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5일 화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은 2024년 11월 5일 한국 증권시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하락 마감했으며, 특히 미국 대선에 대한 경계심리가 영향을 미쳤습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 종목별 상승 및 하락 수치, 차트 패턴 분석, 주요 섹터의 움직임, 달러/원 환율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47% 하락한 2576.88로 마감하였고, 코스닥 지수도 0.30% 하락하며 751.81에 장을 종료했습니다. 이로써 양대 지수는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2. 투자자별 매매동향
이날
양대 지수에서는 외국인은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순매도세를 보였고, 개인은 이를 받아 순매수했습니다. 코스피에서는 외국인이 1435억원,
기관이 2861억원 순매도했으며, 개인은 3887억원 순매수를 기록했습니다. 코스닥에서도 외국인이 1082억원을 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이 각각 713억원, 435억원 순매수했습니다.
3. 상승과 하락 종목 개수
이날
상승 종목은 약 1450개로 하락 종목 수인 1000개를
초과했으나, 지수 자체는 하락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 속에서도 상승 종목 수가 많아 어느 정도 긍정적인 흐름이 유지되었음을 시사합니다.
4. 지수 차트 패턴
코스피는
약한 상승 잉태형 캔들로 마감하였고, 코스닥은 하락 잉태형 역십자 캔들을 형성했습니다. 이 두 가지 패턴은 매도세가 강세임을 보여주지만, 코스피는 상승
가능성을 내포한 약세 패턴을 나타냈습니다.
5. 인버스 상품
인버스
상품은 이날 0.56% 상승하며 시장의 하락에 반응했습니다. 이는
증시 하락을 이용한 매수세가 일부 존재했음을 의미합니다.
6. 주목 받은 섹터
소비
섹터인 음식료업, 화장품, 섬유, 조선, 건설, 코인, 유통 부문이 특히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는 특정 산업군의 이슈나
경기 전망에 따른 투자자의 관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7. 달러/원 환율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 1378원에서 소폭 상승해 1378.49원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외환시장에서의 약간의 불안감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8. 시가총액 상위 종목 동향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대부분이 하락세를 보였으며, 삼성전자가 1.87%,
LG에너지솔루션이 1.41%, 셀트리온이 1.60%, 삼성전자
우선주가 1.23%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국 대선 등 대외
변수에 대한 경계심리가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줍니다.
9.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동향
코스닥에서는
휴젤(1.57%), 클래시스(1.79%), HPSP(1.65%)가
상승한 반면, 알테오젠(-2.18%), 에코프로비엠(-1.92%), HLB(-3.44%), 엔켐(-3.88%)은 하락했습니다.
이 글은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투자자들이 미국 대통령 선거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에 대해
기다리는 분위기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일본,
한국, 홍콩, 중국, 호주 등의 주요 주가지수 동향과 각국의 경제 지표가 담겨 있습니다. 또한, 미국 주식시장에서도 안전자산 선호가 두드러지며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예정된 연준의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시장 기대도 함께 언급되었습니다.
1. 미국 대선과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주목
미국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아시아 태평양 시장에서도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번 대선 결과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역시 주요 관심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CME 그룹의
FedWatch Tool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
0.25%포인트의 금리 인하가 예상되며, 이는 9월에
있었던 0.5%포인트 인하에 이은 조치로 시장에 안정감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2. 아시아 태평양 시장의 주요 지수 동향
일본의
닛케이 225 지수는 1.11% 상승해 38,474.9로 마감했고, 토픽스 지수도 0.76% 올라 2,664.26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일본의 경제 지표가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반면, 한국의 코스피는 0.47% 하락해
2,576.88로, 코스닥은 0.3% 하락해 751.81로 마감했습니다. 한국의
10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1.3% 상승하며, 예측치였던 1.4%보다 다소 낮았습니다.
3. 홍콩과 중국 시장의 강세
홍콩의
항셍지수는 장 막판에 1.8% 상승했으며, 중국 본토의 CSI 300 지수는 2.53% 상승해 4,044.57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홍콩과 중국 시장에서의 투자자
신뢰가 비교적 높아진 것으로 보여지며, 중국 정부의 경제 지원 기대감이 강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4. 호주 중앙은행의 금리 동결
호주의 S&P/ASX 200 지수는 0.4% 하락해 8,131.8로 마감했습니다. 호주 중앙은행은 금리를 4.35%로 동결하며 연속 8차례 회의에서 금리 변동을 피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측에 부합하며, 현 상황에서의 금리 동결을 통한 경제
안정 유지 의지가 나타납니다.
5. 미국 주식 시장의 안전 자산 선호 현상
월요일
밤 미국 다우 지수는 0.61% 하락한 41,794.60에
마감했으며, S&P 500은 0.28% 하락해 5,712.69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0.33% 하락한 18,179.98로 마감했습니다. 안전 자산인 미 국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채 수익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대선을 앞두고 리스크 회피 심리를 보이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6. 이번 주 연준의 금리 결정에 대한 시장의 기대
이번
주 목요일로 예정된 연준의 금리 결정은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많은 트레이더들이 0.25%포인트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9월의 0.5%포인트 인하에 이어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경제 성장 촉진 및 시장 안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