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미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13일 수요일


이 글은 미국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의 재선 후 긍정적 기대 속에서 상승세를 이어왔으나, 과열 조짐과 함께 주요 지수들이 조정을 받으며 하락한 상황을 설명합니다. 다우 지수는 44,000 포인트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350포인트 이상 하락했고, 주요 기술주와 소형주, 그리고 트럼프 정책 수혜주로 여겨졌던 주식들이 상당한 하락을 보였습니다.

 

1. **주요 지수 하락 및 트럼프 정책 기대주 하락**

   다우 지수는 382.15포인트(0.86%) 하락하며 트럼프 재선 이후 이어진 랠리에서 쉬어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S&P 500 0.29%, 나스닥은 0.09% 하락하며, 두 지수 모두 5일 연속 상승세가 끊겼습니다. 트럼프 재선 후 수혜가 예상됐던 소형주와 Russell 2000 지수도 1.8%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2. **테슬라와 트럼프 미디어 주식 하락**

   테슬라 주가는 트럼프 당선 후 31% 상승했으나, 이날 6.1%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은 약 9% 하락했으며, 트럼프 당선 이후 현재까지 10%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주식들의 하락은 트럼프의 정책이 주가에 과대 반영된 것일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3. **시장 참여자들의 경계와 경제적 우려**

   투자자들은 이제 선거의 불확실성이 사라진 상황에서 남아 있는 경제적 리스크들, 특히 부채와 적자 문제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Siebert의 최고투자책임자인 마크 말렉은 시장이 다소 과열됐고 현재의 하락세는소화 불량과 같은 일시적인 조정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주석 : 마크 말렉이 언급한소화 불량이라는 표현은 **시장이 과도한 상승을 겪은 후 잠시 쉬어가는 조정 과정**을 의미합니다. , 선거 이후 투자자들이 트럼프 재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식 시장을 급하게 매수하면서 주가가 급등했지만, 이런 급등세가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가격이 조정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소화 불량"이라는 표현은 시장이 장기간의 급등 후 과열된 상태에서, 추가 상승을 하기 전 잠시 멈추거나 하락하며 **과도하게 쌓인 기대감과 매수 열기를 해소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보통 건강한 시장에서 자주 나타나며, 이를 통해 시장이 더 큰 하락 없이 상승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안정화 역할을 합니다.

 

요약하자면, 말렉은 현재의 하락이 장기적 하락 추세를 뜻하기보다는, **단기적인 시장 조정**에 해당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이 지나친 기대감에서 벗어나 **안정된 투자 환경을 다시 마련하려는 일시적 현상**로 보고 있습니다.

 

4. **앞으로의 경제 지표와 연준 금리 인하 주시**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같은 인플레이션 지표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배경에는 트럼프의 세금 감면과 규제 완화 기대감이 있었으나, 경제 지표에 따라 시장은 추가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다른 주요 주식의 움직임**

   다우 지수 구성 종목 중 하나인 암젠(Amgen)은 비만 치료제 마리타이드(MariTide)가 골밀도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로 인해 6% 이상 급락했습니다. Destiny Tech100 펀드는 선거 후 급등했으나 24% 하락하며 일부 이익을 반납했습니다.

 

6.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의 하락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는 4분의 3에 해당하는 주식이 하락했으며, 나스닥의 하락 종목 비율도 63%에 달했습니다. NYSE에서는 177개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반면, 66개 종목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