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6일 수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2024년 11월 6일,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소식으로 인해 한국 증시가
영향을 받으며 주요 지수들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외국인 매도세가 두드러졌으며, 원화 가치 급락과 함께 방산주가 주목받는 등 섹터별로 차별화된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1. 주요 지수 변동 상황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52% 하락한 2563.51로
마감하였으며, 코스닥은 1.13% 하락한 743.31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가시화되면서 장
초반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는 오후 들어 하락 전환하여 마감되었습니다. 이는 미국 정치 변화에 따른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 심리 확대와 연결됩니다.
2. 투자자별 매매 동향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183억 원과 463억 원어치를 순매수했으나, 외국인은 1079억 원을 순매도하며 매도세를 주도했습니다. 코스닥에서도 기관과 개인이 각각 416억 원, 296억 원을 매수했지만 외국인이 605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외국인의 매도세는 원화 가치 하락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3. 지수 차트 패턴
코스피는
하락 장악형 캔들로, 코스닥은 하락 블랙 캔들로 마감되며 두 지수 모두 하락세가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하락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4. 종목별 상승과 하락 현황
이날
상승 종목은 약 820개, 하락 종목은 약 1660개로 하락 종목이 상승 종목의 두 배에 달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매도 심리가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나타내며, 특히 대형주들이 주도하는 하락세가 두드러졌습니다.
5. 주목 받은 섹터 및 종목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방산주가 주목을 받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7.04%)와 LIG넥스원(6.35%)이 상승했습니다. 또한 이날 상장된 더본코리아는 공모가 대비 51.15% 상승한 5만14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7.02%),
POSCO홀딩스(-5.01%), 삼성SDI(-5.98%)
등 2차 전지 관련주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이는
트럼프 재집권에 따른 친환경 에너지 정책 우려와 관련이 있습니다.
6. 환율 급등 상황
달러/원 환율은 전날 1378.49원에서
1400원으로 급등하였습니다. 이는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 증가로 인한 불확실성과 투자자들의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원화 약세가 지속된다면 국내 물가 상승 압력과 외국인
자금 유출이 추가로 우려될 수 있습니다.
7. 업종별 주가 변동
화학
업종이 3% 이상 하락했으며, 철강금속, 운수·창고, 의료정밀
업종도 2%대 약세를 보였습니다. 전기전자, 유통업, 제조업도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면, 통신업, 기계, 금융업, 보험 등은 1%대
강세로 마감하여 방산주와 더불어 일부 업종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있음을 보였습니다.
8. 코스닥 주요 종목 흐름
코스닥
시장에서는 비금속(2.25%)과 금속(1.57%) 업종이
상승한 반면, 금융(-4.47%)과 일반전기전자(-3.75%)는 하락했습니다. 상위 종목 중 휴젤(9.93%), HPSP(5.60%)가 상승했지만 에코프로비엠(-8.63%)과
에코프로(-7.61%)는 하락했습니다.
9.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주목 받은 섹터
금융, 코인, 조선, 우크라
재건 관련주 (건설, 건설 장비, 인프라 기업), 원전, 방산, 인공위성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