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꼭 알아야 할 5가지 : 2024년 12월 17일 화요일


이 글은 도널드 트럼프의 정책 변화가 전기차 산업과 배터리 소재 시장에 미칠 영향, 주요 테크 기업들인 테슬라(Tesla), 애플(Apple), 알파벳(Alphabet), 마이크론(Micron)의 주가 목표치 상향 및 산업적 기대감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 트럼프의 전기차 지원 축소 및 배터리 소재 관세 계획 

도널드 트럼프가 재집권할 경우, 전기차 산업에 대한 지원 정책(Support Policy)을 대폭 축소하, 배터리 소재에 대해 추가 관세(Tariffs)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전기차 지원 축소: 현재 바이든 행정부는 IRA 법안(Inflation Reduction Act,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통해 전기차 구매 시 세액 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럼프는 이러한 지원을 철회하거나 크게 축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배터리 소재 관세: 트럼프가 중국을 비롯한 배터리 원자재 수입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전기차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리튬(Lithium), 니켈(Nickel), 코발트(Cobalt) 등 핵심 배터리 소재의 수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생산비용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전기차 산업(EV Industry) 전반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며, 특히 테슬라와 미국 기반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댄 아이브스의 테슬라 목표주가 상향 

웨드부시(Wedbush)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Dan Ives)는 테슬라의 목표주가를 기존 400달러에서 515달러로 상향했습니다. 

- 목표주가 상향 이유: 

    - 자율주행 기술(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테슬라의 FSD(Full Self-Driving, 풀 셀프 드라이빙) 소프트웨어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 기술이 미래 매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평가됩니다. 

    - 에너지 스토리지(Energy Storage): 테슬라의 메가팩(Megapack)과 같은 대형 에너지 저장 장치가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수요를 보이고 있습니다. 

    - 생산 확장: 기가팩토리 확장과 모델 Y, 모델 3의 안정적 판매가 목표가 상향의 주요 배경입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트럼프의 전기차 지원 축소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테슬라에게는 중장기적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3. JP모간의 애플 비중 확대 의견 

JP모간(JP Morgan)은 애플에 대해 비중 확대(Overweight)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아이폰 교체 수요(Replacement Demand)를 핵심 이유로 꼽았습니다. 

- 아이폰 교체 수요 증가: 

    - 기존 아이폰 12 13 시리즈 사용자들이 아이폰 15 등 신형 모델로 교체하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 특히 중국 및 인도 시장에서의 중산층 확대로 고급 스마트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서비스 부문 성장: 

    - 애플의 서비스 부문(Service Segment) 매출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애플 뮤직(Apple Music), 아이클라우드(iCloud), 앱스토어(App Store)를 중심으로 높은 수익성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하반기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JP모간의 비중 확대 의견에 따라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4. 알파벳의 웨이모 성장과 경쟁사 리프트 따라잡기 

알파벳(Alphabet)의 자율주행 차량 서비스 웨이모(Waymo)가 시장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경쟁사인 리프트(Lyft, 리프트)와의 격차를 좁히며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웨이모의 경쟁력: 

    - 웨이모는 로보택시(Robotaxi) 서비스 테스트를 주요 도시에서 확대하고 있으며, 기술력과 안정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자율주행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도로 주행 거리와 실시간 대응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리프트 추격: 

    - 리프트와 같은 경쟁사들이 로보택시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지만, 웨이모는 선두권을 유지하며 기술적 우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웨이모의 성장과 자율주행 시장 확대 기대감은 알파벳의 주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 마이크론 목표주가 상향 및 실적 주목 

JP모간은 마이크론(Micron)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으며, 마이크론의 실적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목표주가 상향 배경: 

    - 메모리 반도체 시장 회복: 최근 DRAMNAND 시장에서 수요 회복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AI 인프라 투자 증가: 데이터센터 및 AI 서버 구축에 필수적인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 실적 개선 기대: 

    - 마이크론은 공급망 개선과 재고 관리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 AI 관련 기술 발전과 함께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판매가 실적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마이크론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 회복의 수혜주로 평가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소식은 트럼프의 정책 변화와 함께 주요 테크 기업들의 주가 목표 상향과 산업적 기대감을 다루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전기차 지원 축소 및 관세 정책은 전기차 산업에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지만, 테슬라의 기술적 강점, 애플의 교체 수요 증가, 알파벳의 웨이모 경쟁력, 마이크론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회복 등은 개별 기업들의 성장 모멘텀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만, 정책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제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자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