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21일 목요일


이 글은 2024 11 21일 한국 주식시장 마감 상황을 분석한 내용으로, 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약보합세로 마감한 가운데, 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와 모건스탠리의 투자 의견 하향 조정이 시장에 미친 영향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종목과 업종별 흐름, 엔비디아 실적 발표의 효과, 지정학적 이슈, 그리고 환율 변동과 관련된 분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코스피 약보합세 및 매매 주체별 동향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66포인트(0.07%) 하락한 2480.63에 마감했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273억 원, 2595억 원을 순매도하며 10거래일 연속 외국인 매도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반면, 기관은 2988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지수 방어에 기여했습니다.

 

2. 업종별 순환매와 주요 종목 동향 

뚜렷한 주도 업종 부재 속에서 업종별 순환매 장세가 나타났습니다. 삼성전자(+1.99%) KB금융(+1.78%) 등이 상승했으나 SK하이닉스(-1.06%)와 현대차(-1.37%) 등은 하락했습니다. 건설업(+1.54%)과 통신업(+0.87%) 등은 강세를 보였으나 운수장비(-2.17%)와 음식료품(-1.68%) 등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3. 엔비디아 실적 발표와 반도체 업종 영향 

엔비디아가 기대 이상의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 하락이 나타나면서 국내 반도체 업종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시장은 반도체 업종에 대한 기대보다는 테마주 중심의 순환매와 종목별 장세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4. 코스닥 지수 하락과 외국인 매도세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2.24포인트(0.33%) 하락한 680.67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은 773억 원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습니다. 에코프로(+6.43%) HLB(+2.37%) 등 일부 종목은 강세를 보였으나, 리가켐바이오(-4.53%)와 레인보우로보틱스(-3.13%) 등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5. 지정학적 요인과 국내 증시 영향 

우크라이나 전쟁 격화와 바이든 행정부의 지원은 지정학적 우려를 크게 자극하지 않았으나, 국내 방산주는 하락했습니. 대신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와 정유·가스 업종이 상승하며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시장의 복합적 반응을 보여주었습니다.

 

6. 환율 상승 및 외국인 매도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6.6원 상승한 1397.5원에 마감하며 원화 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외국인 매도세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7. 모건스탠리의 투자 의견 하향 조정 

모건스탠리는 한국 증시의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며 외국인 매도세를 촉발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습니.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지정학적 리스크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연기금을 중심으로 한 기관 매수세가 지수를 방어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와 같이, 한국 주식시장은 외국인 매도세와 모건스탠리의 부정적 전망 속에서도 기관의 매수세와 업종별 순환매 장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