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시황] 기관 매수에 탄력받은 코스피·코스닥, 트럼프 관세 완화 기대 반영

2025 4 29 한국 증시 마감 분석: 관세 완화 기대와 기관 매수세로 KOSPI·KOSDAQ 동반 상승

1️⃣ KOSPI·KOSDAQ 지수 등락률 요약
2025
4 29 한국 증시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완화 조치 발표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기관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KOSPI KOSDAQ 모두 상승세를 보였으며, 상승 종목 수도 하락 종목보다 우세했습니다.

지수명

종가

전일 대비

등락률

KOSPI

2,565.42

+16.56

+0.65%

KOSDAQ

726.46

+7.05

+0.98%

2️⃣ 상승·하락 종목 비교
시장 참여의 폭을 보여주는 상승·하락 종목 수는 다음과 같이 상승 종목이 압도적 우세 나타냈습니다.

시장

상승 종목

하락 종목

KOSPI

660

238

KOSDAQ

1,056

549

상승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보다 2~3 달하며, 시장 전반의 강한 매수세 확인할 있습니다.

3️⃣ 투자자 매매 동향 분석
📌
투자자별 순매수·순매도 현황을 통해 수급 구조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투자자 구분

KOSPI ( )

KOSDAQ ( )

비고

개인

-1,752

-1,741

📉 매도세

외국인

-2,285

+1,479

KOSDAQ 📈 매수 전환

기관

+3,630

+412

시장 모두 📈 순매수

  • **개인 투자자(Individual)** 시장에서 일제히 순매도 했습니다.
  • **외국인(Foreigner)** KOSPI에서는 매도, KOSDAQ에서는 매수로 전환했습니다.
  • **기관(Institutions)** **KOSPI에서 강하게 매수(3,630 )** 나서며 상승을 주도했고, KOSDAQ에서도 소폭 순매수했습니다.

🔍 시장 영향 분석:
KOSPI
기관의 공격적 매수가 지수 방어를 이끌었고, KOSDAQ 외국인의 순매수 전환이 주요 상승 동력이 되었습니다. 개인은 전체적으로 이익 실현에 나서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4️⃣ 환율 정보 (정보 제공 시점 포함)

통화쌍

환율

변동

변동률

시간

USD/KRW

1,432.77

-3.06

-0.21%

17:28:13 기준

5️⃣ 아시아 증시 전반 분위기 요약
🗓
오늘 아시아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영향 완화 조치 대한 기대감과 주요 기업 실적 발표에 대한 관심 속에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주요 시장별 흐름:

지수명

종가

변동

등락률

S&P/ASX 200 (호주)

8,070.60

+73.50

+0.92%

CNBC 100 Asia

10,228.00

+72.27

+0.71%

Hang Seng (홍콩)

22,008.80

+36.84

+0.17%

Shanghai Composite (중국)

3,286.65

-1.76

-0.05%

Nikkei 225 (일본)

휴장

-

-

  • **중국 본토(CSI 300 기준)** 소폭 하락(-0.17%)하며 무역협상 불확실성과 기술주 조정 영향을 받았습니다.
  • 홍콩과 호주 증시는 상승 마감하며 관세 완화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 일본 시장은 공휴일로 휴장이었습니다.

6️⃣ 핵심 이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
📢
트럼프 행정부는 "Trump’s administration said that it would move to reduce the impact of auto tariffs"
(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관세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라고 밝혔습니다.

➡️ 이는 관세 자체를 철폐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생산차량에 적용되는 부품 관세를 줄이거나 이중 관세(Stacked Tariffs) 완화하려는 방향으로 해석됩니다.
📌
해당 발언은 시장에 심리적 안도감을 제공하며, 특히 자동차·부품·제조업 관련 종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습니다.

7️⃣ 마무리 정리 관전 포인트
한국 증시는 오늘 **KOSPI +0.65%, KOSDAQ +0.98%** 동반 상승 흐름을 기록했습니다.
기관 매수세와 외국인 수급 회복, 그리고 글로벌 관세 정책 완화 기대감 맞물리며 시장이 상승 탄력을 받았습니다.


📝 관련 글 추천

📎 [시황] 외국인 매도 공습 속 코스닥 급락, KOSPI 간신히 상승 방어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