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글로벌 증권시황 : 2024년 12월 14일 토요일


글은 2024 12 13일 미국 주요 주식 시장의 동향, 특히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7일 연속 하락하며 2020년 이후 가장 긴 하락세를 기록한 배경과 다른 주요 지수(Nasdaq Composite, S&P 500)의 움직임, 그리고 외환 시장에서 달러의 강세를 다루고 있습니다.

 

1. 다우 지수의 7일 연속 하락

   - 다우 지수는 금요일 0.2% 하락하며 43,828.06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7일 연속 하락세로, 2020년 이후 최장 하락 기록입니다

   - 주간 기준으로 다우 지수는 1.8% 하락하며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 전문가들은 다우 지수의 약세가 소형주와 가치주의 부진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2. 다른 주요 지수의 혼조세

   - S&P 500 지수는 금요일에 거의 변동이 없으며 6,051.09로 마감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는 0.6% 하락하며 3주 연속 상승세를 종료했습니다

   - 반면 Nasdaq Composite(나스닥 콤포짓) 지수는 금요일 0.12% 상승하며 19,926.72로 마감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는 0.3% 상승했습니다

   - Broadcom(브로드컴) 24% 이상 급등하며 AI 관련 매출 성장에 따라 나스닥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3. 달러 강세와 외환 시장 동향

   - 달러는 일본 엔화 대비 0.7% 상승하며 153.73엔으로 거래되었습니다. 주간 기준으로도 0.7% 상승했습니다

   - 유로는 금요일 달러 대비 0.3% 상승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0.7% 하락했습니다

   - 한국 원화는 달러 대비 0.4% 하락하여 1,435.80원으로 거래되었으며, 12월 들어 달러 대비 2.9%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4.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

   - Piper Sandler(파이퍼 샌들러) Craig Johnson(크레이그 존슨)은 주식 시장이 연말까지 긍정적인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 그는 S&P 500의 연말 목표치를 6,100으로 설정하며, "건강한 조정"이 나타나면 매수 기회로 활용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 다만 단기적으로는 대형주와 중소형주(SMID Cap) 간의 순환적인 로테이션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결론

미국 주식 시장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반면, 다우 지수는 7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대형 기술주의 성장과 가치주의 부진 간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외환 시장에서는 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유지하고 있어, 글로벌 투자자들이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들은 연말까지의 긍정적인 시장 전망과 함께, 단기적 조정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2024 12 13일 기준 S&P 500과 주요 미국 주식 지수의 동향, 인공지능(AI) 수요로 인한 Broadcom(브로드컴)의 급등, 금리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논의, 그리고 시장 전망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시장 조정 국면 속에서 기술주 주도의 상승세와 경제적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1. S&P 500과 주요 지수 동향 

   - S&P 500 지수는 금요일 소폭 하락하며, 4주 만에 처음으로 주간 기준 하락세(-0.7%)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Nasdaq Composite 지수는 주간 기준 0.3% 상승했으며,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1.7% 하락했습니다

   - 인프라캐피털어드바이저스의 CEO Jay Hatfield(제이 해트필드) "나스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다우는 약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2. Broadcom의 급등과 기술주 주도 상승 

   - Broadcom은 인공지능(AI) 매출이 연간 220% 증가하며 주가가 24% 이상 급등했습니다. 회사의 시가총액은 사상 최초로 1조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 Broadcom CEO Hock Tan(혹 탄)은 주요 클라우드 고객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맞춤형 AI 칩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Micron Technology(마이크론 테크놀로지) 3%, Arista Networks(아리스타 네트웍스) 4% 상승하며 기술주 섹터가 시장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3.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대한 논의 

   - 전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Robert Kaplan(로버트 카플란)은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고착화되어 있다"고 평가하며, 기준금리를 4.25~4.5%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

   - Kaplan은 현재 미국의 정부 지출 수준이 매우 높은 점을 지적하며, 재정 정책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4. 연말 및 2025년 시장 전망 

   - Fairlead Strategies(페어리드 스트래티지)의 창립자 Katie Stockton(케이티 스톡턴)2024년 강한 마무리를 예상하며, 2025 1분기에 시장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Wall Street의 주요 전략가들은 S&P 500 2025년 말까지 약 9.6% 상승하여 6,630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역사적 평균 수익률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5. 달러와 주요 통화 동향 

   - 미국 달러는 일본 엔화 대비 0.7% 상승하며 153.73엔으로 거래되었습니다

   - 유로는 금요일 달러 대비 0.3% 상승했지만, 주간 기준으로는 0.7% 하락했습니다

   - 한국 원화는 달러 대비 0.4% 하락하여 1,435.80원으로 거래되며, 12월 들어 약 2.9%의 달러 대비 약세를 보였습니다

 

6. 투자자의 주의사항 

   - Katie Stockton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상승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투자자들에게 매수 신호를 주의 깊게 관찰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 특히 시장 조정 시 현금을 활용할 준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 결론 

S&P 500은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시장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Broadcom의 급등은 AI 관련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달러 강세와 금리 논의는 투자자들에게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시장의 변동성이 예상되므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전략과 시장 조정을 활용한 기회를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이 글은 2024 12 13일 유럽 증시가 하락하며 3주 연속 상승세가 종료된 배경과 주요 경제 지표,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기업 소식 및 통화 동향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영국과 독일의 경제 실망, 유럽중앙은행(ECB)과 스위스 국립은행(SNB)의 금리 결정, 프랑스 정치 상황, 그리고 주요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 유럽 증시 하락과 주요 원인 

   - Stoxx 600: 유럽 전역의 주요 지수를 포함하는 지수로, 0.62% 하락하며 주간 기준으로 3주 연속 상승세가 종료되었습니다. 

   - 영국 경제: 영국 경제는 10 GDP -0.1%를 기록하며 예상치인 +0.1% 증가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이는 생산(output)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독일 경제: 독일의 수출 관련 주요 데이터도 기대 이하를 기록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 결론: 영국과 독일의 경제 데이터 부진은 유럽 경제 전반의 둔화를 우려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투자 심리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2. ECB SNB의 금리 결정 

   - ECB 금리 인하: 유럽중앙은행(ECB)은 올해 네 번째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기준금리를 25bp(베이시스 포인트) 낮췄습니다. ECB는 이번 발표에서 2025년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SNB 금리 인하: 위스 국립은행(SNB) 50bp의 깜짝 금리 인하를 발표하여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 시장 반응: ECB의 비둘기파적(dovish) 성향에도 불구하고 유로화(Euro)가 약세를 보였으며, 시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영국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3. 프랑스의 정치와 시장 반응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새로운 총리로 프랑수아 바이루(Francois Bayrou)를 임명했습니다. 이는 미셸 바르니에(Michel Barnier) 전 총리가 예산 문제로 실각한 뒤 나온 조치입니다. 

   - 프랑스의 CAC 40 지수는 임명 발표 직후 상승했으나, 거래 후반에 하락세로 돌아서며 0.23% 하락 마감했습니다. 

 

4. 기업 주식 움직임 

   - Novo Nordisk(노보 노디스크): 덴마크 제약 회사의 주가는 2.6% 하락했습니다. 이는 Eli Lilly(일라이 릴리)의 경쟁 약물 Mounjaro가 영국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을 빠르게 높이고 있다는 소식 때문입니다. 

   - Munich Re(뮌헨 리): 독일 재보험사(보험사의 보험)의 주가는 5.3% 상승했습니다. 회사는 2025년 순이익 목표를 60억 유로로 설정하며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5. 통화 시장의 변화 

   - 유로/달러 환율: ECB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유로는 달러 대비 약간 상승했으나, 주간 기준으로는 여전히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유로존의 경제 부진과 미국 경제에 대한 상대적 낙관론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유로/파운드 환율: 영국 경제 데이터 부진으로 인해 유로가 파운드 대비 0.5% 상승하며 주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6. 소비자 신뢰 지수와 소비 동향 

   - 영국 소비자 신뢰지수는 -17로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하며 연평균 -18보다 소폭 개선되었습니다. 

   - 그러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고가 상품 구매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연말 쇼핑 시즌의 강도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 결론 

유럽 증시는 영국과 독일의 경제 데이터 부진, 통화 약세,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으로 방어적 전략을 유지하면서도, 프랑스 정치 안정과 중앙은행 정책 완화가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관점에서는 미국의 금리 정책 결정이 앞으로의 유럽 시장 동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글은 러시아와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 미국과 유럽의 금리 인하 기대, 중국 경제 자극책 등이 원유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미쳐 국제 유가가 상승한 상황을 다룹니다. 특히, 브렌트유와 서부 텍사스 중질유(WTI) 가격이 3주 최고치를 기록했으, 원유 시장의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1. 국제 유가 상승 요인

   - 브렌트유(Brent crude) WTI(West Texas Intermediate) 원유 가격은 각각 배럴당 74.49달러와 71.29달러로 상승했습니다. 이는 브렌트유가 5%, WTI 6%의 주간 상승률을 기록하며 3주 최고치에 도달한 것입니다.

   - 상승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러시아와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 유럽연합(EU)과 미국은 러시아의 그림자 유조선(shadow tanker fleet)과 이란의 핵무기 개발 방지를 목표로 강력한 제재를 논의 중입니다.

     - 중동 정치 불안: 중동 지역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공급 우려가 커졌습니다.

     - 중국의 경제 회복 신호: 중국의 11월 원유 수입량이 7개월 만에 처음으로 연간 증가를 기록하며, 향후 수요 증가 기대를 높였습니다.

 

2. 금리 인하 기대와 경제 성장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Fed)는 다음 주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도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을 조건으로 추가 금리 인하를 검토 중입니다.

   - 낮은 금리는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3. OPEC+ 및 비OPEC 산유국의 공급 변화

   - OPEC+ 산유국 중 아랍에미리트(UAE)는 내년 초 석유 수출을 줄일 계획이며, 이는 원유 시장에서 공급 조정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 OPEC 산유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가이아나, 미국은 2025년까지 하루 150만 배럴의 공급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국제 에너지 기구(IEA)의 전망

   - IEA 2025년 세계 원유 수요 증가량 전망치를 하루 110만 배럴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원유 수입 증가의 영향을 반영한 것입니다.

   - 그러나 IEA는 내년에 원유 시장이 공급 과잉 상태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5. 중국과 이란 간의 원유 거래 변화

   - 이란산 원유의 대중국 판매 가격은 수송 능력 제한과 물류 비용 증가로 인해 몇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 미국의 제재로 인해 이란산 원유의 국제 시장 접근이 제한되었으며, 이는 중국과 이란 간의 거래를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6. 투자자들의 시장 반응

   - 투자자들은 에너지 수요 증가와 금리 인하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원유 시장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 그러나 경제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히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결론

이번 유가 상승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특히 지정학적 긴장과 금리 인하 기대가 주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중동의 정치적 불안과 러시아, 이란 제재가 공급 우려를 키우는 반면, 중국의 경제 회복과 원유 수입 증가가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OPEC+의 공급 조절 및 글로벌 경제 동향이 유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