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PCE 물가지수 및 핵심(Core) PCE 결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페더럴 리저브], 이하 Fed)가 가장 중요하게 참고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 [퍼스널 컨슘프션 익스펜디처스]) 물가지수가 2024 12 2.6% 상승했으며, 핵심(Core) PCE 2.8%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과 부합했다. 그러나 여전히 Fed 2% 목표치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며, 이에 따라 향후 금리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1. PCE 물가지수 및 핵심(Core) PCE 결과 

PCE 물가지수는 미국의 소비자 지출에서 발생하는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중요한 경제 지표로, Fed가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이다. 

- 12 PCE 물가지수(Headline PCE)전년 대비 2.6% 상승하여 11(2.4%)보다 0.2%포인트 증가했다.  

- 핵심(Core) PCE 2.8% 상승하며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 핵심 PCE는 식품(Food [푸드]) 및 에너지(Energy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물가 지표로, Fed가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흐름을 판단할 때 더욱 중점적으로 활용한다.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를 여전히 크게 초과하는 수준이 유지되면서, 시장에서는 Fed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2. 월간 PCE 변동 및 세부 항목별 변동 

- 월간 PCE 상승률은 0.3%, 핵심 PCE 0.2% 상승하며 시장 예상과 일치했다. 

- 주요 품목별 가격 변동은 다음과 같다. 

  - 식품(Food): 0.2% 상승 

  - 에너지(Energy): 2.7% 상승 (전월 대비 큰 폭 상승) 

  - 내구재(Durable Goods [듀러블 굿즈]): -0.4% 하락 (디플레이션 발생) 

  - 비내구재(Nondurable Goods [논듀러블 굿즈]): 0.5% 상승 

 

특히 에너지 가격 상승이 PCE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으며, 내구재 가격 하락은 경기 둔화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3. Fed의 금리 정책과 시장 반응 

12 PCE 발표는 1 31일 발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페더럴 오픈 마켓 커미티])금리 동결 결정 이후 나온 경제 지표로, Fed의 향후 정책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1 FOMC 회의에서 Fed는 기준금리를 4.25%~4.5% 범위로 유지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 이는 2024 9월 이후 세 차례 연속 금리를 1%포인트 인하한 이후 첫 금리 동결 결정이다. 

- Fed 내부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여전히 목표치(2%)를 크게 상회하고 있어 추가 금리 인하를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미셸 보우만(Fed Governor Michelle Bowman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추가로 둔화하는 것이 확인될 때까지 금리 조정을 신중히 해야 한다"고 발언하며, 성급한 금리 인하에 대한 경계를 표명했다. 

 

4. 소득 및 소비 지출 증가 

- 개인 소득(Personal Income [퍼스널 인컴]) 12월에 0.4% 증가하며 예상치와 부합했다. 

- 개인 소비지출(Personal Spending [퍼스널 스펜딩]) 0.7% 증가하며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예상치 0.6%). 

 

이는 미국 소비자들이 여전히 높은 소비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5. 고용 비용 지수(Employment Cost Index, ECI)와 임금 상승률 

- 미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 [뷰로 오브 레이버 스태티스틱스])2024 4분기 고용 비용 지수(ECI)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0.9%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 이는 전분기(2024 3분기)보다 소폭 증가한 수준으로, 연간 기준으로는 3.8% 상승(전분기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고용 비용 증가율이 예상보다 낮아지면서, 노동시장의 임금 상승 압력이 점차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향후 인플레이션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 

 

6. 향후 전망: 금리 인하 가능성과 경제 영향 

이번 PCE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Fed의 금리 인하 시점이 더욱 불확실해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완만한 속도로 둔화하면서, Fed는 당분간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다. 

- 하지만 개인 소비지출(Personal Spending) 증가율이 예상보다 높았다는 점에서, Fed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 2025년 내 금리 인하는 가능성이 있지만, 3월보다는 6월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다. 

 

7. 결론 

PCE 물가지수는 2.6%, 핵심(Core) PCE 2.8% 상승하며 예상과 부합했지만, 여전히 Fed 2% 목표를 초과. 

에너지 가격 상승(2.7%) PCE 상승을 주도했으며, 내구재는 가격 하락(-0.4%)을 기록. 

Fed 1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며, 추가 금리 조정에 신중한 입장. 

개인 소득(0.4%) 및 소비지출(0.7%) 증가율이 양호한 흐름을 보이며, 경제 성장세를 유지. 

고용 비용 지수(ECI) 상승률은 0.9%로 예상 수준을 유지, 임금 상승 압력은 다소 둔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남아있지만, 3월보다 6월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짐. 

 

따라서, 이번 PCE 발표는 시장 예상과 부합하는 수준이었지만,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를 여전히 초과하고 있어 Fed가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향후 2~3개월 동안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가 확인된다면, 2025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