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시황] 무역 협상과 금리 변수 속 아시아 증시 혼조세…한국은 조정 압력

[2025 4 30 아시아 증시 동향

1️⃣ 🗓 주요 아시아 증시 마감 현황
2025
4 30 기준, 아시아·태평양 주요 증시는 국가별 경제지표 발표와 무역 협상 기대감이 엇갈리는 가운데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국가/지역

대표 지수

종가

변동폭

등락률

일본

Nikkei 225

36,045.38

+205.39

+0.57%

일본

Topix

2,667.29

+0.63p

+0.63%

한국

KOSPI

2,556.61

-8.81

-0.34%

한국

KOSDAQ

717.24

-9.24

-1.27%

호주

S&P/ASX 200

8,126.20

+55.60

+0.69%

홍콩

Hang Seng Index

22,119.41

+111.30

+0.51%

중국 본토

CSI 300

3,770.57

-4.52

-0.12%

중국 보조

Shanghai Composite

3,279.03

-7.62

-0.23%

📌 해석 요약

  • 일본, 호주, 홍콩 증시는 상승 마감하며 긍정적 흐름을 보였고,
  • 반면 한국과 중국 본토 시장은 기술주 제조업 부진 우려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 📌 일본은행(BOJ) 통화정책 회의 개시
일본은행은 4 30 기준금리 회의를 시작했습니다. 시장에서는 현행 0.5% 금리 동결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발표는 5 1 예정입니다.

📢 주요 배경

  •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에서 안정
  • 수출 기업 중심의 엔화 약세 효과
  • BOJ 완화적 기조 지속 입장 유력

예상되는 영향

  • 금리 동결 일본 수출 관련 주식에 외국인 자금 유입 가능성 증가

3️⃣ 📉 중국 제조업 활동 위축
2025
4, 중국 제조업 지표는 예상보다 크게 하락하며 수축 국면으로 진입했습니다.

📌 지표 해석

  • CSI 300 지수 -0.12% 하락
  • 제조업 경기 위축은 미국과의 무역 마찰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정책 시사점

  • 정부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제조업 수출 회복 지연 우려 확산

4️⃣ 🔎 호주 소비자물가 상승
🗓 2025
1분기 CPI 전년 동기 대비 2.4% 상승, 이는 로이터 예상치(2.3%)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 해석 포인트

  • 인플레이션 압력이 아직 해소되지 않았음을 시사
  • **호주중앙은행(RBA)** 긴축 유지 여부에 대한 논의 가능성 증가

5️⃣ 🤝 ·아시아 무역 협상 진행 상황

📌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무역 협상에 대해

“coming along great” (매우 순조롭게 진행 )이라고 밝혔습니다.

📌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 일본과의 “substantial talks”(실질적인 협상) 진행 중이며,
  • 한국과는 **“the contours of a deal”(합의의 윤곽)** 형성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정책 기대 효과

  • 미국과의 무역 협상 관련 발언이 일시적 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할 있으나,
    협상 구조상 실질적 수혜보다는 미국 요구에 따른 양보가 중심일 가능성이 크며, 결과적으로는 한국·일본 기업의 단기적 기대와 장기적 리스크가 공존하는 상태 판단됨.

6️⃣ ✔ 종합 정리 블로그 활용 포인트

  • 일본 금리 동결 기대가 증시 안정성을 높이고 있으며,
  • 중국 제조업 위축이 시장 불안을 자극하고 있음
  • 한국 무역 협상 기대에도 불구하고 기술주 조정이 증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
  • 호주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통화정책 민감도가 확대되고 있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