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아시아 증권시황 : 2024년 12월 07일 토요일


이 글은 2024 12 6일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혼조세와 글로벌 정치적 혼란, 비트코인(Bitcoin,) 10만 달러 돌파와 같은 금융 및 정치적 이벤트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주가지수, 외환시장, 각국의 정치적 상황,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페더럴 리저브)와 일본은행(Bank of Japan, 뱅크 오브 재팬)의 통화정책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아시아-태평양 시장 동향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주가지수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 한국(Korea): 코스피(KOSPI) 지수는 0.90% 하락하며 2,441.85에 마감했고, 코스닥(KOSDAQ) 지수는 0.92% 하락하며 670.94에 마감했습니다. 

- 일본(Japan): 닛케이 225(Nikkei 225) 0.30% 상승하여 39,395.60에 마감했으며, 토픽스(Topix) 0.06% 상승해 2,742.24기록했습니다. 

- 호주(Australia, 오스트레일리아): S&P/ASX 200 지수는 0.1% 상승하며 8,471.10을 기록했습니다. 

- 중국(China, 차이나): 홍콩 항셍지수(Hang Seng Index) 1.1% 하락했으며, 중국 본토 CSI 300 지수는 0.23% 하락해 3,921.58에 마감했습니다.

 

2. 한국의 정치적 혼란과 금융시장 반응

한국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직후, 국회가 탄핵안을 발의하며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 한국은행(Bank of Korea, 뱅크 오브 코리아)과 기획재정부는 시장 안정화를 위해 유동성 지원을 약속하며 시장의 우려를 일부 완화했습니다. 

- 그러나 장기적으로 정치적 리스크 프리미엄(political risk premium, 폴리티컬 리스크 프리미엄)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었습니다.

 

3. 비트코인의 10만 달러 돌파

비트코인(Bitcoin)은 처음으로 10만 달러를 돌파하며 103,844달러를 기록했습니다. 

- 이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시큐리티즈 앤드 익스체인지 커미션)의 새로운 의장 지명과 연준 의장 제롬 파월(Jerome Powell)의 발언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 파월 의장은 비트코인을 "가상화폐로서 금과 비슷하다"고 언급하며 시장의 긍정적 반응을 이끌었습니다.

 

4. 일본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 전망

일본은행의 이사회 멤버 나카무라 도요아키(Toyoaki Nakamura)2026년까지 일본의 인플레이션 목표치 2% 달성이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일본 경제 성장률은 일본은행의 예상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으며, 임금 상승 지속성에 대한 자신감도 부족하다고 평가했습니다.

 

5. 글로벌 주식시장 상승과 연준의 정책 방향

미국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다우 존스 인더스트리얼 애버리지), S&P 500 지수, 그리고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 나스닥 컴포지트)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이는 연준 의장 파월이 미국 경제의 강세를 강조하며 금리 정책에 신중함을 유지할 것을 언급한 이후 나타난 현상입니다. 

- 투자자들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페더럴 오픈 마켓 커미티) 회의에서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을 약 78%로 보고 있습니다.

 

6. 미래 전망과 투자 전략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문가들은 포트폴리오 다각화(diversification, 다이버시피케이션)와 시장의 기술적 조정(technical correction, 테크니컬 커렉션)을 투자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과 전망은 현재의 경제적, 정치적 혼란 속에서 시장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 글은 2024 12 6일 한국 증시의 하락 마감 상황을 다루고 있으며, 주요 요인으로는 탄핵 정국과 계엄령 관련 정치적 불확실성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 지수의 하락세, 업종별 움직임, 주요 종목의 주가 변화 및 외환 시장 동향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의 하락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69포인트(0.56%) 하락한 2428.16에 마감했습니다. 

- 장 초반 9.75포인트(0.40%) 오른 2451.60에 개장했으나, 하락 폭을 키우며 장중 한때 2400선 아래인 2397.73까지 내려갔습니다. 

-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9.61포인트(1.43%) 하락한 661.33에 마감했으며, 장 초반 0.24포인트(0.04%) 하락한 670.70에서 시작했습니다. 

 

2. 투자자별 매매 동향

- 유가증권시장(KOSPI, 코스피): 

  개인 투자자와 외국인은 각각 5771억 원, 3097억 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한 반면, 기관 투자자는 8261억 원 규모의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 코스닥(KOSDAQ, 코스닥): 

  개인은 1745억 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5억 원, 1416억 원 규모의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3. 주요 종목 및 업종 동향

-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주: 

  상승: 삼성전자(0.74%), LG에너지솔루션(2.23%), 기아(0.85%) 

  하락: SK하이닉스(-3.41%), 삼성바이오로직스(-0.21%), 현대차(-0.49%), 셀트리온(-0.50%), 고려아연(-9.35%) 

 

-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주: 

  상승: 에코프로비엠(0.39%), 에코프로(1.58%), 레인보우로보틱스(1.14%) 

  하락: 알테오젠(-1.61%), HLB(-0.96%), 리가켐바이오(-0.76%), 휴젤(-1.85%), 클래시스(-3.34%) 

 

4. 업종별 움직임

- 상승: 은행(Banking, 뱅킹) 업종은 1.46%, IT서비스(IT services, 아이티 서비스) 0.92% 상승했습니다. 

- 하락: 조선(Shipbuilding, 쉽빌딩) 업종은 1.86%, 카드(Card, 카드) 업종은 1.32% 하락했습니다.

 

5. 외환 시장 동향

서울 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USD/KRW)이 전일 대비 4.1상승한 1419.2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외국인의 매도세가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6. 시장 전망

정치적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며, 추가적인 정치적·경제적 변수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