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한화시스템의 주가 상승 배경


* 게시일 : 2024년 11월 12일 화요일

이 글은 한화시스템의 주가 상승 배경을 분석하고, 방산 수출 확대와 트럼프 대통령 재선 가능성에 따른 우주산업 성장 기대가 주식 시장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특히, 한화시스템의 안티드론 시스템 개발, 중동 방산 수출 확대, 그리고 천궁-Ⅱ 미사일 수출 관련 계약 상황을 심도 있게 설명합니다.

 

1. 방산과 우주산업 성장 기대에 따른 한화시스템의 주가 강세

한화시스템은 11일 방산 수출 확대와 우주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우호적인 정책 지원이 예상되면서, 위성 제조와 관련한 한화시스템의 사업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의 배경에는 우주산업의 상업화와 한화시스템의 수익성 개선 기대가 결합되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2. 한화시스템의 3분기 실적과 방산 수출 비중 확대

한화시스템의 올해 3분기 연결 매출액은 6392억 원, 영업이익은 57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43.6% 증가하며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특히 방산 부문에서는 수주 잔고 내 수출 비중이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M-SAM)의 다기능 레이다 매출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방산 부문 내 수출 비중을 20%로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방산 수출 확대가 중장기적인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한화시스템의 안티드론 시스템 개발과 시장 성장 가능성

한화시스템은 다양한 형태의 드론 대응 체계를 개발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약 17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안티드론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의 안티드론 시스템은 주요 시설 방어를 위한 고정형 장비와 도심 방어를 위한 이동형 체계를 포함하며, 포르템 테크놀로지스와의 협력을 통해 드론 포획 장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점차 증가하는 드론 테러와 불법 행위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한화시스템의 안보 관련 기술력 강화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4. 천궁-Ⅱ 미사일 수출과 수주 미반영 배경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이라크로의 천궁-Ⅱ 수출 계약이 성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3분기 실적과 수주 예상 목록에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LIG넥스원이 주도한 계약에서 납기와 계약 금액에 대한 협의가 진행 중인 상황 때문입니다. 한화시스템은 천궁-Ⅱ 수출 관련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중한 접근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5년에 소폭의 이익이 반영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5. 중동 방산 수출의 전망과 과제

한화시스템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를 대상으로 천궁-Ⅱ 시스템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중동 지역 방산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천궁-Ⅱ는 한국판 패트리어트로 불리며, 빠른 납기와 경쟁력 있는 가격이 최대 강점입니다. 하지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이라크 계약과 관련해 LIG넥스원과 사전 합의가 없었다는 점에서 납기와 가격 협의를 조율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 글은 한화시스템의 주요 사업 부문과 해당 부문별 사업 내용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한화시스템의 방산, ICT, 신사업 부문에 걸친 다양한 사업 영역을 포함하며, 각 부문별 매출 비중,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그리고 사업별 참여 영역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1. 방산 부문 개요와 주요 사업

한화시스템의 방산 부문은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 해양시스템, 위성사업으로 구성됩니다. 방산 전자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군수장비를 개발하고 공급하며, 방산 부문은 총 매출의 71.03%를 차지해 가장 중요한 사업 영역입니다. 주요 매출처는 방위사업청이며, 반기 기준 매출은 8749억 원, 영업이익은 949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 방산 부문별 세부 사업 설명

- 감시정찰: 레이다와 전자광학 기술을 통해 항공기, 함정, 대공방어를 위한 레이다와 열상감시장비를 개발합니다. 주요 제품으로 KF-21, KDDX, M-SAM 등의 항공기 및 함정용 AESA 레이다, 대공방어 레이다가 있습니다.

 

- 지휘통제통신: 네트워크중심전(NCW)을 위한 지능형 전술통신체계와 사이버전, 개인전투체계 등을 개발하여 지휘 통신을 지원합니다. 현재 TICN, 탄도탄작전통제소 등 다양한 체계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항공전자: 고정익, 회전익 항공기 및 무인기에 탑재되는 전자장비와 개조사업을 포함합니다. KF-21 T-50에 탑재되는 미션컴퓨터, 다기능 시현기, 지향성 방해장비 등이 주요 제품입니다.

 

- 해양시스템: 해양 무기체계와 무인체계 개발을 통해 수상함과 잠수함에 탑재되는 전투체계를 제작합니다. 주요 제품으로 KDDX, KSS-III 등의 전투체계가 있으며, 필리핀 호위함 전투체계 수출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위성사업: 한반도와 주변국을 감시하는 위성 관측 체계와 탑재체를 개발하며, 다목적위성 3A, 차세대 중형위성 1, 2호 등의 개발에 참여해 군 통신망을 지원합니다. 초소형 SAR 위성으로 End-to-En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ICT 부문과 주요 사업

한화시스템의 ICT 부문은 기업의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SI(시스템 통합) 사업과 IT 아웃소싱을 포함하며, 총 매출의 28.46%를 차지합니다. 주요 매출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며, 반기 기준 매출은 3506억 원, 영업이익은 352억 원입니다.

 

- IT 아웃소싱: 고객 전산 시스템의 무중단 운영 및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IT 운영 서비스입니다. 전문 인력을 통해 서버 자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치, 유지보수 등 전반적 운영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SI 및 컨버전스: 기업의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설팅 및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회 인프라와 생산 시설을 위한 산업 시스템 엔지니어링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지원합니다.

 

4. 신사업 부문과 성장 전망

신사업 부문에서는 UAM(Urban Air Mobility), 위성통신, 디지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부문은 매출 비중이 0.52%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UAM: 도심 공중 교통체계 개발을 목표로 팀 코리아의 대표 업체로 활동하며,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위성통신: 저궤도 위성 통신 서비스와 위성통신 안테나 개발을 위해 Hanwha Phasor, Kymeta Corporation, Eutelsat과 협력하며, 국내외 위성통신 사업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플랫폼: 블록체인, AI 등 딥테크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 데이터 기반의 개인 맞춤형 부가서비스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