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종목 분석 : 2025년 1월 6일 월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종목별 비즈니스 모델과 상승 모멘텀
### 1. 두산테스나
- 비즈니스 모델: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전문 기업으로, 주로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 이미지 센서 등 첨단 반도체의 검사 및 품질 관리를 수행합니다.
- 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상승 모멘텀:
- 모바일
및 자율주행차 이미지 센서 수요 증가.
- 반도체
후공정 시장 확대: AI, 5G 반도체 수요 증가.
- 신규
고객 확보 가능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 확대 기대.
### 2. 인텍플러스
- 비즈니스 모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제조업체로, 2D 및 3D 검사
장비를 제공하며, 반도체 불량 검출 자동화 시스템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합니다.
- 상승 모멘텀:
- 3D
검사 장비 수요 증가: 첨단 반도체 패키징 수요 확대.
- AI
및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검사 확대.
- 국내외
대형 고객사의 설비 투자 증가.
### 3. 제주반도체
- 비즈니스 모델:
모바일 DRAM 및 SRAM 등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IoT 및 웨어러블 기기에 특화된 제품을 생산합니다.
- 상승 모멘텀:
- IoT
및 웨어러블 기기 시장 성장.
- 5G
통신 확대: 모바일 메모리 수요 증가.
- 해외
진출 강화: 신흥 시장에서의 고객 기반 확대.
### 4. 하나마이크론
- 비즈니스 모델: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전문 기업으로, 차량용 반도체와 스마트폰 반도체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상승 모멘텀:
-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용 반도체 수요 증가.
- 고도화된
패키징 기술 적용: FOWLP(팬아웃 웨이퍼 레벨 패키징) 기술
확산.
- 메모리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
### 5. 이엔에프테크놀로지
- 비즈니스 모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필요한 화학 소재(세정제, 식각제
등)를 개발 및 생산합니다.
- 상승 모멘텀:
- 반도체
소재 국산화 정책 수혜.
- OLED
디스플레이 소재 수요 증가.
- 첨단 EUV 공정 확대로 인한 수요 상승.
### 6. 피에스케이
- 비즈니스 모델:
반도체
공정 장비 제조업체로, 플라즈마 에칭 장비 및 건식 박리(Dry
Strip)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합니다.
- 상승 모멘텀:
- EUV
공정 확산: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서 에칭 장비 필요성 증가.
- 3D
NAND 생산 확대: 첨단 메모리 제조 공정에서 장비 수요 증가.
- 글로벌
반도체 설비 투자 증가.
### 7. 인터플렉스
- 비즈니스 모델:
스마트폰과
같은 IT 기기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으로, 주로 고부가가치 제품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상승 모멘텀:
- 스마트폰
고급화: 고사양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 채택 확대.
- 5G
기기 보급 확대.
- 자동차
전장용 FPCB 시장 성장.
### 8. 셀트리온
- 비즈니스 모델:
항체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을 개발하는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주요 제품군으로는 자가면역질환 및 항암제 바이오시밀러가
있습니다.
- 상승 모멘텀:
- 바이오시밀러
시장 성장: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확대.
- 신약
개발 진전: 새로운 치료제 파이프라인 강화.
- 계열사
합병 기대감: 경영 효율화 및 시너지 창출 가능성.
### 9. OCI홀딩스
- 비즈니스 모델:
태양광용
폴리실리콘과 같은 화학 소재를 생산하며,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에너지 솔루션으로 사업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 상승 모멘텀:
- 글로벌
태양광 수요 증가: 폴리실리콘 가격 상승과 시장 성장.
- 탄소중립
정책 수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수요 확대.
- 사업구조
전환: 화학 중심에서 에너지 중심으로의 성공적 전환 기대.
이상으로 각 종목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과 상승 모멘텀을 정리해드렸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