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10월 미국의 일자리 보고서


이 글은 2024 10월 미국의 일자리 보고서에 대한 분석으로, 지난 달의 고용 창출 수치가 예상보다 크게 낮아지면서 미국 노동시장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의 파업과 미국 남동부 지역의 허리케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가 주요 요인으로 언급되었으며, 이에 따라 비농업 고용이 둔화되었고 이는 향후 미국 경제와 금리 정책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1. 10월 비농업 고용 증가율

10월 비농업 부문에서 일자리는 12,000개가 증가하는 데 그쳐, 전월 대비 크게 감소했습니다. 이는 10만 개라는 다우존스의 예상치를 훨씬 밑도는 수치로, 2020 12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입니다. 미국 노동부는 이번 보고서에서, 보잉 파업으로 인해 제조업 부문에서만 약 44,000개의 일자리가 줄어들었고, 허리케인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습니다.

 

2. 실업률과 폭넓은 실업 지표

10월의 실업률은 4.1%로 유지되어 예상과 일치했으며, 경제적 이유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근로자나 구직을 포기한 근로자를 포함하는 광의 실업률 또한 7.7%로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비록 일자리 증가율은 둔화되었지만, 실업률 측면에서 경제의 기초적인 안정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3. 평균 시급 증가와 근로시간

10월 평균 시급은 0.4% 상승하여 예상보다 소폭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연간 4% 증가율은 예상과 일치했습니다. 평균 근로시간은 34.3시간으로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임금 상승세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4. 금융시장 반응과 금리 인하 전망

일자리 보고서 발표 직후 금융시장은 주가가 상승하고 채권 금리는 하락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는 저조한 일자리 증가율이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시장은 연방준비제도가 다음 주 목요일에 발표할 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5. 보잉 파업과 허리케인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는 보잉 파업이 제조업 부문 일자리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되었으며, 허리케인 Helene Milton이 남동부 지역에 영향을 미쳤으나 그 구체적인 경제적 영향을 수치화하는 것은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자연재해와 파업의 영향은 단기적일 가능성이 높아, 미국 노동시장이 본질적으로 취약해졌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점도 강조되었습니다.

 

6. 10월 고용 시장의 약세와 업종별 변동

10월 보고서에서는 전반적인 고용 둔화가 나타났지만, 특히 제조업과 임시직 부문에서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습니다. 임시직 서비스는 4 9천 개의 일자리가 감소하여 고용 시장의 기초 체력이 약해졌음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반면, 헬스케어 부문은 5 2천 개의 일자리를 추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정부 부문 또한 4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7. 최근 고용 시장의 불안정성과 연준의 금리 정책

올해 들어 미국의 월평균 고용 창출은 약 20만 개로, 전년도 대비 6만 개 정도 줄어든 상태입니다. 이는 고용 시장에 약간의 불안정성이 감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높은 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부담을 연준이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최근 연준은 경제가 성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이례적으로 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며 노동 시장에 대한 우려를 반영했습니다.

 

8. 노동 시장 둔화와 대선의 경제적 의미

이번 고용 보고서는 미국 대통령 선거를 며칠 앞두고 발표되어 정치적 함의를 가질 수 있습니다. 현재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와 민주당의 카말라 해리스가 경쟁 중인 가운데, 약세를 보인 고용 수치는 경제와 일자리 정책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이슈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 게시일 : 2024년 11월 1일 금요일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