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종목 분석 : 2025년 1월 18일 토요일



이 글은 LS에코에너지, 케이씨피드, 아이엠티, HPSP, SKC, 테스, 아이패밀리에스씨 등 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최근 상승 모멘텀에 대해 다룹니다.

 

1. LS에코에너지

비즈니스 모델

LS에코에너지는 베트남에서 전력선 및 통신 케이블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초고압 전선, UTP(언쉴디드 트위스티드 페어, 비차폐 꼬임선) 케이블 등을 생산합니다.

 

상승 모멘텀

최근 베트남 전력 인프라 시장의 회복과 북미향 통신 케이블 수요 증가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저 케이블 및 희토류 사업 등 신사업 추진으로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케이씨피드

비즈니스 모델

케이씨피드는 동물 사료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양돈, 양계, 수산 등 다양한 축종의 사료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

최근 국내 축산업의 성장과 함께 사료 수요가 증가하면서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수익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아이엠티

비즈니스 모델

아이엠티는 무선 통신 장비 제조 기업으로, 주로 이동통신 기지국에 사용되는 RF(라디오 프리퀀시, 무선 주파수) 필터 등을 생산합니다.

 

상승 모멘텀

5G 네트워크 확산에 따른 통신 장비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주요 통신사와의 공급 계약 체결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4. HPSP

비즈니스 모델

HPSP는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으로, 주로 플라즈마 도핑(Plasma Doping) 장비를 생산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미세 공정 전환에 따른 첨단 장비 수요 증가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반도체 제조사와의 장기 공급 계약 체결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5. SKC

비즈니스 모델

SKC는 화학 및 소재 전문 기업으로, 필름, 화학, 전자재료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2차 전지용 동박 제조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소재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으로 2차 전지 소재 수요가 증가하면서 동박 사업 부문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지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6. 테스

비즈니스 모델

테스는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으로, 주로 증착(Deposition) 및 식각(Etching) 장비를 생산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

반도체 산업의 투자 확대와 첨단 공정 도입으로 증착 및 식각 장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력 향상을 통해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7. 아이패밀리에스씨

비즈니스 모델

아이패밀리에스씨는 화장품 및 생활용품 제조 기업으로, 스킨케어, 메이크업, 퍼스널 케어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

K-뷰티의 인기에 힘입어 해외 시장에서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판매 채널 강화와 신제품 출시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