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금도 오르고, 테슬라도 오르는 시장… 지금 돈은 어디로 가고 있을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은 2025년 5월 9일과 10일 사이 전 세계에서 보도된 주요 경제 뉴스와 금융시장 흐름을 기반으로, 최근 글로벌 자금이 어디로 몰리고 있고, 왜 그쪽으로 움직였는지를 설명한 분석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 유가·금값·비트코인 등 자산 가격, 그리고 테슬라·팔란티어 같은 주식시장 반응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으며, 복잡한 내용을 쉽게 풀어 설명하겠습니다.
1️⃣
미국과 중국,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 — 그런데 관세가 무려 145%?
미국과 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관세 문제를 놓고 다시 협상에 들어갔어요.
지금 미국은 중국 제품에 최대 145% 관세를 매기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80%
관세가 적당해 보인다. 이건 스콧(재무장관)에게 달렸다"
즉, 협상 여지를 열어두겠다는 의미예요.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상무장관 루트닉은 언론 인터뷰에서 **"34% 수준에서 타협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요점 정리:
- 트럼프는 **80%**를 언급 (직접 발언)
- 루트닉 장관은 34% 가능성 언급 (행정부 내부 시나리오)
📌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이건 “전쟁 끝날 수도 있다”는 신호처럼 보이는 거예요. 그래서 위험자산(예: 주식)에 돈이 일부 다시 들어오기 시작한 겁니다.
2️⃣
아시아 증시, 나라마다 반응이 다르다 – 일본은 웃고, 한국·중국은 울고
중국은 최근 수출이 전년 대비 +8.1% 늘어났다고 발표했어요. 그런데 이 수출 증가의 대부분은 미국이 아닌 동남아 지역 덕분입니다.
반대로 미국으로의 수출은 -21% 급감했고, 수입도 줄었어요.
🗺
주요국 증시 반응 (2025년 5월 9일 기준):
국가 |
증시 반응 |
이유 |
일본 |
+1.56%
(니케이) |
무역 기대감 + 미국 증시 영향 |
중국 |
-0.3%
(상하이) |
관세 불안감 + 수출 구조 전환 |
한국 |
-0.09%
(코스피), -0.97% (코스닥) |
기술주 중심의 자금 이탈 |
홍콩 |
+0.4% |
무역회복 기대 |
인도 |
-1% |
인도-파키스탄 군사 긴장 영향 |
💬
쉽게 말해서:
“누가 무역으로 수혜를 받을 것 같냐”에 따라 증시가 엇갈린 거예요.
3️⃣
금과 원유는 왜 오르나? — 불안과 기대가 동시에 작용
- 금값은 온스당 $3,340.29로 이번 주에만 +3.1% 상승
- 국제유가(WTI)는 배럴당 $61.02, 주간으로 +4% 상승
📌
금은 사람들이 불안할 때 찾는 ‘안전자산’이죠.
이번에는 트럼프가 “중국산 제품에 80% 관세를 매길 수도 있다”고 하자,
투자자들이 불안해져서 금을 사기 시작했어요.
📌
유가는 반대예요.
“미국과 중국이 싸움을 멈출지도 모른다 → 세계 무역이 다시 살아날지도 모른다 → 석유 수요도 늘겠다”는 기대감에 오른 거예요.
💬
한쪽은 불안 때문에 오른 것(금), 다른 쪽은 회복 기대 때문에 오른 것(석유)
→ 하지만 둘 다 실물 기반 자산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4️⃣
테슬라와 팔란티어, 실적보다 ‘기대감’에 올라가는 주식들
- 테슬라 주가는 이번 주에만 +3.8% 상승. 이유는 실적이 아니라:
- 로보택시(자율주행 택시) 기대감
- 트럼프의 무역 완화 조치로 영국 수출 확대 기대
- 머스크가 “경영에 집중하겠다”는 발언
- 팔란티어 주가는 국방 AI 계약이 늘면서 급등했어요.
- 시가총액이 2812억 달러에 도달
- PER이 무려 520배, 매우 비쌈에도 자금이 계속 몰림
📌
이건 실적보다는 ‘스토리’에 돈이 몰리는 전형적인 흐름입니다.
5️⃣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대체자산으로 부각
- 비트코인: $100,000 이상 유지, 이더리움도 2021년 이후 최고 상승률
- 그런데 동시에 트럼프는 자신이 만든 **‘$TRUMP 코인’**으로 논란 중
이런 상황에서도 비트코인은 오르고 있습니다.
💬 왜냐하면: “정부가 혼란스러우면 오히려 정부 밖에 있는 자산이 안전하다”는 인식 때문이에요.
6️⃣
이번 주 돈의 흐름 요약 – 두 방향으로 갈라진 흐름
자산 |
움직임 |
해석 |
🛢
원유 |
상승 |
무역 회복 기대 |
🥇
금 |
상승 |
고관세·지정학 불안 대응 |
📈
테슬라·팔란티어 |
상승 |
실적보다 기대감 |
📉
한국·중국 증시 |
하락 |
공급망 재편과 불확실성 |
🪙 암호화폐 |
상승 |
제도 밖 자산 선호 증가 |
✅
핵심 정리:
지금 시장은 불안과 기대가 동시에 존재하는 상태예요.
일부 돈은 "좋아질 거야"를 보고 움직이고(테슬라, 원유),
다른 돈은 "위험하니까 대비하자"는 생각으로 움직이는 중입니다(금, 비트코인).
따라서 우리는 이 자금 흐름을 단순히 ‘상승/하락’이 아닌,
“무엇을 기대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는가”라는 심리의 이동으로 봐야 합니다.
이번 정리는 2025년 5월 두 번째 주 기준으로, 세계 금융시장에서 돈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그리고 그 흐름을 바탕으로 지금 어떤 투자 전략이 가장 적절할지를 일반 투자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한 투자 전략 가이드입니다.
1️⃣ 지금
시장은 "좋아질 수도 있지만, 여전히 불안한 상황"
📌 지금 세계 경제 분위기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희망은 있지만, 그 희망이 현실이 될지는 아직 몰라요.”
예를
들어,
- 미국과 중국이 관세 문제로 다시 협상을 시작했지만,
- 여전히 관세는 높고, 트럼프 대통령은 80% 관세 언급까지 했고,
- 중국은 미국으로의 수출이 20% 넘게 줄었습니다.
💬 이런 상황에서는 투자자들이 어떤 생각을 할까요?
- “혹시 좋아질지도 모르니까 미리 투자해 볼까?”
- “그래도 혹시 몰라서 금이나 비트코인도 좀 사둘까?”
👉 그래서 요즘은 기대감에 올라가는 종목도 있고, 동시에 불안해서 오르는 자산도 있는 거예요.
2️⃣
실제
돈이
어디로
가고
있나?
현재
자금이
몰리고
있는
곳은
두
방향으로
나뉩니다.
흐름 방향 |
대표 자산 |
왜 오르고 있나? |
✅ 기대감에 투자하는 자산 |
테슬라, 팔란티어, AI 주식 |
관세 완화, 자율주행택시, 국방 AI 등 “미래 기대감” |
✅ 불안해서 대비하는 자산 |
금, 비트코인 |
관세 전쟁, 전쟁 리스크, 정부 정책 불신 등 “위험 회피” |
💬 쉽게
말하면:
한쪽에서는 "기회"를 보고 투자하고 있고,
다른 쪽에서는 "위험"을 보고 대비하는 거예요.
3️⃣
지금 어떤
투자 전략이 적절할까요?
💡 지금은 어느
한쪽에 **몰빵(한쪽에 다
투자)**하면
위험해요.
그래서 분산 투자, 즉
여러 방향으로 나눠서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전략 ①: "기대감 테마" 투자 (공격적인 자산)
- 예: 테슬라, 팔란티어, AI 관련 ETF, 국방 기술주
- 이유: 앞으로 기술이 바꿀 미래에 투자
- 비중 추천: 전체 자산의 약 20~25%
📌
전략 ②: "불안 대비" 자산 (방어적인 자산)
- 예: 금 ETF, 비트코인 일부, 달러 표시 자산
- 이유: 관세, 전쟁, 정치 혼란에 대비
- 비중 추천: 전체 자산의 약 15~20%
📌
전략 ③: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안전 자산
- 예: 단기 채권 ETF, 달러 MMF, 고정금리 예금
- 이유: 상황이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리기 위한 자산
- 비중 추천: 전체 자산의 약 40~50%
💬 이런 식으로 나누면,
"기회가 생기면 잡을 수 있고,
위기가 오면 지킬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거예요.
🔚
정리하면
📌 지금
시장은:
“좋아질
수도
있지만,
그
전에
한
번
흔들릴
수도
있는
상황”
이기
때문에,
✔️ 기대감에
올라가는
종목도
조금
담고,
✔️ 불안
대비용
자산도
조금
담고,
✔️ 나머지는
현금처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게
현명합니다.
📝 관련 글 추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