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S&P 500, 20년 만의 최장 랠리…美 증시 반등의 세 가지 동력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문서는 2025년 5월 3일 미국 증시가 고용지표 개선과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반등했으며, S&P 500 지수가 20년 만에 최장 상승 랠리를 기록한 배경과 세부 내용을 정밀하게 분석한 것입니다.
1️⃣
고용지표 개선: 경기 침체 우려 완화
📌 4월 비농업부문 고용(NFP)은 177,000명 증가, 시장 예상치(133,000명)를 상회
- 전달(3월) 증가치: 228,000명 대비 감소
- 실업률은 4.2%로 예상치와 일치 (예상치: 4.2%, 실제치: 4.2%)
- 해석: "경기 둔화가 우려되던 가운데 예상보다 양호한 수치는 침체 공포를 일부 진정시켰으며, 단기적으로 리스크 온(Risk-on) 성향 강화"
✔
Chris Zaccarelli (Northlight Asset Management CIO) 발언:
"Markets
breathed a sigh of relief this morning as the jobs data came in better than
expected"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양호하게 나오면서 시장은 안도했습니다")
2️⃣
주요 지수 반등: S&P 500, 2004년 이후 최장 상승 랠리
📈 주요 지수 성과 (2025년 5월 2일 기준):
지수명 |
종가 |
일간 상승률 |
주간 상승률 |
S&P
500 |
5,686.67 |
+1.47% |
+2.9% |
Dow
Jones Industrial Avg |
41,317.43 |
+1.39% |
+3.0% |
Nasdaq
Composite |
17,977.73 |
+1.51% |
+3.4% |
🔎
주목 포인트:
- S&P 500 지수는 9거래일 연속 상승, 이는 2004년 11월 이후 최장 연속 상승
-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발표 이후 손실을 모두 만회
- Nasdaq 역시 전날 손실 복구 완료
3️⃣
관세 영향과 정책 불확실성: 반등의 제한 요인
📌 Apple(애플)과 Amazon(아마존)은 관세 관련 부담을 언급하며 향후 실적 우려를 드러냄
- Apple
- 서비스 부문 매출, 시장 기대치 하회
- "현 분기 중 **900 million dollars(9억 달러)**의 관세 관련 비용 발생 예상"
- 주가 하루 -3.7% 하락
- Amazon
- 실적은 예상 상회했지만, 향후 가이던스는 **"tariffs and
trade policies(관세 및 무역 정책)"**로 인해 보수적
✔
기사 인용:
"We’ve already
seen how financial markets will react if the administration moves forward with
their initial tariff plan..."
("행정부가 초기 관세 계획을 강행하면, 금융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는 이미 경험했습니다")
🛠
현재 관세 정책 상황 요약:
- 트럼프 대통령은 4월 초 대부분 국가에 대한 관세율을 일시적으로 10%로 낮추고 90일 유예 조치 시행
- 시장은 7월 유예 종료 이후 정책 방향 재확인 필요
4️⃣
미중 무역 협상 기대감: 심리적 반등 요인
📌 중국 상무부, 무역협상 가능성 공식 언급
✔
중국 정부 공식 입장:
“If
the U.S. wants to talk, it should show its sincerity and be prepared to correct
its wrong practices and cancel the unilateral tariffs.”
("미국이 협상을 원한다면, 진정성을 보여야 하며,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일방적 관세를 철회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2025년 5월 2일자 Wall Street Journal 보도:
- 중국 측은 협상 재개에 전향적 태도를 취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며, 이는 심리적 반등 재료로 작용
5️⃣
시장 전략적 해석: 관세 일시 유예 → 반등의 연료
📌 S&P 500 지수는 2월 고점 대비 7% 낮은 수준이지만, 4월 중순 일시적으로 -20%까지 하락했다가 강하게 반등 중
- 기술주 실적 호조 + 고용지표 + 관세 유예 조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단기적으로는 "buy-the-dip(하락 시 매수)" 전략 강화
✔
Chris Zaccarelli 추가 발언:
"...unless
they take a different tack in July when the 90-day pause expires, we will see
market action similar to the first week of April."
("7월 관세 유예가 종료될 때 다른 접근을 취하지 않는다면, 4월 초와 유사한 시장 반응을 보게 될 것입니다")
📌
정리 코멘트
- 이번 반등은 실적 호조와 고용지표 개선, 관세 유예라는 3요소가 복합 작용한 결과
- 중기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 7월 관세 유예 종료 시점, 미중 무역 협상 결과, 향후 실적 가이던스 등
- 현재 시점은 단기 리스크 온 전략에는 우호적이지만, 정책 전환 변수에 대한 민감한 추적이 필수
미·중 관세 전쟁의 프로세스 진행 단계
1️⃣
현재 위치: 4단계 — 탐색적 제안 제시
📌 사유 근거:
- 기사 원문 중 중국 상무부 발언:
“If the U.S. wants
to talk, it should show its sincerity and be prepared to correct its wrong
practices and cancel the unilateral tariffs.”
(미국이 협상을 원한다면, 진정성을 보여야 하며,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일방적 관세를 철회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동시에, Wall Street Journal
보도 인용 내용:
“Beijing is open to
trade talks”
(중국은 무역 협상에 대해 열린 태도를 보이고 있다)
📝
위 두 가지는 **실질적인 협상 개시 전 단계의 전형적인 탐색적 제안(Presumptive Offer or
Conditional Signaling)**에 해당함.
🔎
또한 미국 측은 아직 **공식 협상단(USTR, 재무부)**을 파견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아젠다 설정이나 실무 접촉 개시는 이뤄지지 않음. 이는 **5단계(협상 어젠더 설정)**에는 도달하지 않았음을 명확히 보여줌.
2️⃣
종합 판단: 아직은 5단계 미도달, 4단계 말기에 진입 중
- 4단계 말기 징후:
- 상호 메시지 탐색 중
- 대외적으로 "협상 가능성 탐색 중"이라는 메시지를 언론에 흘리기 시작
- 5단계 진입 조건 미충족:
- USTR 또는 재무부 공식 협상 제안 없음
- G7 정상회담 연계 움직임도 없음
- 협상 어젠다, 장소, 시간 등 구체적 틀 미정
3️⃣
단계별 표기 요약:
항목 |
판정 결과 |
근거 요약 |
현재 단계 |
4단계: 탐색적 제안 제시 |
중국 측 협상 가능성 시사, 미국 측은 반응 준비 중 |
5단계 진입 여부 |
아직 미진입 |
공식 채널, 아젠다 설정 부재 |
협상 개시 시점 예상 |
G7
회담 이전 또는 직후 가능성 |
일정상 '조율 기간'에 진입할 수 있는 조건 형성 중 |
📌
결론:
현재 미·중 관세 전쟁은 "협상 시작" 범주 내 4단계(탐색적 제안 제시)의 말기 구간에 해당하며, 아직 공식 협상 프레임(5단계)에는 진입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미국 재무부 또는 USTR의 공식 접촉 개시 여부가 관건이며, G7 정상회의(이탈리아) 전후가 전략적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단계(탐색적 제안 제시) 진척율 : 70%
현재 미·중 관세 전쟁의 **4단계(탐색적 제안 제시)**를 100% 진행률로 설정했을 때, **현 시점(2025년 5월 3일 기준)**에서의 진척율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약 70% 수준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1️⃣
진척도 산정 기준 프레임
세부 조건 |
반영 여부 |
진행률 기여도 (가중치 기준) |
중국 측 탐색적 제안 발신 |
✔️
있음 |
+30% |
중국의 공식 입장 성명 표명 |
✔️
있음 |
+20% |
중국이 미국 측에 조건부 협상 메시지 제시 |
✔️
있음 |
+10% |
미국 측 공식 반응(성명 또는 제안) 부재 |
❌
없음 |
0% |
미국 재무부/USTR의 발언 없음 |
❌
없음 |
0% |
비공식 접촉 가능성 언급(언론 통한 탐색) |
✔️
있음 |
+10% |
📌
누적 진척률: 30 + 20 + 10 +
10 = 70%
2️⃣
상세 해설 및 근거 정리
- 중국 측의 선제 제안 및 입장 성명:
“If the U.S. wants to talk, it should show its sincerity…”
→ 명확한 조건부 제안으로, ‘탐색적 제안 제시’ 단계의 전형적 징후 - 미국 측의 명시적 반응 부재:
→ 협상 프레임을 맞춰가기 위한 상호 교감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음. 이는 5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완성 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는 뜻 - 언론을 통한 탐색적 반응 탐지 가능성:
→ "Beijing is open to trade talks" 등 언론을 통한 메시지 교환은 4단계 말기 현상의 전형
3️⃣
결론 요약
✔ 현재 4단계 내 진척도: 약 70% 수준
✔ 남은 30%는 미국 측의 조건부 수용 의사 및 비공식 접촉 → USTR 또는 재무부가 개입하면 5단계로 진입 가능
위 그래프는 2024년 11월부터 2025년 4월까지의 미국 실업률 추이를 시계열로 시각화한 것입니다.
📌
주요 관찰 포인트:
- 초기 하락세: 2024년 11월(4.2%) → 2025년 1월(4.0%)
- 재상승 구간: 2025년 1월 이후 다시 상승 → 2025년 4월까지 4.2% 유지
- 정책 반영 시점: 2025년 2월부터 실업률 반등 시작 → 트럼프 2기 정책 영향 가능성 반영 구간
📝 관련 글 추천
📎 감세와 관세, 누가 이기는가? 경기 부양 효과 시뮬레이션 분석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4컷만화 요약 재밌네요.계속 실어주시나요?ㅎ 근데 저 대화의 실현이 언젠지 아무도 모르네요;;하게 되면 전격적으로 떠들썩하게 할 듯한데…
답글삭제감사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