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시황] 외국인 대거 매수! 코스피 2,546 마감…반등 신호 켜졌나?


2025 4 25 한국 주식시장은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 힘입어 전반적으로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특히 중국의 125% 관세 철회 가능성 보도가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1️⃣ KOSPI·KOSDAQ 지수 등락률 요약
한국 증시의 대표 지수는 다음과 같은 변동을 보였습니다.

구분

종가

전일 대비 상승폭

등락률

📈 KOSPI

2,546.30

▲ 23.97

+0.95%

📈 KOSDAQ

729.69

▲ 3.61

+0.50%

2️⃣ 투자자별 매매 동향 분석
투자자 유형별로는 코스피에서는 개인 투자자만 순매도하였고, 외국인과 기관은 동시 순매수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투자자 구분

KOSPI 순매수 (억원)

KOSDAQ 순매수 (억원)

해석

개인

-7,975

+42

✅ KOSPI에서는 대규모 순매도, KOSDAQ 소폭 순매수

외국인

+6,316

+750

양시장 동시 순매수, 특히 KOSPI에서 적극적 매수

기관

+5,183

-658

✅ KOSPI 순매수, KOSDAQ 순매도

🔎 핵심 해석 요약:

  • 외국인은 KOSPI 중심 매수 우위, 이는 대형주에 대한 자신감을 반영
  • 기관도 KOSPI 대한 순매수세 동참, 반면 KOSDAQ에서는 비차익거래 중심의 순매도 추정
  • 개인은 코스피에서 이익 실현 차원의 매도세 강화

3️⃣ 상승·하락 종목 분석

시장 구분

상승 종목

하락 종목

KOSPI

647 종목

239 종목

KOSDAQ

1,020 종목

573 종목

📢 의미: 상승 종목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이는 단순 지수 상승보다도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 개선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4️⃣ 환율 정보
🕘
기준 시각: 2025 4 25 18:19:22
💱 USD/KRW
환율: 1,437.47 (+8.05, +0.56%)

5️⃣ 아시아 증시 요약

국가/지역

대표 지수

등락률

특이사항

🇯🇵 일본

Nikkei 225

+1.90%

📢 기술주 중심 상승 주도

🇭🇰 홍콩

Hang Seng

+0.32%

보합권에서 강보합 마감

🇨🇳 중국 본토

Shanghai Index

-0.07%

관세 완화 기대에도 미미한 반응

🌏 아시아 전체

CNBC Asia 100

+0.85%

아시아 전역에 걸친 동반 강세

📌 전반적 흐름 요약:

  • 미중 관세 완화 시그널 확산되며, 아시아~유럽 전체가 강세 보였음
  • 특히 일본과 한국 증시가 수출주 중심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중국 증시는 아직 정책 발표 이전의 경계감 속에 제한적인 흐름

6️⃣ 시장 영향 요인 요약

요인

내용 요약

🔄 미중 관세 철회 기대

중국 미국에 부여한 125% 관세 일부 철회 가능성 보도

🧾 미국 기술주 랠리 영향

전일 미국 증시 3 연속 상승


📌 결론 전략적 시사점

  • 이번 한국 증시의 상승은 대외무역 환경의 일시적 호전 기대감 기인하며, 특히 외국인 매수세 집중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탬.
  • 그러나 관세 정책 철회는 아직 공식 발표 단계, 향후 미국 행정부의 후속 조치 또는 협상 실패 가능성에 따라 시장이 다시 흔들릴 있음.
  • 향후 투자 전략으로는 관세 정책에 따라 민감도가 높은 수출주, 반도체, 자동차 업종 대한 선별적 접근이 유효하며, 외국인 수급 흐름 지속 여부를 핵심 모니터링 포인트로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