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주요 일정 및 채권금리 시황


[ 채권금리 : 딥시크 발표 후 국채로의 자금 이동 ]

이 글은 딥시크(DeepSeek)의 발표와 AI 기술 관련 주식 시장의 급락 이후, 안전자산으로서 미국 국채(Treasury, 트레저리)로의 자금 이동과 이에 따른 국채 수익률 하락, 그리고 금리 정책과 관련된 논의에 대해 다룹니다.

 

1. 딥시크 발표 이후 주식 시장의 충격과 국채로의 자금 이동 

딥시크가 발표한 오픈소스(Open-source) AI 모델이 기존 기술 대비 낮은 비용( 600만 달러)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는 소식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 나스닥) 주식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 많은 투자자들이 AI 투자 비용의 효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기술주에서 자금을 회수하고, 보다 안전한 투자처로서 미국 국채를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532% 9bp(베이시스 포인트) 하락했으며, 2년물 수익률은 4.197% 8bp 하락했습니다.

 

2. 국채와 안전자산 선호 현상 

CFRA 리서치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샘 스토발(Sam Stovall) "국채는 투자 포트폴리오에 균형감을 제공하는 안전자산 역할을 하며, 투자자들이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국채로 몰리는 것은 당연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주식 시장이 변동성을 보이거나 급락하는 경우, 투자자들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국채를 선호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줍니다. 

 

3. 연방준비제도(Fed, 페드) 금리 정책 발표 대기와 도널드 트럼프의 발언 

이번 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의 첫 회의는 금리 정책에 대한 발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CME 그룹의 FedWatch 툴에 따르면, 시장은 금리가 동결될 확률을 99% 이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새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월드 이코노믹 포럼)에서 전 세계적으로 금리를 낮출 것을 요구하며, 연준에 금리 인하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치적 요구는 금융 정책의 독립성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4. 향후 전망과 투자자들의 고민 

딥시크의 발표로 인해 AI 관련 기술 투자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혼재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기존의 AI 기술 개발 전략과 비용 구조를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연준의 금리 동결이 예견되면서, 국채를 비롯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위와 같은 흐름은 AI 기술 개발 비용의 변화와 정책적 불확실성이 주식 시장 및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잘 보여주는 사례로, 앞으로의 시장 동향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주요기업 : 실적 발표 일정 ]

주요 기술(Tech) 기업들의 실적 발표 일정입니다. 각각의 기업과 관련된 실적 발표 날짜를 살펴보겠습니다.

 

### 1. 수요일(Wednesday) - Meta, Microsoft, Tesla

- Meta (메타): Facebook(페이스북), Instagram(인스타그램), WhatsApp(왓츠앱) 등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광고 수익이 주요 실적 지표입니다. AI 기반 광고 기술이나 사용자 증가율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Microsoft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Azure(애저), 소프트웨어 판매 (Windows, Office), 그리고 AI 투자(특히 OpenAI 협력) 등이 실적의 핵심입니다. 클라우드 성장률과 AI 관련 수익에 집중하세요.

- Tesla (테슬라): 전기차(EV) 제조업체로, 차량 판매량,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 그리고 자율주행 기술 업데이트가 실적 발표의 주요 내용입니다. 최근 생산 확대와 가격 인하가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2. 목요일(Thursday) - Apple

- Apple (애플): 아이폰(iPhone), 맥북(MacBook), 애플워치(Apple Watch) 등 하드웨어 매출뿐만 아니라 서비스 부문(Apple Music, iCloud )의 성장이 주목됩니다. 특히, 아이폰 15 판매량과 중국 시장에서의 성과가 중요한 실적 요인입니다.

 

### 3. 2 4 (February 4) - Alphabet

- Alphabet (알파벳): Google(구글)의 모회사로, 광고 수익, 유튜브(YouTube) 매출,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 성장률이 실적 발표의 핵심입니다. ChatGPT와 경쟁 중인 Bard(바드)와 같은 AI 서비스 업데이트도 주목할 만한 사항입니다.

 

### 4. 2 6 (February 6) - Amazon

- Amazon (아마존): 온라인 쇼핑몰 매출, Amazon Web Services(AWS) 클라우드 서비스 수익, 그리고 프라임 멤버십 성장률이 중요합니다. 최근 경기 둔화가 소비자 지출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5. 2 26 (February 26) - Nvidia

- Nvidia (엔비디아): GPU(그래픽 처리 장치) 제조업체로, AI와 데이터센터 수익이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AI 칩 수요와 DeepSeek(딥시크)와 같은 새로운 경쟁자들로 인한 시장 상황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 요약

이 일정은 기술 산업 전반의 실적 발표를 통해 시장 동향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기업의 실적은 그들의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 산업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주식 시장의 움직임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eta는 광고 업황을, Nvidia AI 시장 성과를, Tesla는 전기차 시장 동향을 보여줄 것입니다.


[ 이번주 : 주요 경제 일정 ]

이번 주의 주요 경제 데이터 발표 일정입니다. 각 항목이 경제와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월요일 (Today) - New Home Sales (신규 주택 판매)

- 내용: 신규 주택 판매는 부동산 시장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소비자 신뢰와 경제의 전반적인 상태를 반영합니다.

- 예시: 만약 신규 주택 판매가 증가한다면, 이는 사람들이 집을 구매할 여유가 있다는 뜻으로 경제가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판매가 감소하면 경제 불안감이나 높은 이자율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 화요일 (Tuesday) - Durable Goods (내구재 주문)

- 내용: 내구재 주문은 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자동차, 기계)의 주문량을 측정합니다. 이는 제조업과 투자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예시: 내구재 주문량이 증가하면 기업들이 미래 수요에 대비해 생산을 늘리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반면 감소한다면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생길 수 있습니다.

 

### 3. 수요일 (Wednesday) - Fed Decision (연방준비제도 정책 결정)

- 내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금리가 동결, 인상, 또는 인하되는지에 따라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예시: 금리가 인상되면 차입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 활동이 둔화될 수 있고, 금리가 인하되면 경제 성장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 4. 목요일 (Thursday) - Jobless Claims (실업수당 청구 건수)

- 내용: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노동시장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예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줄어들면 고용시장이 강하다는 뜻이며, 이는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그러나 수치가 늘어나면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질 수 있습니다.

 

### 5. 금요일 (Friday) - PCE Data (개인소비지출 데이터)

- 내용: 개인소비지출(PCE) 데이터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측정하며, Fed가 주목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예시: PCE 상승률이 높다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금리 인상의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상승률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요약

이번 주 발표되는 경제 데이터는 부동산 시장, 제조업, 고용 시장, 인플레이션 등 미국 경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수요일의 Fed 금리 결정과 금요일의 PCE 데이터는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각의 지표가 시장 심리와 투자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톰 리 주장 : 이번 하락은 매수 기회 ]

이 글은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발표로 인해 엔비디아(Nvidia)를 비롯한 기술 주식 시장에서 발생한 매도세와 이에 대한 Fundstrat(펀드스트랫)의 톰 리(Tom Lee) 연구 책임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논의합니다. 그는 이러한 매도세가 과잉 반응이라고 주장하며, 투자자들에게 이번 하락을 매수 기회로 간주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1. 딥시크 발표로 인한 시장 충격

딥시크는 2024 12월에 600만 달러(밀리언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개발된 오픈소스(Open-source, 오픈소스)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라지 랭귀지 모델)을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기존의 AI 모델 개발에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인식을 흔들며, 비용 효율적이고 빠른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엔비디아와 같은 고성능 칩 제조업체의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졌습니다.

 

### 2. 엔비디아 주가 하락과 기술 섹터 매도세

엔비디아의 주가는 월요일 17% 가까이 하락하며 2020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브로드컴(Broadcom) 등 기타 기술 섹터 주식도 큰 폭으로 하락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 지수는 5% 이상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기술 섹터의 과대평가와 AI 투자 효율성에 대한 의문이 확산된 결과로 보입니다.

 

### 3. 톰 리의 분석: 과잉 반응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톰 리는 이번 매도세를 과잉 반응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는 과거 2020 3월의 엔비디아 주가 하락이 결국 투자자들에게 큰 기회가 되었던 점을 언급하며, 현재의 하락도 유사한 패턴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엔비디아가 VHS 대 베타맥스(Betamax) 경쟁처럼 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은 낮다"며 이번 하락을 매수 기회로 간주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4. 금융 섹터에 대한 긍정적 전망

톰 리는 기술주 매도세와 별개로 금융 섹터를 가장 유망한 투자 대상으로 꼽았습니다. 그는 새 행정부의 정책, 비둘기파적(Fed가 금리를 동결하거나 낮추는 방향) 연준(Fed)의 자세, 은행에 유리한 금리 환경 등을 근거로 금융 섹터가 올해 긍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특히 은행의 자본 시장 활동 증가와 낮은 밸류에이션이 금융 섹터의 강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5. 결론: 시장 반응과 투자 전략

이번 딥시크 발표로 인해 기술 섹터에서 나타난 매도세는 AI 투자에 대한 효율성과 경쟁력을 둘러싼 새로운 논쟁을 촉발했습니다. 그러나 톰 리는 이러한 하락세가 장기적으로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하며, 투자자들에게 단기적인 시장 반응에 흔들리지 말 것을 권장했습니다. 동시에 금융 섹터와 같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대안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