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시황 2024년 11월 12일 화요일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미국 다우지수는 트럼프의 당선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며 월요일 300포인트 이상 오르면서 44,000 포인트를 넘어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은행주와 비트코인 관련 주식이 강세를 보였으며, 트럼프 재선에 따른 금융 규제 완화 기대가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애브비의 약물 임상 실패로 인해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주가가 급등했고, 이를 계기로 경쟁 리스크가 사라졌다는 분석도 제기되었습니다.
1 다우지수와 주요 지수 동향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월요일 300포인트 이상 상승하며 44,293.69에 마감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재선 이후 은행 부문의 규제 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로, JPMorgan Chase와 Goldman Sachs가 각각 1%, 2.2% 상승하며 다우지수를 견인했습니다. 반면, S&P 500은 기술주 하락의 영향으로 소폭 상승에 그쳤고, 나스닥
지수는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2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관련 주식 강세
트럼프 재선 후 규제 완화 기대감 속에서 비트코인 가격이 87,000 달러를 돌파하며 암호화폐 관련 주식인 Coinbase와 Mara Holdings 주가도 각각 23%와 31% 급등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이 트럼프 당선으로
규제 완화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3 소비자 심리와 '애니멀
스피릿' 현상
모건스탠리의 리사 샬렛 CIO는 트럼프 재선으로 인해 시장에 '애니멀 스피릿'이 촉발되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와
유동성에 따른 가격 포지셔닝에 기인한 현상으로, 경제의 근본적
변화보다는 감정과 투기적 매수 심리가 크게 작용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주석 : "애니멀 스피릿(animal spirits)"란 경제와 금융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심리나 감정에 따라 나타나는 투자 열기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처음 사용했으며, 사람들의 직관적 판단이나 감정적인 결정이 경제 활동과 시장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즉, 애니멀 스피릿은 경제의 펀더멘털이나 논리적 분석보다 심리적 요인에
의해 투자자들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투기적 움직임을 보일 때를 지칭합니다. 트럼프 당선 후 나타난 주식 시장의 강세가 애니멀 스피릿의 한 예로, 경제
정책의 실질적인 변화보다도 투자자들의 기대와 낙관적인 심리가 시장 상승을 이끄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밈 주식(GameStop) 및
투기적 시장 반응
트럼프의 당선 이후 투기적 거래가 부활하면서 GameStop
주가는 월요일 9% 상승하여 한 주간 20%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재선 후 애니멀 스피릿이 시장에 불을 지피며 투기적 거래가 증가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5 국채 시장과 재정 정책에 대한 기대
제프리스의 데이비드 제르보스는 트럼프의 당선 후 재정 정책의 변화
가능성이 반영되면서 국채 시장에서 일시적인 매도세가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기에는 적자 지출 증가 우려로 매도세가 발생했으나, 정부 지출 감소
가능성이 다시 제기되며 국채 가격이 회복되고 금리가 하락했습니다.
6 SpaceX 관련 펀드 상승
트럼프의 재선 이후 기술주 중심 펀드인 Destiny Tech100 Fund는 13% 상승했으며, 특히 SpaceX와 같은 비상장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은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이 펀드는 순자산가치 대비
600% 이상의 프리미엄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높은 수요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7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주가 급등
애브비의 조현병 치료제 후보가 주요 임상 지표를 충족하지 못한 소식이
전해지면서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주가는 월요일 12.8% 상승했습니다. 이는 경쟁 리스크가 줄어들면서 브리스톨 마이어스의 조현병 치료제
Cobenfy (코벤피)에 대한 시장 전망이 밝아졌다는 분석에 기인합니다.
주석 : 'Cobenfy'는 미국 FDA에서 승인한 조현병 치료제의 상품명입니다. 영어 발음은 '코벤피'로,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koʊˈbɛnfi/로 표기됩니다. 이는 '코'와 '벤'이 강세를 받으며, '피'로 끝나는 발음입니다.
미국 채권 시장은
베테랑스 데이 휴일을 맞아 월요일에 휴장했습니다. 지난주 미국 대선 이후 채권 시장에서는 상당한 움직임이 있었으며, 도널드 트럼프의
재선 이후 10년물 국채 수익률과 2년물 국채 수익률이 각각 4.4%와 4.3%를 돌파하는 등 주요 금리 변동이 발생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를 포함한 중요한 경제 지표와 연방준비제도(Fed)
관계자들의 발언이 예정되어 있어 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1 미국 채권 시장의 최근 동향
미국 채권 시장은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확정 후 금리가 크게
오르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경제 불확실성 증가와 금리 정책 변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특히,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4%를 넘어섰다가 4.306%로 마감했으며, 2년물 수익률도 일시적으로 4.3%를 돌파 후 4.25%에서 마감되었습니다.
2 이번 주 예정된 주요 경제 지표
이번 주에는 경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들이 발표됩니다. 수요일에는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될 예정이며, 월간 0.2%, 연간 2.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핵심 인플레이션(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지수)은 월간 0.3%, 연간 3.3%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3%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지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향후 금리 정책 결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3 연방준비제도(Fed) 관계자들의
발언
이번 주에는 리치먼드 연준 총재 토마스 바킨이 화요일에, 그리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목요일에 발언할 예정입니다. 특히
파월 의장의 발언은 시장에 향후 통화 정책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4 월간 소매 판매 및 산업 생산 지표 발표
금요일에는 10월 소매 판매 및 산업 생산 지표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
지표들은 미국 경제의 소비 및 산업 활동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소비가 활발한지 여부와 산업 부문이 얼마나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지난주 연준은 기준 금리를 25bp
인하하여 4.50%-4.75%로 조정했습니다.
현재 CME 그룹의 FedWatch 도구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다음 12월 회의에서 연준이 또다시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약 63%로 보고 있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