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시리아 내전으로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게시일 : 2024년 12월 02일 월요일

이 글은 시리아와 러시아가 반군의 주요 거점인 시리아 북서부를 대상으로 공습을 강화하고, 반군이 알레포(Aleppo)를 급습한 상황에서 발생한 치열한 전투와 이로 인해 영향을 받은 지역 상황을 다룹니다. 특히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Hayat Tahrir al-Sham) 및 터키(Turkey, 터키)가 지원하는 반군 세력의 움직임과 정부군의 대응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합니다.

 

1. 공습의 배경과 목표

시리아 정부군과 러시아는 반군이 장악한 이들리브(Idlib)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공습을 감행하고 있습니다.

이들리브는 약 400만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는 반군의 최대 거점으로, 터키 국경에 인접해 있습니다. 공습은 이 지역의 주요 거점을 겨냥하고 있으며, 시리아 정부와 러시아는 이를 반군 은신처를 타격하기 위한 정밀 공격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공습으로 인해 민간인이 희생되었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습니다.

 

2. 반군의 알레포 공격과 정부군의 대응

반군은 최근 몇 년간 가장 대담한 공격으로 평가되는 작전을 통해 알레포로 진입했습니다.

반군은 알레포 외곽의 라시딘(Rashidin) 지구와 셰이크 나자르(Sheikh Najjar) 산업지대를 포함한 주요 지역을 장악하며 시리아 정부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려는 전략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16년 이후 알레포를 안정적으로 장악했던 시리아 정부군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반군의 공격으로 시리아 정부군은 다수의 병력을 잃고 재배치를 강요받고 있습니다.

 

3.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의 역할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은 반군 연합 내 가장 강력한 군사 조직으로, 미국(U.S.), 러시아(Russia, 러시아), 터키 등에서 테러 조직으로 지정된 단체입니다.

이 단체는 터키의 지원을 받는 세속적 반군들과 연합하여 이번 작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의 공격력은 시리아 정부군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들의 움직임은 시리아 내에서 반군의 역량을 재조명하게 했습니다.

 

4. 이란과 러시아의 지원 감소

이란과 러시아는 그동안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며 반군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란의 병력 부족과 러시아의 제한적인 공중 지원이 시리아 정부군의 방어에 공백을 초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란의 지원 병력 감소는 반군의 급격한 진격에 영향을 미친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5. 지역 민간인들의 상황

알레포 내에서 민간인들은 안전을 위해 대거 도시를 떠나고 있습니다.

거리와 상점은 대부분 비어 있으며, 많은 주민들이 대피를 선택했습니다. 알레포는 2016년 러시아와 시리아의 합동 작전 이후 정부군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번 반군의 공격으로 인해 다시 불안정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6. 이스라엘의 관여

이스라엘은 최근 시리아 내 이란 군사 기지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고 있으며, 레바논(Lebanon) 내 헤즈볼라(Hezbollah) 목표물에 대한 공격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은 헤즈볼라의 군사 역량을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동시에 시리아 정부군의 방어 능력을 약화시키는 부작용도 초래했습니다.

 

7. 전쟁의 장기적 영향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시작된 이후 수십만 명의 사망자와 수백만 명의 난민을 발생시켰습니다.

이 전쟁은 시리아와 주변국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현재의 긴장과 충돌은 장기적 불안정을 예고합니다. 특히 이번 반군의 대규모 공세와 이에 따른 정부군의 반격은 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암시합니다.

이번 사태는 시리아 내전이 여전히 복잡한 지정학적 이해관계와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의 전개는 국제 사회의 개입 여부와 지역 강대국들의 움직임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입니다.



시리아 내전은 다양한 국가와 세력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 국가별로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을 지원하는 세력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1.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주요 국가

 

#### 1.1. 러시아 (Russia, 러시아)

- 역할: 2015년부터 직접 군사 개입을 시작하여 공습, 무기 공급, 정보 제공 등을 통해 시리아 정부를 적극적으로 지원.

- 이해관계:

  - 러시아는 시리아를 중동 내 전략적 거점으로 간주하며, 타르투스(Tartus, 타르투스) 해군기지와 라타키아(Latakia, 라타키아) 공군기지 확보를 통해 지중해에서의 군사적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함.

  - 반군과의 전투에서 공중 지원을 통해 정부군의 주요 승리를 도왔습니다(: 2016년 알레포 재탈환).

 

#### 1.2. 이란 (Iran, 이란)

- 역할: 이란은 시리아 내전 초기부터 아사드(Bashar al-Assad,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지원했으며, 군사 고문단과 친이란 민병대를 파견.

- 이해관계:

  - 시리아를 레바논의 헤즈볼라(Hezbollah, 헤즈볼라)와 연결하는 전략적 축으로 간주.

  - 시리아 내 안정이 이란의 중동 내 영향력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판단.

- 병력 지원:

  - 이란 혁명수비대(IRGC,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이슬라믹 레볼루셔너리 가드 코어)와 가담된 민병대(: 파티미운(Fatemiyoun), 자이날리운(Zainalioun)).

 

#### 1.3. 레바논의 헤즈볼라 (Hezbollah, 헤즈볼라)

- 역할: 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을 받아 시리아 내에서 시아파 세력을 기반으로 한 민병대를 조직.

- 이해관계:

  - 시리아를 통해 무기 공급망 확보 및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적 대응력을 유지하려는 전략.

  - 알레포 및 시리아-레바논 국경 지역에서 주요 전투에 참여.

  

### 2. 반군을 지원하는 주요 국가

 

#### 2.1. 터키 (Turkey, 터키)

- 역할: 터키는 시리아 북부를 중심으로 반군을 지원하며, 자국 국경에 인접한 지역을 장악하려는 전략을 추구.

- 이해관계:

  - 쿠르드(Kurdish, 쿠르디쉬) 세력의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반군 지원.

  -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Hayat Tahrir al-Sham, 하야트 타흐리르 알 샴) 및 자유 시리아군(FSA, Free Syrian Army, 프리 시리안 아미)과 같은 세속적 반군 세력을 간접적으로 지원.

- 정책:

  - 터키는 시리아 북부에서안전지대(Safe Zone, 세이프 존)’를 구축하여 난민 수용과 자국 안보를 동시에 확보하려는 정책을 추진.

 

#### 2.2. 미국 (United States, 유에스)

- 역할: 미국은 초기에는 시리아 반군을 지원했으나, 현재는 IS(Islamic State, 이슬라믹 스테이트)와 같은 극단주의 세력 격퇴에 초점을 맞춤.

- 이해관계:

  - 민주주의 확산 및 시리아 내 이란과 러시아의 영향력 축소를 목표로 설정.

  - 쿠르드 민병대(YPG, People's Protection Units, 피플즈 프로텍션 유닛)와 시리아 민주군(SDF, Syrian Democratic Forces, 시리안 데모크래틱 포스)을 주요 동맹으로 활용.

- 지원 방식:

  - 군사적 훈련 및 무기 지원, 정보 제공.

 

#### 2.3. 사우디아라비아 (Saudi Arabia, 사우디 아라비아)와 카타르 (Qatar, 카타르)

- 역할: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는 시리아 반군에 재정적 및 물류 지원을 제공.

- 이해관계:

  - 시리아 내 수니파(Sunni, 수니) 세력을 강화하고, 이란의 시아파(Shia, 시아) 확장을 견제하려는 전략.

  - 사우디아라비아는 자유 시리아군(FSA)과 같은 세속적 반군을 지원한 주요 국가.

 

#### 2.4. 이스라엘 (Israel, 이스라엘)

- 역할: 직접적으로 반군을 지원하지는 않지만, 시리아 내 이란의 군사적 존재를 견제하기 위해 공습을 감행.

- 이해관계:

  - 헤즈볼라 및 이란의 군사적 확장이 이스라엘의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판단.

  - 시리아 내 이란 기반 시설과 무기고를 지속적으로 타격.

 

### 3. 결론

 

시리아 내전은 단순히 내전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러시아, 이란, 터키,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강대국들의 대리전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 정부군 지원국: 러시아, 이란, 헤즈볼라.

- 반군 지원국: 터키,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러한 복잡한 관계는 시리아 내전의 종식을 어렵게 만들고, 중동 지역 내 불안정을 지속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시리아와 러시아의 북서부 공습 및 반군의 알레포 공격과 같은 사건은 지역적 갈등이지만, 글로벌 금융 시장 및 특정 산업 부문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산업과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산업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 1.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 1.1. 글로벌 원유 시장

- 중동 지역의 갈등은 항상 원유 공급망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켜 국제 유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 시리아는 주요 산유국이 아니지만, 주변국인 이란과 러시아는 원유 생산 및 수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이란의 병력 지원 축소 및 이스라엘의 공격이 이란 석유 인프라에 대한 추가 제재나 긴장을 유발할 경우, 유가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로 인해 브렌트유(Brent Crude, 브렌트 크루드) WTI(West Texas Intermediate, 웨스트 텍사스 인터미디엇) 가격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2. 방산 및 국방 관련주

- 시리아 내전과 같은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경우, 방위산업(Defense Industry, 디펜스 인더스트리) 관련 주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미국과 유럽의 주요 방산 기업(: Lockheed Martin, 록히드 마틴, Raytheon, 레이시언)은 무기 수출 증가 가능성으로 주목받을 수 있습니다.

 

#### 1.3. (Gold)과 안전 자산

- 지정학적 불안은 투자자들이 안전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을 강화시킵니다.

- 금 가격(Gold Price, 골드 프라이스)은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금 관련 ETF 및 광산업체(: Barrick Gold, 배릭 골드)가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또한 미국 국채(US Treasury, 유에스 트레저리) 및 스위스 프랑(Swiss Franc, 스위스 프랑)과 같은 안전 자산도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 2.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 산업 부문

 

#### 2.1. 방위산업

- 시리아 및 중동 지역에서 군사적 갈등이 심화되면, 방산 기업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 무기 시스템, 항공기, 미사일 방어체계 등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표 기업:

  - Lockheed Martin (LMT, 록히드 마틴): 전투기와 미사일 방어체계 제조.

  - Northrop Grumman (NOC, 노스럽 그러먼): 군용 드론과 항공우주 장비.

  - BAE Systems (BAESY, 비에이이 시스템즈): 유럽 방산 기업으로 중동 수출 비중이 큼.

 

#### 2.2. 에너지 산업

- 국제 유가 상승은 석유 및 가스 기업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 특히, 원유 채굴 및 탐사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들과 석유 관련 ETF가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 기업:

  - ExxonMobil (XOM, 엑슨모빌): 원유 및 가스 채굴의 글로벌 리더.

  - Chevron (CVX, 셰브론): 미국 중심의 대형 석유기업.

  - Energy Select Sector SPDR Fund (XLE, 에너지 섹터 SPDR 펀드): 에너지 주식 중심의 ETF.

 

#### 2.3. 귀금속 및 채굴업

-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 금 및 은과 같은 귀금속의 수요가 증가합니다.

- 금 채굴 기업과 귀금속 관련 펀드도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 대표 기업:

  - Barrick Gold (GOLD, 배릭 골드): 세계 최대 금 채굴 기업 중 하나.

  - Newmont Corporation (NEM, 뉴몬트 코퍼레이션): 금과 은 채굴의 글로벌 리더.

 

### 3.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산업 부문

 

#### 3.1. 항공 및 여행 산업

- 중동 갈등은 항공 노선의 안전성 우려를 초래할 수 있으며, 여행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히, 중동을 오가는 항공사나 여행사는 더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 기업:

  - Emirates (에미레이트 항공): 중동 중심의 항공사.

  - Turkish Airlines (터키 항공): 중동 및 유럽을 연결하는 주요 항공사.

  - 국제 여행 관련 ETF: ETFMG Travel Tech ETF (AWAY, 트래블 테크 ETF).

 

#### 3.2. 소비재 산업

- 원자재 및 에너지 비용 상승은 제조 및 유통 비용을 증가시켜 소비재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특히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생산 과정이나 물류망을 가진 기업들은 비용 상승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3. 신흥 시장

- 중동 갈등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확대하여 신흥 시장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 터키와 같은 중동 주변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입이 감소하며, 신흥 시장 통화 가치 하락과 주가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대표적 영향 국가:

  - 터키 (Turkey, 터키): 경제가 중동 안정에 크게 의존.

  - 이란 (Iran, 이란): 원유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추가 제재 가능성.

 

### 4. 결론

 

시리아와 러시아 간의 군사적 갈등은 금융 시장에 안전 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하는 동시에 방위산업, 에너지, 귀금속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항공 및 여행 산업, 소비재 기업, 신흥 시장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들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안전 자산 및 방산 관련 종목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거나 리스크 관리 전략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