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환율이 1410원 이상으로 오를 경우 외환당국이 개입


* 게시일 : 2024년 11월 15일 금요일

이 글은 2024 11 14일 한국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위에서 고점 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을 다루고 있습니다. 달러 강세와 국내 외환당국의 구두 개입에도 불구하고 환율이 안정되지 않는 배경을 분석하며, 전문가들은 강달러가 지속될 가능성과 트럼프 재임기의 정책 불확실성,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당국의 추가 개입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환율 상승 배경과 외환당국 개입 

현재 원·달러 환율은 3일 연속 1400원대에서 마감했습니다. 미국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면서 원화 가치는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달러인덱스는 106.630으로 1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외환당국은 시장 안정화 발언을 통해 환율 상승을 억제하고자 했으나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습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은 환율 변동성이 과도할 경우 적시에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외환시장에서 나타난 영향은 제한적이었습니다.

 

2. 트럼프 재임기와 환율 전망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재선이 한국 경제와 환율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위원은 트럼프 취임 전까지 원·달러 환율이 1450원까지 오를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 등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구체화될 경우 환율은 추가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외환당국의 추가 개입 가능성 

환율이 1410원 이상으로 오를 경우 외환당국이 개입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의 권아민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4월 환율이 1400원을 넘었을 때도 한국은행은 약 58억 달러를 매도하며 시장 개입을 통해 환율을 조정했습니다. 따라서 시장에서는 외환당국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인 환율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4. 중장기 전망: 달러 강세 완화 가능성 

트럼프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 달러 강세는 점차 완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정부가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달러 약세를 선호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며,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한국 국고채가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되면서 원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환율 상승 압력을 억제할 수 있는 중장기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우려 

트럼프의 재임으로 인해 한국의 기초체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남강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한국 경제 펀더멘털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환율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경제에 대한 투자자들의 센티먼트가 악화될 가능성을 지적했습니다.

 

주석 : '센티먼트(Sentiment)'는 투자자들이 특정 자산이나 시장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나 태도를 의미합니다. , 시장 참여자들이 경제 상황, 정치적 사건, 기업 실적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심리를 나타냅니다. 이 감정이 시장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따라 자산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이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 시장 센티먼트가 긍정적으로 변하여 주식이나 위험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불안이나 공포 같은 부정적 센티먼트가 확산되면 안전 자산인 금이나 채권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주식 시장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커집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