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면분할은 주식 수는 증가, 한 주당 가격은 낮아짐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문서에서 설명된 액면분할(Stock Split)과 관련된 내용을 예를 들어 친절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1. 액면분할이란 무엇인가요?
- 액면분할(Stock Split)은 회사의 1주당 명목 가치를 낮추고 주식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입니다.
- 예를 들어, 액면가가 10,000원이었던 주식을 100원으로 분할하면 주식 수는 100배로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2. 액면분할의 이유
#### 2.1. 주가가 너무 비싸서 유통이 어려운 경우
- 높은 주가는 소액 투자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예: 어떤 회사의 주가가 1,000,000원일 경우, 투자자는 최소 1주를 사기 위해 100만 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액면분할로 10,000원으로 낮추면, 동일 금액으로 100주를 살 수 있어 투자 접근성이 좋아집니다.
#### 2.2. 합병 비율 결정의 편리성
- 회사 간 합병 시, 주식의
가치와 비율을 조정하기 위해 액면분할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예: A회사의 주식이 10,000원, B회사의 주식이
5,000원일 때, 주식 비율을 맞추기 위해 A회사는
액면분할을 통해 주식가를 5,000원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2.3. 스톡옵션 부여
- 스타트업이나 고속 성장 기업은 직원에게 스톡옵션(Stock Option, 주식 매입권)을 부여하기 위해 액면분할을
활용합니다.
- 주식 수가 많아지면 직원들에게 더 많은 옵션을 나눠줄 수 있고, 회사의 동기부여 전략에도 효과적입니다.
#### 2.4. 신규 주식 발행의 유리함
- 새로운 주식을 발행할
때, 발행가는 액면가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액면가를
낮추면 추가 자본 조달이 용이해집니다.
### 3. 액면분할의 효과
#### 3.1. 주가 하락
- 주식 수가 증가하면 한 주당 가격은 낮아집니다.
- 예: 기존 주가가 1,000,000원이었는데, 액면분할 후 10,000원이 됩니다. 하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1주가 아니라 100주를 보유하게 되므로 총 가치는 변하지 않습니다.
#### 3.2. 주식 수 증가
- 액면분할로 주식 수가 증가하면,
유동성이 좋아지고 시장에서 주식 거래가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4. 액면분할의 사례
#### 예시 1: 액면가 10,000원 주식
- 분할 전:
- 액면가: 10,000원
- 주식
수: 1,000주
- 시가총액: 10억 원
- 주가: 1,000,000원
- 분할 후:
- 액면가: 100원
- 주식
수: 100,000주
- 시가총액: 10억 원
- 주가: 10,000원
- 결과: 주식 수는 늘어나고, 주가는 낮아졌지만 전체 시가총액은 변하지 않습니다.
#### 예시 2: 액면분할
후 효과
- 기존 주가가 1,000,000원이던
회사가 액면분할로 주가가 10,000원이 되면, 소액 투자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거래량이 증가하고, 주가가
장기적으로 안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5. 중요한 점
- 액면가(Nominal
Value)는 회사의 정관에 기록된 1주당 명목 가치로,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과는 다릅니다.
- 액면분할은 자본금 자체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아니라, 주식 수를 늘리고 1주당 명목 가치를 낮추는 것입니다.
### 6. 결론
액면분할은 회사의 유동성을 높이고,
소액 투자자의 접근성을 개선하며, 경우에 따라 전략적으로 스톡옵션 부여와 합병 절차를 용이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기업들이 성장 과정에서 액면분할을 선택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