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권시황 : 2024년 12월 13일 금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은 미국
주식 시장에서 나타난 2024년 12월 12일의 주요 동향과 경제 지표 발표, 개별 기업의 주가 변동, 그리고 투자자들의 심리에 대해 다룹니다. 인플레이션
데이터, 금리 전망, 기술주 하락, 특정 기업의 실적 발표가 시장에 미친 영향을 설명합니다.
### 1. 미국 인플레이션 데이터와 시장 반응
11월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가
예상보다 높은 0.4% 상승을 기록하며, 예상치 0.2%를 상회했습니다.
- PPI 상승 배경: 소비재와 식품 가격의 급등이 주요 원인으로, 특히 달걀과 농산물 가격의
급격한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 시장 영향: 이 데이터로
인해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2주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0.6% 하락하고, S&P 500과 다우존스 지수도 각각 0.5% 하락했습니다.
### 2. 금리 전망과 투자자 심리
투자자들은 여전히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페더럴 리저브)가 다음 주 정책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약 95%로 보고 있습니다.
- 금리 인하 전망: 연준의
목표인 2% 인플레이션에 대한 진전이 느리지만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가 시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투자자 심리: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둔화가 긍정적이지만, 연준의 추가 금리 정책이
경제의 둔화 리스크를 완화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 3. 기술주와 주요 기업 실적 하락
- 기술주 약세:
- Nvidia(엔비디아)는 1% 이상 하락하며 기술주의 전반적인 약세를 반영했습니다.
- Adobe(어도비)는 2025년 매출 전망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며 13% 이상 급락했습니다.
- Meta(메타), Alphabet(알파벳), Amazon(아마존)도 소폭 하락했습니다.
- 광범위한 기술주 하락 원인: 금리 상승으로 미래 성장주에 대한 기대가 낮아졌습니다.
### 4. 개별 기업의 긍정적 움직임
- Warner Bros. Discovery(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 구조조정 계획 발표로 주가가 15% 이상 급등하며 2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습니다.
- Ciena(시에나):
- 강력한 매출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16% 이상 급등, 2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Constellation Energy(컨스텔레이션 에너지):
- 은행의 매수 추천으로 3% 상승하며 에너지 수요 증가와 공급 제한이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
### 5. Broadcom의 새로운 성장 동력
Broadcom(브로드컴)은 인공지능(AI) 및
데이터센터 부품 공급에서 강점을 가지며, 최근 "가치주"에서 "성장주"로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 AI 및 데이터센터 성장성:
AI 인프라 관련 매출 증가로 2024년 약 60.8%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 투자자 기대: 4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이 예상치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6. 전반적 시장 전망
- S&P 500 강세 지속:
S&P 500은 27% 상승하며 역사상 7번째로
강한 연간 상승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2025년 전망: 일부
전문가들은 2025년 주식 시장이 2023~2024년만큼
강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며, 시장 내 일부 기술주
중심의 과열을 지적했습니다.
### 7. 결론과 투자 시사점
- 경제 지표와 시장 반응: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지만, 이번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은 투자자들에게
금리와 관련된 우려를 다시 불러일으켰습니다.
- 기업별 차별화된 움직임: 기술주는 약세를 보였으나 구조조정과 매출 성장 가능성을 가진 특정 기업은 주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 투자 전략: 인플레이션 데이터, 금리 전망, 개별
기업 실적 발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다각화된 포트폴리오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은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의 기준금리 인하와 그에 따른 유럽 시장의 반응, 스위스중앙은행(Swiss National Bank)의 금리 결정, 그리고 독일 경제와 유로화(Euro)의 움직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글로벌 시장에 미친 영향과 독일 경제의 전망에 대한 분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와 시장 반응
유럽중앙은행(ECB)은 2024년 12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베이시스 포인트) 인하하여
3%로 낮췄습니다. 이번 인하는 올해 네 번째 금리 인하로, 6월부터 시작된 통화 완화 사이클 동안 총 1%포인트의 금리 인하가 이루어졌습니다.
금리 인하 발표 이후 유로화는 미국 달러에 대해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곧
회복하여 0.18% 상승한 $1.051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대비하고 있었던 점과 유럽 경제의 안정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합니다.
한편, 유럽의 Stoxx 600 지수는
금리 인하 발표 후 약세와 강세를 오가다 0.08%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광업(mining, 마이닝)이 1.3% 하락했고, 자동차(automobiles, 오토모빌스)는 0.53% 상승하며 엇갈린 흐름을 보였습니다.
2. 스위스중앙은행의 금리 결정
스위스중앙은행(SNB)은 50bp 금리 인하를 단행하며 시장 기대치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스위스프랑(Swiss Franc)의 강세와 낮은 인플레이션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금리 발표 이후 스위스프랑은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였고, 유로화
대비 0.52% 하락했습니다. 이는 스위스 경제가 글로벌
통화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미국 인플레이션 데이터와 글로벌 영향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3% 상승, 전년 대비 2.7% 상승으로 예상치에 부합했습니다. 이 수치는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다음 주 정책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현재 연방기금금리 선물(Fed Funds Futures)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98%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전망과 인플레이션 안정화는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시장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의 상승세를 뒷받침했습니다.
4. 독일 경제 전망과 정책의 중요성
독일 Ifo 연구소는 2025년 독일 경제 성장률이 정책 방향에 따라 0.4%에서 1.1%까지 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독일 경제는 산업 경쟁력을 잃고
산업 공동화(deindustrialization, 디인더스트리얼라이제이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정책 개선과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생산성과 소비의 회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 보고서는 독일의 차기 총선 결과가 경제 정책과 성장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합니다. 현재 기민당(Christian Democratic Union, 크리스천
데모크래틱 유니언)이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정책
변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5. 유로화 움직임과 글로벌 전망
ECB 금리 인하 발표 후 유로화는 단기적으로 하락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안정적이었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유럽
경제의 회복 기대감이 결합되며 유로화는 $1.051 수준에서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유로존 경제가 글로벌 통화 환경 변화 속에서 여전히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6. 투자자들에게 주는 시사점
- 유럽중앙은행과 스위스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는 글로벌 시장의 통화 완화 흐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미국과 유럽 모두 인플레이션
안정화가 이루어지며, 투자자들은 장기적으로 금리 인하 환경에서의 성장주와 기술주 강세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독일 경제는 정책 방향에 따라 극명히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유럽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장기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 유로화는 단기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향후 글로벌 통화정책과 경제지표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은 각국의 통화정책과 경제 정책 변화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며, 시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 ECB)의 예금금리(Deposit
Facility Rate, 디파짓 퍼실리티 레이트)와 기준금리(Main Refinancing Rate, 메인 리파이낸싱 레이트)는
각각 다른 역할과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ECB는 예금금리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 1. 예금금리와 기준금리의 정의 및 역할
#### (1) 예금금리(Deposit
Facility Rate)
- 정의: 유럽의 상업은행이
중앙은행(ECB)에 초과 유동성을 하룻밤 동안 예치할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 역할:
- 상업은행이
초과 유동성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도록 유도하여 시장 유동성을 조절합니다.
- 예금금리가
낮아지면, 상업은행이 중앙은행에 유동성을 예치하지 않고, 실물
경제나 금융시장으로 자금을 유도하려는 정책 의도를 반영합니다.
- 높은
예금금리는 초과 유동성을 중앙은행에 묶어두어 경제 과열을 억제하는 효과를 냅니다.
#### (2) 기준금리(Main
Refinancing Rate)
- 정의: ECB가 상업은행에
주간 단위로 단기 유동성을 공급할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 역할:
- 상업은행의
단기 자금 조달 비용을 결정하여 대출 금리와 금융 비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 경제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를 조정함으로써 경제 활동과 물가 안정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2. ECB가 예금금리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영하는 이유
#### (1) 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
- 유럽 금융시장은 은행
중심의 구조로, 상업은행의 자금 관리와 유동성 운영이 경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예금금리는 초과 유동성을
조절하는 핵심 도구로, 단기 자금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CB는 예금금리를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설계합니다.
#### (2) 금융 위기 이후의 정책 변화
-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유럽의 상업은행들은 초과 유동성을 보유하는
경향이 강화되었습니다.
- 이러한 환경에서 예금금리는 상업은행의 유동성 관리와 대출 유인을
직접적으로 조정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되었습니다.
#### (3) 경제 자극 및 억제 효과
- 낮은 예금금리는 상업은행이
유동성을 중앙은행에 묶어두지 않고, 기업과 가계 대출을 통해 경제 활동을 촉진하도록 유도합니다.
- 반대로, 높은 예금금리는 초과 유동성을 중앙은행에 예치하게 하여 과잉 대출이나 과열된 경제를 억제합니다.
#### (4) 유럽의 초저금리 환경
- 유럽은 2010년대 초부터 초저금리 또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통해 경제를 부양해 왔습니다.
- 이 과정에서 예금금리가
통화정책의 주요 지표로 자리 잡았습니다.
### 3. 예금금리와 기준금리의 관점에서 본 투자와 경제 활동
#### (1) 예금금리가 낮아질 때
- 은행 관점:
- 상업은행은
중앙은행에 유동성을 예치하는 대신, 자금을 기업 대출, 가계
대출, 금융시장 투자로 유도합니다.
- 이는
대출 증가와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투자자 관점:
- 낮은
예금금리는 채권 수익률 하락을 초래하며, 투자자들이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 투자로 전환하도록 유도합니다.
#### (2) 기준금리가 낮아질 때
- 은행 관점:
-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상업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어, 대출 금리가 낮아지고 기업 및 가계의 차입 비용 감소로
이어집니다.
- 경제 전체:
-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자금 비용이 줄어들어 소비와 투자 활동 증가가 기대됩니다.
#### (3) 예금금리와 기준금리의 차이
- 예금금리는 단기 유동성과 초과 자금 관리를 통해 경제를 즉각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 기준금리는 대출 금리와 금융 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 활동에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효과를 미칩니다.
### 4. 결론: ECB 통화정책의
초점
ECB는 유럽의 은행 중심 금융시장 구조와 초과 유동성 관리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예금금리를 통화정책의 핵심 도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예금금리는 초과 유동성
조절과 단기적인 시장 안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 기준금리는 대출 금리와 금융 비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경제의 장기적인 방향을 조정합니다.
ECB의 통화정책은 이 두 금리를 조정하며, 물가 안정과 경제 성장 간의 균형을 추구합니다. 투자자와 기업은
이 금리 변화를 통해 금융 환경과 경제 전망을 예측하고, 적절한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이 글은 미국의 11월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상승과
노동시장 지표 변화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 데이터가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금리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주요 논의는 도매물가 상승, 핵심 물가 지표, 실업보험 청구 건수 증가, 그리고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최종 수요 단계에서 생산자가 받는 가격을 측정하며, 11월 0.4% 상승하여
예상치인 0.2%를 상회했습니다.
- 연간 기준으로 PPI는 3% 상승하며,
이는 2023년 2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 핵심 PPI(Core PPI)는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하고 0.2% 증가하여
예상치에 부합했습니다.
- PPI 상승의 주요 원인은 식품 가격 3.1% 급등으로, 특히
달걀 가격이 54.6% 상승하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서비스 가격은 0.2% 상승했으며, 이는 무역 서비스 비용 0.8% 증가로 인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2. 노동시장 변화와 실업보험 청구
미 노동부(Labor
Department, 레이버 디파트먼트)는 12월 7일로 끝나는 주간에 실업보험 첫 청구 건수(Initial Jobless
Claims, 이니셜 잡리스 클레임스)가 242,000건으로
집계되었음을 발표했습니다.
- 이는 예상치인 220,000건을 상회하며, 전주 대비 17,000건 증가했습니다.
- 지속 청구(Continuing Claims, 컨티뉴잉 클레임스)는 189만 건으로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이러한 데이터는 노동시장이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고려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3.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의 비교
PPI 데이터는 전날 발표된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와 유사하게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진정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 CPI는 11월 전년 대비 2.7%, 전월
대비 0.3% 상승했습니다.
- PPI는 CPI의 선행 지표로 간주되며, 생산자
비용이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4. 연준의 금리 정책과 시장 반응
PPI와 실업보험 청구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여전히 98%로 보고 있습니다.
-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의 11월 예상치는 2.6%로, 이는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연준의 완화적 금리 정책에 대한 신뢰를
반영합니다.
5. 물가 상승 요인과 경제적 시사점
11월 PPI 상승의 대부분은 식품 가격 상승에서 비롯되었으며, 특히 농산물과 가공식품 가격의 변동성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달걀, 신선 과일, 건조 채소 등의 가격 상승은 소비자 지출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비용의 상승은
경제 전반의 비용 구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주는 메시지
- 노동시장 둔화: 실업보험 청구 건수 증가는 고용시장이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 인플레이션 지속성: 물가 상승은 완전히 제어되지 않았지만, PPI와 CPI의 상승 폭은 비교적 제한적이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금리 전망: 시장은 연준이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이는 경기 둔화 우려에 대한 대응으로 평가됩니다.
결론적으로, 11월 PPI 상승과 노동시장 변화는 미국 경제가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압력은 점차 완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연준의 정책 완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노동시장
데이터와 물가 지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금리 정책 변화에 따른 포트폴리오 조정 전략을 고려해야 할
시점입니다.
이 글은 인도의
경제 동향과 최근 임명된 중앙은행인 Reserve Bank of India(RBI)의 새 총재 산제이
말호트라(Sanjay Malhotra)의 정책 방향성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인도의 성장과 물가 안정 목표, 투자자 및 경제학자의 기대 등을 분석합니다.
### 1. RBI 새 총재 임명과 정책 방향
산제이 말호트라는 이전에 재무부에서 세무 장관으로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 안정성과 연속성을 강조했습니다.
- 그의 첫 기자회견에서는 인도의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 간 균형을 중요하게 다룰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 특히, Amrit Kaal(암리트
칼) 시대를 맞아 인도의 장기적인 성장 비전을 실현하는 데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암리트 칼은 2047년까지 인도를 선진국으로 만들겠다는 Viksit Bharat 2047 비전의 일환입니다.
### 2. 현재 인도의 경제 과제
- 물가 상승: 인도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5.48%로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소비와 기업 수익성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 성장 둔화: 최근 발표된 GDP 성장률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며, RBI는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7.2%에서 6.6%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민간 투자 감소: 가계
소비와 민간 투자가 줄어들고 있어 경제 활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 3.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정책 방향
#### (1) Shumita Deveshwar (TS Lombard)
- 현황 평가: 물가 상승은
높지만, 식품 가격의 영향으로 통화 정책으로 제어하기 어렵다고 분석했습니다.
- 제안: 현금준비율(CRR)을 추가로 낮추고, 2025년 2월부터 금리를 인하해 자금 유동성을 확대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2) Vivek Subramanayam (Technology
Holdings)
- 현황 평가: 금리 인하를
통해 경제 성장률을 높이되, 물가 상승과 통화 가치 하락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안: 점진적이고 신중한
금리 인하를 통해 총 200bp의 금리 인하 여지를 열어 두는 것이 적절하다고 보았습니다.
#### (3) Malcolm Dorson (Global X ETFs)
- 현황 평가: 인도 경제는
여전히 강력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의 둔화는 일시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제안: 물가 안정이
확인된 후 금리 인하를 시행하며, 정부의 기반 시설 투자 확대를 통해 장기적인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4. 향후 정책과 시장 기대
- RBI의 유동성 확대 신호: 최근 CRR을 4.5%로 낮춘 조치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 정부 지출 확대 전망: 향후 6개월 동안 인프라 투자와 재정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 5. 시장 및 투자자 반응
- 주식 시장: Nifty 50 지수는
이번 주 0.5% 하락했으나, 연간 13% 상승하며 높은 저항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채권 시장: 10년 만기 인도 국채 수익률은 6.73%로 안정적입니다.
- 해외 투자자 관심: 인도는 중국의 낮은 성장률과 미국 무역 정책 변화 속에서 대체 투자처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 6. 결론 및 시사점
- 균형 잡힌 정책 필요성: 인도의
경제 과제는 물가 상승과 성장 둔화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CRR 인하와 금리 정책 조정이 중요합니다.
- 투자 기회 확대: 장기적으로
인도의 경제는 인프라 투자와 정부 지출을 통해 꾸준히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정책 신뢰성 강화: 새로운 RBI 총재는 안정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 기대를 충족하며
경제의 체질 개선을 이끌어야 할 것입니다.
투자자는 금리 정책 변화와 인도 정부의 재정 정책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며, 중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고려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