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1일 금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2024년 11월 1일 금요일의 한국 증권시황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모두 하락하였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매도세를, 개인 투자자만이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상승 종목보다 하락 종목이 훨씬 많았으며, 차트 패턴에서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약세 신호가 나타났습니다. 인버스는 상승 마감하였고, 주목받은 섹터로는 2차전지, 태양광, 풍력 등이 있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전일 대비 소폭 하락했습니다.
1.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하락
코스피는 -0.54% 하락하며
약세를 나타냈고, 코스닥 지수는 -1.89% 하락하여 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투자 심리가 약화된 가운데 대형주와 중소형주 모두에서 매도세가 확산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코스닥의 더 큰 하락폭은 중소형 기술주들의 높은 변동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투자자별 매매동향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양대 지수 모두에서 매도세를 보였고, 개인 투자자만이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외국인과
기관이 환율 변동성과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방어적 포지션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면
개인들은 주가 하락을 매수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자산 축소에 대비한 외국인과 기관의
전략과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3. 상승과 하락 종목 비율
상승 종목은 약 680개, 하락 종목은 약 1800개로, 하락
종목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이는 많은 종목들이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 시장이 하방 압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처럼 하락 비율이
높은 것은 광범위한 매도세가 시장에 퍼지고 있는 상황을 반영합니다.
4. 지수 차트 패턴
코스피 지수에서는 샛별형 역십자 블랙 캔들이 나타나 약세 신호를 보였습니다. 이
패턴은 하락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며, 기술적 지표상 추가적인
하락 위험이 있을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코스닥도 하락 캔들이 형성되며 박스권 내에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수의 박스권 하단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추가적인 저항과 하락 가능성이 존재함을 시사합니다.
5. 인버스 상승
인버스는 0.55% 상승하며 석별형 캔들로 마감했습니다. 인버스의 상승은 시장의 하락세에 대한 대비 수단으로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현 시장에서 방어적 포지션을 선호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인버스의 움직임은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6. 주목받은 섹터: 2차전지, 태양광, 풍력
2차전지, 태양광, 풍력 섹터는 이날 주목받은 섹터로, 친환경 에너지 관련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와 정책적 지원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정부와 글로벌 친환경 정책의 확대가
이들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시장 전반의 하락세로 인해 일정 부분 조정 압력이 있었습니다.
7. 달러/원 환율 변동
달러/원 환율은 전일 1379원에서 1378원으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환율 변동성과 국내 자금 유입의 일부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향후 환율의 추가 변동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Test.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