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와 PER를 활용하여 적정 주가 구하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문서에서 다루는 내용을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자료의 주요 개념인 EPS와 PER에 대해 친절하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1.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는 회사가 한 주당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의 총 순이익이
1억 원이고, 발행된 주식이 10만 주라면 E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EPS = 순이익 / 발행 주식수 = 1억
원 / 10만 주 = 1,000원
즉, 이 회사는 주식 한 주당
1,000원의 이익을 창출한 것입니다.
2.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PER은 주가가 그 기업의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가 현재 기업의 수익력에 비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
판단할 때 사용됩니다.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 = 주가 / EPS = 시가총액 / 순이익
예를 들어, 주가가 10,000원이고 EPS가 1,000원인 경우,
PER은 10이 됩니다.
PER이 높다면 시장에서 그 회사가 앞으로 더 많은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는 것이고, 낮다면 시장에서 그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3. 기준 주가 (적정
주가) 계산
EPS와 PER을 통해
기준 주가, 즉 적정 주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준 주가는
회사의 현재 수익성을 반영하여 적정 가격을 산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PS가 1,000원이고 PER이 10이라면, 기준
주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기준
주가 = EPS × PER = 1,000원 × 10 = 10,000원
이 기준 주가를 통해 현재 주가가 과대평가되었는지, 혹은 과소평가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기준 주가와 미래 가치 평가
현재의 EPS와 PER은
당해 분기나 연도의 실적을 반영한 것이므로, 다음 분기나 연도의 가치 평가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전망을 평가할 때는 애널리스트들의 예측치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EPS와 PER을 활용하면
회사가 현재 어느 정도의 수익을 내고 있고, 이 수익에 대해 시장에서 얼마나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어 투자 의사결정에 도움이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