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7월 8일 관세 리스크 시한폭탄: 한미 통상 협상 줄라이 패키지의 진실

📊 한·미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협상 구조 총정리: 미국 주도 프레임과 한국의 선택지

이번 글은 · 고위급 통상협의 진행 상황과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중심으로 협상 구조를 명확히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알기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무엇인가?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 미국이 주도하는 통상 협상 구조입니다.

📌 정의

  • 4 9 미국이 57개국 대상 상호관세 25% 발효를 발표했지만, 금융시장 충격으로 13시간 만에 7 8일까지 유예를 선언했습니다.
  • 유예 종료 시점(7 8) 데드라인으로 삼아 동맹국들에게 양보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 주요 일정 요약

날짜

주요 내용

4 9

상호관세 25% 발효 선언 13시간 유예 발표

4 24

· 2+2 통상 협의 개최, 줄라이 패키지 협상 착수

6 2

알래스카 LNG 투자 회담 예정 (LOI 제출 요구)

7 8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

요약
줄라이 패키지는 단순한 합의가 아니라, 미국이 설정한 시간 압박 프레임(Frame)입니다.

2️⃣ 미국이 설정한 4 통상 협상 의제

미국은 다음 4 핵심 영역을 협상 테이블에 올렸습니다.

🔍 주요 협상 의제

구분

설명

관세 비관세 장벽 완화

쇠고기 수입 확대,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완화

경제안보(Economic Security)

중국 견제를 위한 공급망 재편 협력 (Supply Chain 수출통제 공조)

투자 협력(Investment Cooperation)

미국 FDI(투자) 확대 요구, 조선산업 공동비전 제시

통화 정책(Monetary Policy)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 감시 환율조작 우려 제기

주목할

  • 의제들은 대부분 미국이 주도하여 설정했으며, 특히 한국이 꺼리는 환율 문제가 포함되었습니다.

3️⃣ 협상 방식: '2단계 합의론' 줄라이 패키지 프레임

📌 미국의 협상 프로세스

단계

내용

Step 1

틀의 기본합의(Framework Agreement)

Step 2

세부 조건 조율(Technical Negotiations)

🗓 실제 사례

  •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은 "agreement of understanding(이해에 대한 합의)" 도출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 이에 대해 한국 안덕근 장관은 "양해각서(MOU) 개념은 없었다" 설명했지만, 실무 협의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 요약
미국은 사전에 설정한 협상 한국에게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4️⃣ 줄라이 패키지 외형과 실제 성격 비교

표면적으로는 '공동 협의' 강조하지만, 실제 구조는 미국 주도의 '정책 통보' 가깝습니다.

📢 표면적 특징

  • "프레임워크 마련", "원칙적 합의" 등의 외교적 표현 사용
  • 한국 정부는 줄라이 패키지 협의에 대해 "공감대 형성"이라고 발표

🔍 실제 성격

  • 줄라이 패키지 명칭 자체도 미국이 선제적으로 설정
  • 양보 항목은 구체화했으나, 관세 철폐 조건은 명확하지 않음
  • NYT, WSJ 미국 주요 언론은 이를 **"양보 유도 협상 도구(tool of leverage)"** 평가 (양보들을 먼저 하고 나서도, 미국이 관세 면제를 최종 확정해주지 않을 있다는 점이 위험합니다.)

요약
줄라이 패키지는 겉은 대등 협의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미국이 테이블 규칙까지 정한 협상 구조입니다.

5️⃣ 정치 일정 리스크: 한국 대선이 미치는 영향

🗓 주요 정치 일정

  • 6 3: 한국 대통령 선거 예정

📢 분석

  • "While South Korea has good odds of negotiating a trade deal with the US, its electoral calendar may extend the timeline for a comprehensive agreement."
    (
    한국은 미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이 높지만, 선거 일정으로 인해 협상이 지연될 있다.)

요약
정부 출범 외교 기조 변화 가능성으로 인해 협상 일정이 불확실합니다.

6️⃣ 방위비 협상 분리 선언과 함의

📢 트럼프 대통령 발언

  • “We are not going to deal with military in any of the negotiations.” (우리는 어떤 협상에서도 군사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다.)

🔍 주의할

  • 과거 발언(방위비, 관세, 에너지 통합 협상 언급) 다소 충돌
  • 표면적으로 분리했지만, 실제 협상에서는 암묵적 연계 가능성 존재

요약
방위비 협상은 공식적으로 분리되었으나, 실제 협상과정에서 교묘한 연계 가능성 남아 있습니다.

7️⃣ 산업별 영향과 한국의 대응 전략

📢 주요 산업 영향 예상

산업군

영향 전망

대응 전략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활 가능성

관세 면제 협상 강화

자동차

수출 감소 규제 리스크

배출가스 규제 완화 병행 추진

에너지

알래스카 LNG 투자 압박

투자 참여 여부 신중 결정

대응 전략 제안

  • 양보시 구체적 보상 확보 필수
  • 비관세 영역까지 대응 포괄
  • 환율 리스크 사전 대비

8️⃣ 최종 결론: 줄라이 패키지 협상의 본질

📌 요약

  • 줄라이 패키지는 공동 협의처럼 보이나, 실질은 미국 주도의 양보 압박 구조
  • 7 8일이라는 시간 압박이 한국에 불리하게 작용
  • 산업별 영향 분석과 외환시장 변동성 대응이 필수
  • 방위비 협상 분리 선언에도 불구하고, 교차 연계 가능성 주의

📢 결론

"줄라이 패키지는 미국이 만든 규칙 한국이 올라선 협상 테이블"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