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미국의 비농업 고용지수는 12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높임


* 게시일 : 2024년 12월 07일 토요일

이 글은 미국의 2024 11월 비농업 고용지수 (nonfarm payrolls, 논팜 페이롤즈) 227,000 증가했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고용 시장 동향과 실업률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페더럴 리저브)의 금리 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1. 비농업 고용지수 증가와 예상치 비교

비농업 고용지수가 11월에 227,000명 증가하며 예상치 214,000명을 상회했습니다. 이는 10월의 36,000(상향 수정된 수치)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허리케인 밀튼(Hurricane Milton)과 보잉(Boeing) 파업의 영향이 약화되면서 발생한 회복세로 분석됩니다. 9월의 고용 증가치도 255,000명으로 상향 수정되었으며, 이는 이전 발표치보다 32,000명이 늘어난 결과입니다.

 

2. 실업률 상승과 노동 시장 참여율 변화

11월 실업률은 4.2%로 소폭 상승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합니다. 노동력 참여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레이버 포스 퍼티시페이션 레이트) 62.5% 0.1%포인트 하락했으며, 노동력 자체도 193,000명 감소했습니다. 이는 고용이 증가한 반면, 전체 노동력 규모가 축소되었음을 의미합니다.

 

3. 산업별 고용 변화

가장 큰 고용 증가가 나타난 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의료(health care): 54,000증가 

- 레저 및 환대(leisure and hospitality, 레저 앤 호스피탤리티): 53,000명 증가 

- 정부(government): 33,000명 증가 

 

반면, 소매업(retail trade) 부문은 연말 쇼핑 시즌에도 불구하고 28,000명의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는 추수감사절(Thanksgiving)이 평년보다 늦게 찾아오면서 고용 시기가 지연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4. 임금 상승과 소비자의 소득 증가

평균 시간당 임금(hourly earnings, 아워리 어닝스)은 전달 대비 0.4%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4% 상승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각각 0.1%포인트 높은 수준으로, 노동 시장에서의 임금 상승 압력이 여전히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5.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 전망

이러한 고용 증가와 실업률 상승 데이터는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rate cut, 레이트 컷)를 단행할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12 18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회의에서 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은 88% 이상으로 상승했습니다.

 

6. 다양한 인구 그룹의 고용 동향

11월 흑인 노동자의 실업률은 6.4% 0.7%포인트 증가했으며, 이는 특정 인구 그룹에서 고용 시장 상황이 약화되었음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가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풀타임(full-time) 근로자는 111,000명 감소했고, 파트타임(part-time, 파트타임) 근로자는 268,000명 감소했습니다.

 

7. 경제 전반과 시장 반응

이번 고용 보고서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노동 시장의 둔화와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상존함을 나타냅니다. 발표 직후 주식 선물(stock futures, 스탁 퓨처스)은 상승했으나 국채 수익률(Treasury yields, 트레저리 일즈)은 하락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음을 반영합니다.

 

8. 향후 전망

연준 의장 제롬 파월(Jerome Powell)은 경제가 전반적으로 강하다고 언급하며 금리 정책에 대한 인내심을 강조했으나, 경제 데이터에 따라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에 더욱 주목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