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20일 수요일


이 글은 2024 11 20일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의 마감 시황을 중심으로, 주요 지수 변화와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의 주가 동향, 투자 주체별 매매 동향, 외환시장 동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국내외 주요 변수들이 시장에 미친 영향을 논리적으로 다룹니다.

 

1. 코스피 지수 상승과 투자 주체별 동향

코스피는 11 20일 전 거래일 대비 10.34포인트(0.42%) 상승한 2482.29에 마감하며 2480선을 회복했습니다. 장 초반 2475.76에 출발한 지수는 기관의 순매수세에 힘입어 상승폭을 확대했습니다. 

기관은 1708~1724억 원을 순매수하며 상승을 주도했으나,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47~862억 원, 1862~1873억 원을 순매도했습니다.

 

2. 코스피 주요 종목 동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중 반도체주는 하락세를 보였으나 자동차와 금융주는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삼성전자(-1.78%) SK하이닉스(보합)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삼성전자우도 -1.45% 하락했습니다. 반면, 현대차(1.39%), 기아(2.94%), LG에너지솔루션(1.78%), KB금융(4.37%) 등이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3. 코스닥 지수 하락과 투자 주체별 동향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1포인트(0.47%) 하락한 682.91에 마감했습니다. 장 초반 689.03으로 출발했지만 오후 2 50분경 하락 전환했습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357억 원, 560억 원의 순매도세를 보였으, 개인은 835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4. 코스닥 주요 종목 동향

바이오주가 희비가 엇갈린 가운데, 알테오젠(-6.78%)과 리가켐바이오(-4.42%)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HLB(1.85%), 삼천당제약(3.30%), 클래시스(4.65%), 휴젤(3.11%) 등은 상승 마감했습니다. 

 

5. 주요 시장 변수와 외환시장 동향

국내 시장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확대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가 나타난 가운데 미국 시장에서 위험자산 이탈이 제한적이었습니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글로벌 투자심리가 유지된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1,399.20)은 전 거래일 대비 보합세를 기록하며 주간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6. 시장 전망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은 각각 기관과 개인의 매매 방향에 영향을 받으며 서로 다른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변수와 외국인 수급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추가적인 외환시장 안정과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 여부가 시장의 향후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