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1월 12일 화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글은 2024년 11월 12일 한국 주식 시장의 마감 상황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지수 하락 원인,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매도세, 그리고 미국 정치 상황이 한국 증시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겠습니다.
1. 코스피 2500선
붕괴와 주요 요인
한국 주식 시장에서 코스피가
2500선 아래로 하락한 것은 9월 11일 이후
약 두 달 만의 일입니다. 12일 종가 기준으로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9.08포인트(1.94%) 하락한
2482.57에 마감했습니다. 이날 코스피는 장 초반부터 약세로 출발해 2527.94에서 시작하여 점차 하락폭을 키워 2480선까지 후퇴했습니다.
2. 레드스윕과 한국 증시 약세
트럼프 후보의 당선과 함께 공화당이 의회에서도 다수당이 되는 레드스윕은
한국 증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포함한 보호무역주의 정책들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의 공약 실현이
미국 국채 발행 확대와 이에 따른 금리 오버슈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NH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공약이 실현된다면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최대 4.5%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는 금리
상승이 강달러 현상을 초래하여 외국인 자금 유출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3. 주요 업종 및 종목의 주가 동향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인해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3.64%), SK하이닉스(-3.53%) 등 주요 반도체 종목이 특히 큰 낙폭을 보이며 약세를 견인했습니다. 반면, 네이버(3.07%)와 LG에너지솔루션(2.64%) 등 일부 대형주는 상승세를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소폭 상승(0.09%)했으나, 의료정밀(-4.01%)과
의약품(-3.23%) 업종은 큰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국내 증시 내 업종별 투자자들의 선호와 외국인 매도세의 영향을 보여줍니다.
4. 코스닥의 약세 및 소형주 하락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8.32포인트(2.51%) 하락한 710.52에
마감하면서 코스피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1억원과 69억원 규모의 순매도를 기록했으며, 주요 바이오 종목인 휴젤(-3.56%), 삼천당제약(-3.14%) 등이 하락했습니다. 반면, 일부 친환경 소재 기업인 에코프로비엠(0.13%)과 에코프로(0.78%)는 소폭 상승해 기술주 내에서도 종목별로 차별화된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5.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자금 유출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8.8원 오른 1403.5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강달러 현상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이탈을 유도하면서 한국
주식 시장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6. 종합 분석 및 전망
현재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직면한 상황이며, 트럼프의 당선 및 레드스윕 현실화가 한국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과 강달러는 한국 증시에 구조적 부담을 주고 있으며, 대형주 중심의 외국인 매도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일부 친환경 및 첨단 기술 관련 종목은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종목별 차별화 전략이 중요해 보입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