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케이티와 한국 통신 3사 주가 급등 배경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게시일 : 2024년 11월 29일 금요일
이 글은 한국과 미국의 통신사 주가 상승 원인과 배경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통신 3사(KT, SK텔레콤, LG유플러스)의 주가가 급등한 이유와 미국 통신사(T-Mobile, Verizon, AT&T) 주가의 강세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주요 요인으로는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리스크 감소, 경기 방어주로서의 통신주 매력, 기업가치 제고 공시 및 AI 사업 기대감이 언급됩니다.
1. 한국 통신 3사 주가
급등 배경
27일, KT의 주가는 전일 대비
4.62% 상승하여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으며, 올해 들어 40%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SK텔레콤도 4.63% 상승하며 2022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으며, LG유플러스 역시 2.85% 상승하며
연중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코스피 지수가 0.69% 하락한 가운데 나타난 현상으로, 시장의 관심이
경기 방어주(defensive stocks)로 쏠린 결과로
보입니다.
증권가에서는 한국 수출 기업의 실적 둔화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높은
배당 성향(dividend yield)과 안정성을 갖춘 통신주에 매수세가 집중된 것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SK텔레콤은 12월 예정된 밸류업 지수(Value-Up
Index) 편입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2. 통신주 강세의 추가적 요인
기업가치 제고 공시(Value-Enhancing
Disclosure, 밸류-엔한싱 디스클로저)는
통신 3사의 강세를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adjusted net income)의 50% 이상을 주주환원에 사용하겠다고 밝혔으며, 2023년
배당 성향이 9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AI사업 전환도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KT는 비용 절감과 AI 사업 전환을 통한 수익성 개선 계획을 발표했으며,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와 AI 기반 B2B(기업 대
기업) 및 B2C(기업 대 소비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2030년까지 매출에서 AI 비중을 35%까지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3. 미국 통신사 주가 상승 요인
미국에서는 T-Mobile,
Verizon(버라이즌), AT&T(에이티앤티) 등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T-Mobile은 올해 들어 50% 이상 상승하며 244.92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넷플릭스(Netflix)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포함된 요금제의 수요 증가와 후불제 가입자(postpaid
subscribers, 포스트페이드 서브스크라이버) 확대에 따른 실적 개선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이들 미국 통신사는 사업 구조상 중국 시장 의존도가 낮아,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 갈등에 비교적 영향을 받지 않는 점도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 통신주의 경기 방어주 역할
통신주는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기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경기 방어주로 꼽힙니다. 특히, 높은 배당과 꾸준한 현금
흐름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이는 시장 변동성이 클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미국
통신주는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방어적 투자 수단으로 주목받으며, AI 사업 확장과 안정적 실적에 기반한
성장 가능성으로 인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통신주가 경기 방어주로서의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T-Mobile US는
미국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으로, 후불 및 선불 무선 음성, 메시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무선 장치와 액세서리를 판매하며,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T-Mobile US는 미국, 푸에르토리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등지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약 1억 2,75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하여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무선 이동통신사입니다.
회사의 최대 주주는 독일 본에 본사를 둔 다국적 통신사인 도이체 텔레콤 AG로, 2023년 4월 기준으로
T-Mobile US의 지분 51.4%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T-Mobile US는 1994년에
설립되어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미국 내 주요 이동통신사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최근에는 5G 네트워크 구축을 선도하며, 2023년
4분기와 연간 실적에서 서비스 수익, 수익성, 현금
흐름 등에서 업계 최고의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5월에는 U.S. 셀룰러의 무선 운영 부문과 일부 스펙트럼 자산을 약 44억
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여, 약 400만 명의 신규
고객을 확보하고 미국 내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였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을 통해 T-Mobile US는 미국 통신 산업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혁신과 서비스 확장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T-Mobile US는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기업입니다. 후불(postpaid,
포스트페이드) 및 선불(prepaid, 프리페이드) 무선 음성, 메시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5G 네트워크 구축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로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무선 장치와 액세서리 판매를 포함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핵심 사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 유선 통신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음
T-Mobile US는 기본적으로 유선 통신 서비스(예: 유선 전화, 유선
인터넷)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유선 인터넷이나 전화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는 회사는 Verizon(버라이즌)이나 AT&T(에이티앤티)와 같은 기업입니다. 다만, T-Mobile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일부 지역에서 무선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유선 인터넷 서비스와는 다른 기술입니다.
### T-Mobile의 인터넷 서비스 확장
- T-Mobile은 5G 네트워크를
활용한 고정형 무선 인터넷(Fixed Wireless Access, FWA)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유선 기반의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대체할 수 있는 옵션으로, 사용자는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무선 신호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 이 서비스는 특히 미국의 인터넷 접근성이 낮은 농촌 지역과 도시
외곽 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T-Mobile US는 전통적인 유선 통신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으며, 무선 이동통신 및 5G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 구조는 빠르게 성장하는 무선 통신 시장과 5G 네트워크 구축에 전략적으로 집중하고자 하는 T-Mobile의 비전을 반영합니다.
### KT의 연말 배당과
매수 증가
12월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배당금을 받으려면, 주식 시장에서 배당기준일(Dividend Record Date)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보통 배당기준일의 2거래일
전까지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왜 매수가 증가하나요?
- 투자자들은 배당금을 받기 위해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해당 주식을
매수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특히 배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됩니다.
- 예를 들어, KT의 배당수익률이 4.01%로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배당을 목적으로 한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