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경제지표와 실적발표 일정 : 2025년 7월 28일(월) ~ 8월 1일(금)

이미지
🧭 2025 년 7 월 마지막 주 미국 경제지표 및 연준 (Fed) 일정 분석 📆 기준 주간 : 2025 년 7 월 28 일 ( 월 ) ~ 8 월 1 일 ( 금 ) 🗓 주간 핵심 일정 요약 ( 요인별 정렬 ) 📌 주요 이벤트 📍 일시 (ET 기준 ) 🔍 내용 🧩 주목 포인트 FOMC 회의 7 월 30 일 ( 수 ) 2:00 pm 연방금리 결정 향후 금리 방향성 시사 Fed 의장 발언 7 월 30 일 ( 수 ) 2:30 pm 제롬 파월 기자회견 물가 / 고용 판단의 변화 여부 고용 보고서 ( 비농업 ) 8 월 1 일 ( 금 ) 8:30 am 7 월 고용 동향 발표 노동시장 냉각 / 과열 판단 분기점 PCE 인플레이션 지표 7 월 31 일 ( 목 ) 8:30 am Fed 가 중시하는 물가 지표 Core PCE YoY 유지 여부 주목 🔍 주요 지표별 정밀 분석 1️⃣ 소비심리 & 고용 선행지표 (7/29 화 ) 지표 발표 시간 실제치 예상치 이전치 해석 소비자신뢰지수 (Conference Bo...

아시아 증권 시황 : 2024년 10월 21일 (월)


이 글은 중국의 대출 기준 금리 인하와 일본 총선, 그리고 아시아 태평양 주요 시장의 혼조된 움직임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글에서는 중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와 그 배경, 일본의 경제 상황, 그리고 한국, 일본, 호주, 홍콩, 중국 등 아시아 태평양 주요 시장의 주식 지수 변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각국 경제 지표와 향후 주요 경제 데이터의 발표 일정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1. **중국의 대출 기준 금리 인하**

   중국 인민은행은 1년 만기와 5년 만기 대출 우대금리(LPR)를 각각 0.25%포인트 인하하여, 3.1% 3.6%로 책정했습니다. 이는 금요일에 중국 인민은행 총재 판공성(Pan Gongsheng)이 발표한 내용이며, 인플레이션 억제 및 경제 활성화 조치를 목적으로 한 정책으로 평가됩니다. 인민은행의 이러한 조치는 중기 대출 시설(Medium-term Lending Facility, MLF) 금리 인하와 같은 맥락에서 진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ING는 지난주 발표한 자료에서 인민은행이 이번 금요일에 MLF 금리를 결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으나, 지난달의 30베이시스포인트 인하 이후 2%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추가로 ING는 향후 1주일 내에 중국 정부 부처의 추가 경기 부양책 발표 가능성이나 전국인민대표대회 일정 발표 여부를 주시할 것을 권고하며, 정부의 부양책이 시장의 주요 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 **일본의 총선과 경제 데이터 발표**

   이번 주 일본의 주요 경제 이벤트로는 예정된 총선이 있으며, 이와 관련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수도 도쿄의 10월 물가 상승률 수치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물가 상승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주목됩니다. 추가적으로, 한국의 3분기 GDP 수치 발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3. **아시아 태평양 주요 시장의 혼조된 움직임**

   아시아 태평양 주요 시장에서는 혼조된 움직임이 관찰되었습니다. 일본의 닛케이 225 지수는 평평한 수준에서 거래되었으며, Topix 지수는 0.17% 하락했습니다. 반면, 국의 코스피 지수는 0.83% 상승했고, 소형주 중심의 코스닥 지수는 1.05%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호주의 S&P/ASX 200 지수는 하루를 0.64% 상승으로 시작했으며, 이는 호주 내에서 긍정적인 경제 전망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홍콩 항셍 지수와 중국 본토 CSI 300 지수도 각각 0.14% 0.19% 상승하며, 중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습니다.

 

이와 같은 시장의 혼조된 흐름은 중국의 금리 인하 조치와 일본의 총선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중한 접근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이러한 요인에 대한 평가와 주요 경제 데이터 발표를 중심으로 변동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 게시일 : 2024 10 21일 월요일 오후 3 1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4월 7일 : 투자 전략

[투자전략] 유럽, 중국, 캐나다의 보복관세·트럼프 상호주의 관세 시행·제약 관세·시황·관세협상 기반 분석

[투자전략] 셰일산업·관세 보복·한국시황·애플 중국의존도·구글 AI신약 투자·미국시황·CPI 기반 분석