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한국 증권시황 : 2024년 10월 31일 목요일


이 글은 2024 10 31일 목요일 한국 증권시장의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변화, 투자자별 매매 동향, 주요 상승 및 하락 종목, 그리고 관련 시장 트렌드와 섹터, 환율 변동 사항을 설명합니다.

 

1.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현황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7.64포인트(1.45%) 하락 2556.15에 마감했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장 초반부터 전저점을 하향 돌파하며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전 거래일 대비 4.87포인트(0.66%) 상승 743.06에 마감하며 소폭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2. 투자자별 매매 동향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5636억원, 3306억원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8631억원 순매도했습니다. 이러한 외국인 매도세는 최근 달러 강세에 따른 자금 유출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코스닥에서는 개인이 1371억원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 1497억원 순매수했습니다.

 

3. 상승과 하락 종목 개수 및 주요 종목 동향 

전체적으로 상승 종목이 약 1350개로, 하락 종목 약 1080개를 상회하며 상승 종목 수가 우세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에서는 코스피에서 삼성전자만 소폭 상승(0.17%)했으나, SK하이닉스(-4.64%), 삼성바이오로직스(-2.81%), LG에너지솔루션(-0.97%) 등 주요 대형주들이 하락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에코프로비엠(0.18%), HLB(0.46%) 등이 상승을 기록했으며, 삼천당제약이 6.20%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4. 지수 차트 패턴 분석 

코스피는 기술적 분석상 이전 저점을 하향 돌파하면서 심리적 지지선이 붕괴되었고, 하락 폭이 컸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이미 저점 박스권에서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인 후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반등은 일부 성장주의 매수세 유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5. 주목해 볼 만한 섹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에서 편의점, 유통, 섬유 섹터가 주목할 만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소비 패턴 변화와 함께 겨울철 의류 판매 기대감이 유통과 섬유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편의점 업계는 물가 상승에 따른 수익 개선 전망이 반영되어 강세를 보였습니다.

 

6.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은 전일 1380원에서 1379원으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환율의 하락은 원화 강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여전히 강달러 추세 속에서 외국인 투자 유출이 계속되어 코스피 약세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