확실성: 시장 상단 제약 요인
📌 트럼프 대통령 발언 요약:
“We made a great
deal with China… We’re going to be sending letters out… to countries, telling
them what the deal is.”
(우리는 중국과 훌륭한 협정을 체결했다... 우리는 여러 나라에 합의 내용을 통지할 예정이다.)
🔎 맥락 해석:
- 미국과 중국은 런던 회담에서 향후 무역 협상 프레임워크를 마련했으나, 실질적 합의 문서는 아직 미완성 상태.
- 양국은 희토류 및 외국인 유학생 관련 규제 완화에 합의했지만, 이는 상징적 조치 수준으로 평가됨.
- 트럼프 대통령은 7월 8일 관세 인상 예정일을 유예할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유예 없이 진행될 가능성도 여전히 시사함.
📉 시장에 미치는 영향:
- 무역 협상 진전에 대한 "제스처"는 있었으나, 실제 서명된 합의 부재로 인해 시장은 확신 없이 제한적 상승 흐름을 유지 중.
📍
4️⃣ 투자
전략가 발언:
‘지속
가능성 결여된 랠리’
Tom Hainlin (U.S.
Bank 자산운용 전략가):
“We see a lot of headlines... but we still haven’t seen a single signed trade
deal.”
(많은
헤드라인이 쏟아지고 있지만, 아직
미국이 어떤
국가와도 실제로 서명한 무역
협정은 없다.)
✅ 해석 요점:
- 현재 시장의 기술주 중심 반등은 Oracle 등 개별 종목 뉴스에 기반하고 있어 지속 가능한 구조적 랠리로 보기 어려움.
- 무역정책 명확화 + 연준 통화정책 안정성이 결합되어야만 지속적 신고가 돌파 가능.
📌
5️⃣ 결론
요약
요인 |
긍정적
기여 |
부정적
기여 |
Oracle 실적
및
클라우드
성장
전망 |
✔ |
|
PPI 발표
– 인플레
안정
기대 |
✔ |
|
Boeing 사고
– Dow 제한
요인 |
|
✔ |
트럼프
무역정책
불확실성 |
|
✔ |
무역협상
프레임워크
→ 구체적
합의
부재 |
|
✔ |
📊 전체적
해석:
단기
반등은
긍정적
이벤트(Oracle,
인플레
완화)
기반이지만,
정책
불확실성(무역
협상)과
개별
종목
의존도가
커,
지속적
추세
전환보다는
박스권
흐름
지속
가능성이
높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AI세상이 오는 소리가 들리는 듯. 도장 찍을 때까진 끝난게 아니다…미국은 이번 대중국협상이 시작이고 이후 금융시장개방까지 노린다는데 거대사회주의시장을 자본주의가 먹는다면 앞으로 체제분쟁 불안없이 죽 안정적으로 시장을 확보하게 되겠지요? 절반의 시작을 잃고 냉전으로 간 이유가 온전히 가지기위해서?라면 이해가 가는 큰그림? 잘 봤습니다.^^
답글삭제절반의 시장;;ㅎ
답글삭제감사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