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종목분석] “실적은 넘었지만 수주는 무너졌다: ASML, -19% 충격에 주가 6% 급락”

📊 [종목분석] “실적은 넘었지만 수주는 무너졌다: ASML, -19% 충격에 주가 6% 급락”

글은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기업 ASML 2025 1분기 실적, 주문 수주 부진,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적으로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실적 수치와 시장 기대치 괴리, CEO 발언, 관세 리스크가 향후 실적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정리하고, 투자자 입장에서 유의할 점을 사례와 함께 쉽고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1️⃣ 1분기 실적 시장 반응 요약
ASML
순이익에서는 시장 기대를 소폭 상회했으나, 핵심인 수주(Net Bookings) 부문에서 폭의 부진을 기록하였습니다.

📌 주요 실적 요약:

구분

실제 수치

시장 예상 (LSEG)

차이 해석

매출(Net Sales)

€7.74B

€7.80B

-0.77% (소폭 미달)

순이익(Net Profit)

€2.36B

€2.30B

+2.6% (예상 상회)

수주(Net Bookings)

€3.94B

€4.89B

-19.4% ( 하회)

🔎 시장 해석:

  • 수익성은 양호하지만 수주가 -19.4% 하회하며 선행지표로서 경고 신호
  • 주가도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실적 발표 당일 -6% 하락
  • 고객사의 발주 지연, AI 이외 섹터의 수요 둔화가 복합 작용

📢 사례:
TSMC
AI 이외 분야 설비 투자를 늦출 경우 ASML 주문 감소는 가속화될 있습니다.


2️⃣ 연간 가이던스 유지와 CEO 신중한 발언
CEO
크리스토프 푸케는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30B~€35B 범위로 유지했습니다.

🗣️ CEO 코멘트:

"We still see basically our revenue range for 2025 being between basically €30 and €35 billion"
(
우리는 여전히 2025 연간 매출이 기본적으로 300~350 유로 범위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석:

  •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AI 중심 수요가 견조하다는 판단
  • 다만일부 고객사와의 불확실성이라는 표현은 가이던스 하단 이탈 가능성 암시

📌 투자자 참고:
수주가 분기별로 약화될 경우, 가이던스 하단을 기준으로 실적을 리밸류에이션하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3️⃣ 관세 정책 리스크: 트럼프 행정부의 영향
🧨
주요 내용 요약:

항목

설명

직접 관세 부과

아직 적용되지 않음

간접 영향

고객사의 투자 결정 지연, 공급망 불확실성 증가

정책 혼선

트럼프 대통령 발언과 무역부 발언 충돌 존재

🗣️ CEO 발언:

"Tariffs are creating a new uncertainty for the economy and for our potential market demands."
(
관세는 경제 시장 수요에 대해 새로운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

📌 사례:
만약 미국이 일부 파운드리 장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고객사인 삼성전자나 TSMC 발주를 유예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주가 반응 투자자 관점의 해석
📉
주가 반응: 실적 발표 이후 -6% 하락

📌 원인 복합 요인:

  • 수주 부진 가장 원인 (예상 대비 -19.4%)
  • 관세 정책 불확실성투자 발주 보류 가능성
  • AI 수요는 긍정적이지만, 다른 산업 수요 둔화 리스크

📊 투자자 시각에서의 점수 평가 (100 만점 기준):

항목

점수

설명

수익성

85

순이익 증가, 매출 유지

성장성

60 ⚠️

수주 감소 미래 성장 불확실

안정성

75

탄탄한 기술 경쟁력과 고객 기반

정책 리스크

45 🔻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불확실성 증가


5️⃣ 투자 전략 제언

📌 중장기 투자 전략 방향:

  1. 리스크 관리 관점
    • 관세 정책 확정 이전까지 포트폴리오 비중을 축소하거나 중립 유지 권고
    • 수주 감소 추세가 2분기에도 반복될 경우, 밸류에이션 할인 적용 필요
  1. 중장기 전략
    • AI 고성능 컴퓨팅 중심 수요는 견조하므로, 장기적 관점에서는 매수 관점 유지
    • 단기 조정이 지속될 경우 $800 이하 분할 매수 고려
  1. 펀더멘털 변화 향후 모멘텀
    • 단기: 수주 약화와 정책 혼선으로 인해 변동성 확대
    • 중기: 2025 하반기 관세 방향성이 정리될 경우 모멘텀 회복 가능
    • 장기: High-NA EUV 장비 도입 확대, 신제품군 출시에 따른 회복 기대

📌 결론 요약
ASML
단기적으로 수익성은 양호하나 수주 부진과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겹치며 주가 조정 압력 커진 상황입니다. 특히 관세 리스크는 투자 결정 지연 수요 둔화로 이어질 있어, 투자자 입장에서는 신중한 분할 매수 전략 정책 방향 모니터링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