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한국 증권 시황 : 2024년 10월 21일 (월)

 

이번 내용은 10 21일의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코스피 2,600선 회복을 주도했으며, 대형주들이 강세를 보였다는 소식입니다. 또한 코스닥 시장 역시 상승세를 보이며 대형주의 활약이 두드러졌습니다. 삼성전자 등 일부 종목은 매도세가 계속되었지만, SK하이닉스와 헬스케어 주식들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1. 코스피와 코스닥의 전반적 상승 

21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3% 상승 2,604.92에 장을 마쳤으며, 코스닥은 0.89% 오른 759.95로 마감했습니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은 유가증권 시장에서 각각 220억 원, 2,656억 원을 매수했고, 코스닥에서도 외국인이 1,517억 원을 순매수하며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양 시장에서 모두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2. 주요 대형주의 동향 

코스피 대형주 중 SK하이닉스는 1.92% 상승했으며,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셀트리온 등 여러 종목이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외국인의 매도세가 계속되며 0.3% 하락해 '5만전자'의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코스닥에서는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가 각각 1.98%, 17.1% 상승했으며, 알테오젠과 리가켐바이오, 클래시스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3. 환율과 업종별 흐름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5.5원 오른 1,375.2원에 마감되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약과 화장품 섹터가 각각 1.79%, 0.66%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갔으나, 은행과 카드 섹터는 각각 0.85%, 0.73% 하락했습니다. 이는 개별 종목 및 섹터별 이슈에 따른 차별화된 흐름이 나타난 결과로 분석됩니다.



 

 

 

* 게시일 : 2024 10 21일 월요일 오후 6 33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