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인덱스시황 : 2024년 11월 13일 수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은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기대감으로 인해 미국 달러가 주요 통화 대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비트코인이 최근 기록적인 랠리 이후 일부 조정을 보인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장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과 공화당이 의회 다수석을 차지한 상황을 바탕으로 달러의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1. **미국 달러 강세와 비트코인 조정**
미국
달러는 주요 통화 대비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으며, 달러 지수는 106.06으로 0.5%
상승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인상과 규제 완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달러 수요가 증가한 결과입니다. 반면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치인
89,982달러에서 1.2% 하락하여 86,945달러로
조정을 보였습니다.
2.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따른 달러 강세**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물가 상승을 유도할 가능성이 높아 연준이 금리 인하 여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UBS의 외환 전략가인 바실리 세레브리야코프는 이러한 정책이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트럼프는 특히 유럽의 자동차 수출을 타겟으로 삼으며 유로존에 대한 압박을 높이고 있으며, 중국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60% 관세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3. **공화당의 의회 다수와 달러 추가 상승 가능성**
트럼프의
공화당이 의회 다수를 차지하면서 세금 감면 및 규제 완화와 같은 트럼프의 경제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달러는 선거 전부터 강세를 보였으며, 공화당의 승리가 달러에 추가적인 상승 압력을 가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4. **유로와 엔화 등 주요 통화의 약세**
유로화는
독일 내 정치적 불안정과 트럼프의 정책 압박으로 인해 1.0609달러까지 하락했으며, 이는 4월 중순 이후 최저치입니다.
파운드화는 영국의 임금 성장 둔화와 실업률 증가로 인해 달러 대비 1.03% 하락했습니다. 일본 엔화도 달러 대비 0.7% 하락해 154.80엔으로
3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5. **중국 위안화와 호주 달러의 약세**
중국 위안화는 7.2378 위안으로 마감하며 8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호주 달러 역시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로 0.52% 하락한 0.6542달러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달러 강세를 불러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무역 긴장과 안전자산 수요 증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주로 중국을 비롯한 무역 상대국과의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며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을
야기합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미국 달러를 선호하게 됩니다. 특히 국제 금융 시장에서 위험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해질 때 달러의 수요가 증가해 달러 강세로 이어집니다.
2. **미국 내 인플레이션 상승 기대**
관세는
수입품의 가격을 상승시켜 물가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관세로
인해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면, 연방준비제도(Fed)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게 됩니다. 금리 인상은 미국 자산의 수익률을 높여 외국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게 하고, 이에 따라 달러가 강세를 보입니다.
3. **미국 경제의 상대적 강세**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으로 인해 무역 상대국들이 경제적 타격을 받을 경우,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강한 성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하며 달러 수요가 증가하게 만듭니다. 또한 관세로
인해 무역 적자가 감소하게 되면, 미국 내 경제 성장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달러화 강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경쟁국 통화 약세**
관세로 인해 경쟁국의 경제가 타격을 입으면, 해당 국가의 통화가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게 됩니다. 무역 상대국들의 통화가 약세를 보이면 달러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띠게
됩니다. 예를 들어, 중국이나 유럽 국가들의 통화가 약세를
보일 때 달러가 상대적으로 강해집니다.
이와 같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여러 경로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 인플레이션 상승
기대, 미국 경제의 강세 기대감 등이 결합되어 달러의 강세를 불러오는 주요 요인이 됩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환율 차트가 아슬아슬한 느낌이네요. 예전에 말씀하신 숫자가 보수적이라고 하셨던 게 실감날 정도예요. 어떻게 헤쳐나가게 될까 싶습니다. 잘 봤습니다.
답글삭제감사합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