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미국 증권시황 : 2024년 10월 26일 (토)

이 글은 나스닥 종합 지수가 기술주 주도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S&P 500과 다우존스 지수는 하락하는 등 주요 미국 주식 시장 지수들의 엇갈린 움직임과 그 배경을 다룹니다. 또한, 10년 국채 수익률의 변화와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견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나스닥 종합 지수 사상 최고치 기록 

   금요일(현지시간), 나스닥 종합 지수는 대형 기술주의 상승세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인 18,518.61에 도달하며 0.56%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테슬라, 엔비디아, 메타 플랫폼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와 같은 대형 기술주들이 곧 있을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면서 주도되었습니다.

 

2. S&P 500과 다우존스 지수의 하락 

   S&P 500 0.03% 하락하여 5,808.12에 마감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59.96포인트(0.61%) 하락하며 42,114.40으로 마감했습니다. 이 두 지수는 6주 연속 상승세가 마무리되며 이번 주에는 각각 1% 2.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분기별 실적 발표에 따른 개별 종목의 변동 

   HCA 헬스케어는 허리케인 피해로 인해 수익과 연간 지침이 타격을 받았다고 보고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Colgate-Palmolive는 연간 매출 추정치의 하한선을 낮추면서 주가가 약 4% 하락했습니다.

4. 10년 국채 수익률의 변동과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수요일 세션에서 4.25%를 넘어섰지만 이후 소폭 냉각되었으며, 금요일에는 다시 3bp 상승하여 약 4.24%에 도달했습니다. MRB 파트너스의 필립 콜마는 "수익률 상승이 주식 시장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하며 "높은 수익률은 주식의 수익성을 낮추지만, 향후 금리 인하가 있을 경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5. 엇갈린 시장 반응과 나스닥의 강세 

   나스닥 지수는 목요일 테슬라와 S&P 500이 상승한 후에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7주 연속 상승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대형 기술주의 실적 기대와 더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